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nagement Response

검색결과 4,340건 처리시간 0.029초

유해화학물질 대응시스템 적용을 위한 제도 개선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of Legal System for Harmful Chemical Substance Response Management System)

  • 옥영석;이영섭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216-223
    • /
    • 2017
  • 화학물질은 전 세계적으로 1,500만 여종 이상 상업적으로 이용되고 있을 정도로 현대사회의 필수적인 요소이다. 그러나 이러한 화학물질 중에서 국민의 건강과 환경을 위협하는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는 유해화학물질이 상당수 존재한다. 과거 사례를 통해 화학사고가 발생하면 인간의 생명에 얼마나 큰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는지 알 수 있다. 화학물질사고의 특성상 짧은 시간에 큰 피해로 확산할 수 있으므로, 사전에 예방하고 사고발생 후에는 즉각적이고 신속한 대응이 매우 중요하다. 이에 국내의 화학물질에 대한 법제도가 2015년 기준으로 "유해화학물질관리법"에서 "화학물질의 등록 및 평가 등에 관한 법률"과 "화학물질관리법"의 체계로 이원화되었다. 그러나 현행법상 화학물질종합정보시스템과 화학물질정보처리시스템의 구축 및 운영을 하고 있지만, 여전히 화학사고는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화학물질사고 대응시스템이라기보다는 화학물질 정보에 그 목적을 둔 종합정보시스템이기에, 실질적인 사고대응에는 한계가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유해화학물질의 정보관리체계, 대응관리체계 및 화학물질 관리 지원 근거에 대해 분석하고, 이를 통한 현행 화학물질관리법 등의 개정방향과 지자체별 화학물질대응시스템을 개발 운영할 수 있도록 법제도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공업제품의 질을 관리하기 위한 반응표면 실험의 응용 - 통계적 모형 적합과 반응의 예측을 중심으로 - (An Application of Response Surface Experiments to Control the Quality of Industrial Products : Model Fitting and Prediction of Responses)

  • 박성현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4-17
    • /
    • 1978
  • 반응표본 실험에 있어서 반응변수와 여러개의 독립변수와의 함수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다항회귀모형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또한 이 다항회귀모형은 최적반응조건을 결정하고 제품의 질을 조절하기 위하여서도 쓰여진다. 이 논문에서 연구하는 문제는 다항회귀모형을 구성하고 있는 많은 항(項) 중에서 어떤 항들을 선택하여 주는 것이 정도(精度)있게 추정하기 위하여 적절한가 하는 문제이다. 정도(精度)가 향상되는 반응표면을 발견한다는 것은 최적반응조건을 결정하고 변수간의 함수관계를 정확하게 구하는데 도움을 준다. 다항회귀모형에서 적절한 항(項)들은 선택하기 위하여 이 논문에서는 하나의 기준을 제시할 것이며, 실제로 공장에서 응용될 수 있는 예제를 들어 설명하고 있다.

  • PDF

A Civilian Reporting Service to Guide Converging Resources for Search and Rescue in Disaster Response

  • Chen, Albert Y.;Han, Sang-Uk;Lee, Sang-Hyun;Pena-Mora, Feniosky
    •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제1권3호
    • /
    • pp.45-51
    • /
    • 2011
  • During disaster response, prioritization of limited resource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but challenging tasks. At the same time, it is imperative to timely provide to the rescuers with the adequate heavy equipment to facilitate lifesaving operations. However, supply of high demand equipment is usually insufficient during the initial phase of disaster response, challenging lifesaving operations. At the same time, resources outside of the disaster affected zone converge into the area to assist the response efforts, which is the effect of convergence that often made resource coordination challenging in large scale disasters. Meanwhile, the initial condition of the disaster is usually best known by civilians already at the area before and during impact of the disaster. The knowledge of the civilians is not always received and considered by the responding organizations. With the help of these civilians, critical information such as victim location, infrastructure damage, and risk condition could be better know before any response actions are taken. To efficiently collect information and utilize the converging resources, this paper proposes a geospatial information repository for initial condition reporting and update to guide search and rescue operations and deployment of equipment with safety considerations for the rescuers in large scale disaster response scenarios.

인적 및 직무특성과 보안교육 이수율 및 사이버테러 대응과의 연관성 분석 (Association Analysis on The Completion Rate of Security education and Cyber Terror Response According to Personal and Job characteristics)

  • 신현조;이경복;박태형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97-107
    • /
    • 2014
  • The development of ICT has led positive aspects such as popularization of Internet. It, on the other hand, is causing a negative aspect, Cyber Terror. Although the causes for recent and continuous increase of cyber security incidents are various such as lack of technical and institutional security measure, the main cause which threatens the cyber security is the users' lack of awareness and attitud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positive analysis of how the personal and job characteristics influence the cyber security training participation rate and the response ability to cyber terror response training with a sample case of K-corporation employees. In this paper, the relationship among career, gender, department, whether he/she is a cyber security specialist, whether he/she is a regular employee), "ratio of cyber security training courses during recent three years", "ratio that he/she has opened the malicious email in cyber terror response training during recent three years", "response index of virus active-x installation (higher index means poorer response)" is closely examined. Moreover, based on the examination result, the practical and political implications regarding K-corporation's cyber security courses and cyber terror response training are studied.

클라이언트 폭력과 사회복지사의 직무반응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와 직무태도,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A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tress, Job Attitude, and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lient Violence and Social Worker's Job Response)

  • 윤일현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15-23
    • /
    • 2022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job stress, job attitude, and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lient violence and social worker job response. The multi-mediating effect of job stress, job attitude, and social support between client violence and social worker job response was empirically analyzed. 257 social workers in social welfare facilities were analyzed using SPS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lient violence, job stress, job attitude, social support, and job response variables. Client violence was affecting variables related to social worker job response. Second, job stress, job attitude, and social support had multiple mediating effects. The parallel mediation effect and the serial mediation effect were verified. Third, job attitude was found to be a variable of multiple mediating effects. Fourth, job stress and social support were found to be double mediating effect variables. In response, programs and manuals suitable for the type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and the policy basis for preparing countermeasures for social workers were limited, and follow-up studies on various variables were suggested.

Performance Evaluation of Smart Intersections for Emergency Response Time based on Integration of Geospatial and Incident Data

  • Oh, Heung Jin;Ashuri, Baabak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9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945-951
    • /
    • 2022
  • The major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evaluate performance of improved intersections for response time to emergency vehicle preemption. Smart technologies have been introduced to civil infrastructure systems for resilient communities. The technologies need to evaluate their effectiveness and feasibility to confirm their introduction.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performance of emergency vehicle preemption, represented by response time, when smart intersections are introduced in a community. The response time is determined by not only intersections but also a number of factors such as traffic, distance, road conditions, and incident types. However, the evaluation of emergency response has often ignored factors related to emergency vehicle routes. In this respect, this research synthetically analyzes geospatial and incident data using each route of emergency vehicle and conducts before-and-after evaluations. The changes in performance are analyzed by the impact of smart intersections on response time through Bayesian regression models. The result provides measures of the project's performance.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body of knowledge on modeling the impacts of technology application and integrating heterogeneous data sets. It will provide a way to confirm and prove the effectiveness of introducing smart technologies to our communities.

  • PDF

재난대응훈련이 훈련참가자에게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제조기업의 훈련사례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s of Disaster Response Exercise on Exercise Participants (Focused on Manufacturing Company Exercise Cases))

  • 김대진;김동헌;이동원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12권1호
    • /
    • pp.35-44
    • /
    • 2019
  • 재난(또는 사고)발생 시 즉각적인 대응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조직구성원들의 재난대응 역량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조직 구성원들의 재난대응훈련에 참여가 훈련참가자의 재난대응 역량에 미치는 효과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재난대응역량을 평가하기 위하여 대비단계, 초동대처, 경고발령, 대응단계의 28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설문대상은 훈련에 참여하는 중소제조기업의 자위소방대원을 대상으로 하였다. 피험자를 대상으로 훈련실시 이전과 이후로 구분하여 훈련의 효과를 측정하였다. 훈련실시이전과 이후의 차이분석을 통하여 재난대응훈련이 재난대응역량 향상에 유의미한 결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재난대응훈련이 조직구성원의 재난대응 역량에 미치는 효과와 재난대응훈련의 필요성에 대해 시사점을 주고 있다. 기업이나 조직에서 정기적으로 재난대응훈련을 실시한다면 구성원들의 재난대응역량은 향상될 것이며, 재난(또는 사고)발생시 이로 인한 인명피해는 물로 재산피해를 예방 축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효율적 내수면 안전관리 : 수난구호 및 수상안전을 중심으로 (Efficient Safety Management in Inland Waters: Focused on Water Relief and Water Safety)

  • 정철민;양기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101-113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내수면 안전관리 실태를 살펴보고 그 문제점을 진단하여 내수면에서의 인명사고를 예방하고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현재 내수면 안전관리의 문제점은 크게 4가지 측면으로 분석된다. 첫째, 내수면 안전관리를 총괄하는 법령 부재와 같은 "법률적 측면", 둘째, 내수면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부재와 수난구조 전문가 부족과 같은 "학습적 측면", 셋째, 수난사고 신고체계 분산과 사고대응에 있어서의 민관 파트너십의 부족과 같은 "협력적 측면", 넷째, 내수면 수난사고에 대한 현장대응 능력 및 전문성 부족과 안전관리체계의 분산 중첩에 따른 "현장대응성 측면"이다. 이러한 문제점의 개선을 위해 경기도 및 강원도 수상레저 종사자 및 이용자에 대한 설문과 그 분석을 토대로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법률적 측면"에서는 '내수면 수상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가칭)'제정, "학습적 측면"에서는 내수면 안전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수난사고 전문가 양성, "협력적 측면"에서는 내수면 안전사고 통합 상황관리 운영시스템 마련과 안전네트워크 활성화 및 민관 파트너십 재정립, "현장대응성 측면"에서는 현장대응 능력과 전문성 확보 및 소방중심의 내수면 안전관리 통합 등을 제시하였다.

고용량 지리정보 및 재난 정보 기반 3차원 재난 관리 시스템을 활용한 신속한 재난 대응 체계 방안 제시 (A Plan for a Prompt Disaster Response System Using a 3D Disaster Management System Based on High-Capacity Geographic and Disaster Information)

  • 강수명;김도령;정윤재;박주성;김진만;조명희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80-196
    • /
    • 2016
  • 재난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예방, 대비, 대응 등의 다양한 측면에서 관리 하고 있다. 예방과 대비가 잘 되어있더라도, 자연재해와 같은 불가항력의 재난에 대해서는 예상과는 다른 피해가 생길 수도 있다. 따라서 통합적 재난 관리를 위해서 신속한 재난 관리 및 예측을 기반으로 동일한 재난정보 공유가 가능한 시스템을 구축 개발하여야 한다. 특히, 신속한 재난 대응을 위해서는 유관기관 및 현장공무원과 같은 직접적인 방재 투입 인력 간의 동일한 정보공유가 필요하다. 최근에 활용되는 재난 관리 시스템의 경우 고용량의 지리정보를 사용하거나, 정확한 재난 예측을 위해 다양한 인자들을 활용하여 구축된다. 그뿐만 아니라, 최근 구축 및 연구되고 있는 3D GIS를 활용할 경우 하드웨어 등의 문제로 인해 시스템을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한다. 따라서 예측 시뮬레이션을 하여 대응 정보를 확보한다고 해도, 상황에 따라 시스템을 활용 불가한 경우 혹은 해당 정보의 확장자를 읽을 수 없는 환경일 경우에 본질적으로 공통된 정보를 공유하기는 힘들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재난 대응을 위한 시스템을 구축하고, 그를 기반으로 공유된 정보가 공통된 정보에 준할 수 있도록 신속하고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는 체계를 구축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기존 재해 대응 시간을 앞당기고, 신속한 대응을 통해 의사결정을 지원하여 인적 물적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사고분석을 통한 선장 비상대응 역량강화 연구 (A Study on the Emergency Response Empowerment for Captain Based on the Analysis of Maritime Accidents)

  • 채종주;박용선;조소현;강석용;이호;김홍범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13-422
    • /
    • 2019
  • 해양사고는 항상 인적/물적 피해를 동반한다. 이러한 해양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선박의 관리급 해기사가 정확한 지식을 바탕으로 비상 상황에 적절히 대응 한다면 이러한 인적/물적 피해는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해양사고 사례분석을 바탕으로 해양사고 발생 시 부족했던 해기능력 식별, 국제협약에서 요구하는 비상대응 능력을 비교, 선사가 보유하고 있는 다양한 비상대응 매뉴얼 분석 및 설문을 통해 해기사의 비상대응능력 향상을 위한 개선 사항을 제안하였다. 주요 해양사고사례를 통해서 많은 관리급 항해사가 손상복원력, 비손상복원력에 대한 지식의 부재를 식별하였고, 국제협약에서 요구하는 비상대응 해기능력의 경우 일부 축소해서 제공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불어 선사의 비상대응 매뉴얼은 대체로 잘 갖추어져 있으나 실제 비상시 활용 측면에서는 한계가 있다는 것을 식별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선원 및 선사 관계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시행하여 국제협약에서 요구하는 비상대응 해기교육의 확대,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비상상황에 대한 간접경험 기회제공 확대 및 비상 시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대응을 위한 지침 또는 매뉴얼의 개발 등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