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mmillaria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2초

선인장 Mammillaria goldii, M. theresae와 M. pseudopectinata의 생육, 개화 및 종자형성 특성 (Growth, Flowering, and Ripening Seed Characteristics of Mammillaria goldii, M. theresae, and M. pseudopectinata)

  • 송천영;이동철;박인태;박화순;홍승민
    • 화훼연구
    • /
    • 제17권4호
    • /
    • pp.285-290
    • /
    • 2009
  • Mammillaria goldii, M. theresae와 M. pseudopectinala의 생장 특성 및 종자 번식 체계를 확립하기위하여 2년생 실생을 온실에 정식한 후 11개월에 생육 및 개화조사를 하고 시기별 자가 수분 및 형매 수정에 따른 착과율 및 협당 종자수를 조사하였다. Mammillaria goldii, M. theresae와 M. pseudopectinata의 식물체의 높이는 2.5~2.8 cm이고 식물체의 직경은 2.8~3.1 cm이었고, 부드럽고 작은 가시가 있었다. Mammillaria goldii와 M. theresae는 체내수정을 하고 M. pseudopectinala는 체외수정을 한다. Mammillaria goldii의 화색은 진분홍이고 M. theresae는 분홍색, M. pseudopectinala는 분홍색이었고, 화경은 5.0~6.2 cm 정도 되었다. 개화 시기는 4월에서 6월이었고, 5월의 개화수는 5개 정도이고 개화기간은 3일정도 되었다. Mammillaria goldii의 착과율은 50.0%, 꼬투리당 종자수는 25.3개이고, M. theresae는 57.3%, 꼬투리당 종자수는 35.0개이고, M. pseudopectinala는 69.0%, 꼬투리당 종자수는 62.0개이다. 시기별로는 5월의 결실율 및 꼬투리당 종자수가 기장 많고, 다음에는 6월과 4월이 많았다. 특히 M. pseudopectinala의 5월의 착과율은 75%로 가장 높았고 꼬투리당 종자수도 68개로 기장 많았다. M. goldii의 자가 수정의 착과율은 16%, 꼬투리당 종자수는 13개이고, 형매수정의 착과율은 58%, 꼬투리당 종자수는 30개이었다. M. pseudopeclinala의 자가 수정의 착과율은 20%, 꼬투리당 종자수는 18개이고, 형매 수정의 착과율은 75%, 꼬투리당 종자수는 68개이었다. 이와 같이 Mammillaria 속 선인장을 5월에 형매 교배를 하면 결실율이 높고 많은 종자를 얻을 수 있다.

Genomic Relationship Among 25 Species of Mammillaria Haw. as Revealed by Isozyme and Protein Polymorphism

  • Mattagajasingh Ilwola;Acharya Laxmikanta;Mukherjee Arup Kumar;Das Premananda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7권2호
    • /
    • pp.105-112
    • /
    • 2005
  • Buffer soluble protein and five isozymes were analyzed to assess the inter specific relationship among 25 species of the genus Mammillaria Haw. A total of 102 types of proteins were resolved, out of which eighty-six types were found to be polymorphic and only two were unique. A total of 248 bands (isoforms) were detected for 5 isozymes, among them only 4 were found to be monomorphic and 35 were exclusive. Mantel 'Z' statistics revealed wide variations in the correlation among different enzymes. The correlation value 'r' was the highest in case of esterase with pooled data of all the five enzymes. The dendrogram constructed on the basis of pooled data (protein and allozyme) divided the species into two major clusters containing 14 and 11 members respectively. The species M. matudae and M. bella were found to be the most closely related while M. decipience and M. camptroticha were distantly apart. The present study gave an indication of usefulness of the isozyme and protein markers for genetic discrimination between different species of Mammillaria.

선인장 및 다육식물 혼합식재 실태 및 광과 수분요구에 따른 식물의 분류 (Plant Grouping by Light and Watering of Cacti and Succulents Planting in a Pot and Its Current Situation)

  • 송천영;이상덕;임성희;김순재;이정식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8권1호
    • /
    • pp.30-42
    • /
    • 2006
  • 합식에 주로 이용되는 선인장 종류는 용신목, 비모란, 백운각, 금황환, 소정, 방희환, 황금사, 환락, 희망환, 옹옥 및 노락 등 11개 정도 이고, 다육식물 종류로는 당인, 아악무, 성을녀, 금황성, 흑법사, 에케베리아 라우이, 파키포디움 라메리, 홍옥, 불야성 및 대봉각 등 10개 식물이었다. 선인장 비모란은 파라구아이, 용신목, 백운각, 황금사, 희망환 및 옹옥은 멕시코, 금황환과 소정은 브라질 남부, 환락과 노락은 페루가 원산지이고, 다육식물 중에서 당인, 아악무, 성을녀, 불야성 및 대봉각은 남아프리카, 금황성, 에케베리아 라우이, 홍옥 등은 멕시코, 흑법사는 그랜 캐나리아, 파키포디움 라메리는 마다가스카가 원산지였다. 대부분 선인장 및 다육식물은 무차광 또는 약간의 차광하에서도 잘 자라고, 홍옥과 아악무 등의 다육식물은 광도에 민감하지 않아서 광도에 가리지 않고 잘 자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대부분 선인장 및 다육식물은 소량 및 보통관수를 요구하였다. 이와 같이 원산지와 생육조건인 수분과 광의 양이 다른 선인장 및 다육식물을 한 화분에 심어서 관리함으로서 발생되는 문제는 일부 식물이 적응하지 못하고 고사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식물의 수분 요구 및 광 등의 생리가 유사한 식물을 모아 심으면 고사율이 현저히 감소할 것으로 판단한다.

Bipolaris cactivora에 의한 선인장 줄기썩음병의 발생과 병원성 (Occurrence of Stem Rot Caused by Bipolaris cactivora on Different Species of Cactus and Its Pathogenicity)

  • 현익화;이상덕;황병철;고경일;정후섭;김병기
    • 식물병연구
    • /
    • 제7권1호
    • /
    • pp.56-59
    • /
    • 2001
  • Stem rot of cacti was found at major cultivating areas including Koyang, Ansung and Eumsung of Korea in 2000. Bipolaris cactivora was consistently isolated from the lesions. The disease occurred on different species of cactus including Cereus peruvianus, C. neopithahaja f. monstruo년, C. tetragonus, Chamaeceresu silestrii, Ch. silvestrii, f. variegata, Gymnocalcium mihanovichii var. friedrichii. G. denudatum var. pentacantha, Hylocereus trigonus and Isolatocereus dumortier. Major symptoms on the cactus species except H. trigohus were almost identical. A rapid rot of the upper portion of the catus stem appeared, and became blackened and somewhat dry. On H. trigonus, the symptom was initially light yellow, water-soaked lesion, turned into light brown and dried to death. According to pathogenicity test, 10 out of 16 cactus species and varieties tested produced identical symptoms as found in the field. However, the fungi did not show pathogenicity to Notocactus scopa, Echinocactus grusonii, Eriocactus leninghausii, Lobivia nealeana, Mammillaria elongata var. intertext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