• 제목/요약/키워드: Management groundwater level

검색결과 167건 처리시간 0.025초

한계 침투량을 고려한 강우와 지하수위의 상관관계를 이용한 주 단위 지하수자원 관리 취약시기 평가 방법 개발 (Development of the assessment method for weekly groundwater resources management vulnerability using the correlation between groundwater level and precipitation considering critical infiltration concept)

  • 이재범;양정석;김일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1권12호
    • /
    • pp.1237-1245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주 단위 지하수자원 관리 취약시기 평가 방법을 개발하였다. 강수의 지하수위에 대한 영향을 고려하기 위하여 한계 침투량을 고려한 강우이동평균 방법을 통해 지하수위와의 상관계수를 산정하였다. 취약 시기 평가 기준을 개발하고 평가 기준에 대한 가중치를 엔트로피 방법을 이용하여 산정하였다. 강수와의 상관계수와 산정된 가중치를 이용한 주 단위 지하수자원 관리 취약시기 평가 방법을 개발하였으며, 개발한 방법을 통하여 소규모 행정구역을 대상으로 취약시기를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방법은 지역적일뿐만 아니라 계절적인 지하수자원의 효율적 관리 대책 수립의 근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LSTM을 활용한 관측자료 기반 미호천 유역 미래 월 단위 지하수위 관리 취약 시기 평가 (Evaluation of the future monthly groundwater level vulnerable period using LSTM model based observation data in Mihostream watershed)

  • 이재범;아거쑤아모스;양정석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5권7호
    • /
    • pp.481-494
    • /
    • 2022
  • 본 연구는 미호천 유역의 월 단위 지하수위 관리 취약 시기 평가와 LSTM을 이용한 미래 지하수위 관리 취약 시기 평가 기법을 제안하였다. 미호천 유역 내의 지하수위 및 강수량 관측소 관측자료를 수집하고, LSTM을 구성한 후 강수량과 지하수위에 대한 2020~2022년 예측 값을 산정하고, 미래 지하수위 관리 취약시기 평가를 수행하였다. 지하수위 관리 취약시기 평가를 위하여 지하수위와 강수량 간의 상관관계를 고려한 가중치와 기후변화로 인한 관측자료의 변동을 고려하기 위한 가중치를 산정한 후, 이를 조합하여 최종 가중치를 산정하였다. 평가 결과 미호천 유역은 2월, 3월, 6월에 지하수위 관리 취약성이 높게 나타났고, 특히 천안수신 관측소 인근은 미래에 지하수위 관리 취약성 지수가 악화 될 것으로 분석되어 추가 관리 방안 도입이 필요할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지하수위 관리 취약 시기 평가 및 LSTM을 활용한 미래 예측 기법을 제시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유역 내 지하수자원 문제에 선제적인 대응방안 도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제주도 지하수 관리수위 설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termination of Management Groundwater Level on Jeju Island)

  • 김지욱;고기원;원종호;한찬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0권2호
    • /
    • pp.12-19
    • /
    • 2005
  • 제주도는 우리나라 최다우지역에 속하지만 강우량의 편차가 심하여 이에 따른 년간 지히수 함양량과 적정개발량이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에 제주도에서는 이상 가뭄이 지속시 해수침투, 지하수위 강하 등의 장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대표적인 지하수 관측정의 수위를 기준으로 수위 강하에 따른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지하수 관리제도를 도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상 가뭄이 지속시 지하수 자원의 적절한 관리를 위해 강우량과 지하수위 관측자료의 분석을 통해 지하수위 강하에 따른 단계별 제한 조치를 취할 수 있는 지하수 관리수위를 제시하였다 우선, 제준 도의 30년간 강우자료를 대상으로 99% 신뢰구간의 하한값을 각 유역별 기준 강우량으로 설정하였으며, 기준 강우량 이하의 강우가 3개월 이상 지속된 기간의 지하수위 관측자료를 추출하였다. 이와 같이 추출된 지하수위 관측자료의 99% 신뢰구간의 하한값을 기준 지하수위로 설정하고, 기준 지하수위의 일정비율을 단계별 지하수 관리수위로 제시하였다.

Forecast Groundwater Level for Management with Neural Network and Fuzzy sets

  • Wang, Yunqing;Yang, Liping
    • 한국지능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퍼지및지능시스템학회 1993년도 Fifth International Fuzzy Systems Association World Congress 93
    • /
    • pp.1175-1176
    • /
    • 1993
  • This paper introduces a new model for forecasting groundwater level on the basis of analysing defect of finite element method. The new model is built with fuzzy sets and neural networks. It is convenient for use. We computed the groundwater level of one city in P. R. China with it and got a very satisfactory result. It can be popularized to corecast groundwater level of mine.

  • PDF

국내 수자원 이용 취약지역의 지역 특성을 고려한 지하수 기반 수자원 확보 방안 제시 (Proposal for the groundwater based countermeasures to secure water resources considering regional characteristics of water resources vulnerable areas)

  • 김건;이재범;아거쑤아모스;양정석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5권3호
    • /
    • pp.191-203
    • /
    • 2022
  • 본 연구는 국내 지하수자원 관리 취약성 평가에 따른 취약 지역 연구의 후속 연구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도출해낸 국내 지하수자원관리 취약 지역에 대하여 지하수자원 관리 최적 운영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지하수자원 관리 최적 운영 방안을 제시하기에 앞서 취약 지역을 대상으로 지하수위 변화 및 해수침투 면적 변화의 현황을 지하수 유동 해석 프로그램인 MODFLOW를 이용하여 파악하였다. 2009년부터 2018년 10년간의 기초 자료를 이용한 분석 결과 지하수위는 하강하고 해수침투 면적은 증가하였다. 본 연구의 최종 목적인 지하수자원 관리 최적 운영 방안은 지하수위 상승과 해수침투 저감을 위해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대안들을 조합하여 총 4가지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최적 운영 방안을 적용하여 지하수위와 해수침투의 변화량을 분석한 결과 모든 방안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지하수자원 관리 최적 운영 방안은 국내 지하수자원 취약 지역뿐만 아니라 개발이 필요한 지역에도 적용하여 효율적인 지하수자원 관리 대책 수립에 근거가 될 것을 기대한다.

제주도 지하수위 관측지점별 적정 확률분포형의 결정 (Determination of Proper Probability Distribution for Groundwater Monitoring Stations in Jeju Island)

  • 정일문;남우성;김민규;최지안;김기표;박윤석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23권1호
    • /
    • pp.41-53
    • /
    • 2018
  • Comprehensive statistical analysis for the 127 groundwater monitoring stations in Jeju Island during 2005~2015 was carried out for the re-establishment of management groundwater level. Three probability distribution functions such as normal distibution, GEV (General Extreme Value) distribution, and Gumbel distribution were applied and the maximum likelihood method was used for parameter estimation of each distribution. AIC (Akaike information criterion) was calculated based on the estimated parameters to determine the proper probability distribution for all 127 stations. The results showed that normal distribution and Gumble distribution were found in 11 stations. Whereas GEV distribution were found in 105 stations, which covered most of groundwater monitoring stations. Therefore, confidence levels should be established in accord with the proper probability distribution when groundwater level management is determined.

Changes of soil water content and soybean (Glycine max L.) response to groundwater levels using lysimeter

  • Lee, Sanghun;Jung, Ki-Yuol;Chun, Hyen-Chung;Choi, Young-Dae;Kang, Hang-Won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299-299
    • /
    • 2017
  • Due to the climate changes in Korea, the numbers of both torrential rain events and drought periods have increased in frequency. Water management practice against water shortage and flooding is one of the key interesting for field crop cultivation, and groundwater often serves as an important and safe source of water to crops.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 of groundwater table levels on soil water content and soybean development under two different textured soils.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using lysimeter located in Miryang, Korea. Two types of soils (sandy-loam and silty-loam) were used with three groundwater table levels (0.2, 0.4, 0.6m). Mean soil water content during the soybean growth period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groundwater table levels. With the continuous groundwater level at 0.2m from the soil surface, soil water content was not statistically changed between vegetative and reproductive stage, but the 0.4 and 0.6m groundwater table level was significantly decreased. Lower chlorophyll content in soybean leaves was found in shallow water table treatment in earlier part of the growing season, but the chlorophyll contents were non-significant among water table treatments. Groundwater table level treatments were significantly influenced on plant available nitrogen content in surface soil. The highest N contents were observed in 0.6m groundwater table level. It is probably due to the nitrogen loss by denitrification as the result of high soil water content. The length and dry weight of primary root was influenced by groundwater level and thus the highest length and dry weight of root were observed in 0.6m water table level. This result showed that soybean root growth did not extend below the groundwater level and increased with the depth of groundwater table level.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management of groundwater level can influence on soil characteristics, especially on soil water content, and it is an important practice of to reduce yield loss caused by the water stress during the crop growing season.

  • PDF

Savitzky-Golay 필터와 미분을 활용한 LSTM 기반 지하수 수위 예측 모델의 성능 비교 (Performance Comparison of LSTM-Based Groundwater Level Prediction Model Using Savitzky-Golay Filter and Differential Method )

  • 송근산;송영진
    •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84-89
    • /
    • 2023
  • In water resource management, data prediction is performed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companies, governments, and institutions continue to attempt to efficiently manage resources through this. LSTM is a model specialized for processing time series data, which can identify data patterns that change over time and has been attempted to predict groundwater level data. However, groundwater level data can cause sen-sor errors, missing values, or outliers, and these problems can degrade the performance of the LSTM model, and there is a need to improve data quality by processing them in the pretreatment stage. Therefore, in pre-dicting groundwater data, we will compare the LSTM model with the MSE and the model after normaliza-tion through distribution, and discuss the important process of analysis and data preprocessing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s and changes in the results.

  • PDF

회귀분석을 이용한 지하수 수위 변화 추정 (Estimation of the Change in Ground Water Level using Regression Analysis)

  • 김상민;안병일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3권6호
    • /
    • pp.51-58
    • /
    • 2011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whether or not the ground water level is decreasing. We suggest a method of estimating the change in groundwater level using newly developed groundwater pumping station data. The Goseong area located in Gyeongnam province was selected considering three factors. First, this area demands relatively large amount of irrigation water because most of the land is used as a paddy field and the proportion of the paddy field within total arable land is increasing. Second, groundwater level data in nearby area are available since these are monitored by Water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WAMIS). Third, many groundwater pumping stations have been developed in this area in order to overcome droughts thus detail information for pumping stations are available. Regression results indicate groundwater level has been decreased for over 20 years. This decreasing trend is due to the shortage of surface irrigation water which was caused by the decrease in rainfall.

제주도 지하수특별관리구역의 지하수이용허가권 조정방안 (Reduction of Groundwater Licences for Groundwater Management Areas in Jeju Island)

  • 양윤석;양성기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6권7호
    • /
    • pp.839-845
    • /
    • 2007
  • It is necessary to draw up many plans to solve problems in the management of groundwater resources in Jeju Island while systematically develop and utilize water resources at an optimal level. It also seems to an evitable option to establish Groundwater Management Areas in Jeju Island. The excess use of groundwater could be discouraged by imposing charges on those licenses. Such policy as allowance trading system do not appear to be because of transaction costs, but could be applied if only were accompanied by complementary method. The methods of using and conserving the limited resources of groundwater should be founded through socially agreeable and appropriate ways. The policy complemented allowance trading system by Pigouian tax could be effective to regulate licenses. This is cutting the numbers of licenses at a constant rate, imposing charges on those who want to continue using licenses, and reimbursing in cash to those who return the licen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