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lus pumila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3초

RAPD를 이용한 능금속 식물종의 계통관계와 유전적 다양성 (The classification and comparison of genetic diversity of genus Malus using RAPD)

  • 허만규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6호통권86호
    • /
    • pp.756-761
    • /
    • 2007
  • 능금속(Malus) 식물은 다년생 목본으로 국내에는 약 8종이 있다. 이 속에 있는 사과(M. pumila)는 경제적 중요작물로 그 기원은 서중국의 야생종 M. sieversii일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Malus내 모든 분류군과 중국의 M. sieversii를 RAPD로 분석하였다. 재배종이 높은 다양성을 나타낸 반면 제주아그배나무가 가장 낮은 다양성을 나타내었다. 재배종이 야생종보다 유전적 다양도가 더 높게 나타나 재배화 과정에서 여러 종과교잡이 일어나 많은 유전자가 침투된 것이라는 보고를 됫받침한다. 이 속은 M. sieversii를 포함한 사과나무, 능금나무가 같은 분자군을 형성하였고, 개아그배나무 또는 제주아그배나무(Malus micromalus), 아그배나무(Malus sieboldii), 꽃아그배나무(Malus floribunda)가 같은 분지군, 야광나무(Malus baccata), 개야광나무(Malus baccata for minor), 털야광나무(Malus baccata var. mandshurica)가 같은 분자군을 형성하였다. 한국내 재배종 사과와 능금이 국내 자생종 능금속에서 진화나 분지한 것은 아닌 것으로 판명되었고 오히려 중국 야생종이 그 기원의 하나일 가능성이 시사된다.

고전압 펄스 전기장 처리가 사과의 착즙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ulsed Electric Fields on Juice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Malus pumila Fruit)

  • 임정호;안성환;이동언;김영호;박기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665-671
    • /
    • 2012
  • 사과의 착즙 특성에 고전압 펄스 전기장 전처리가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사과를 다양한 PEF 조건하에서 처리하여 착즙수율과 주스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주스의 착즙수율은 PEF 처리구가 무처리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압착주스의 총 페놀함량 및 항산화활성은 무처리구에 비하여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었으나, 가용성 고형분 및 환원당 함량은 처리구와 무처리구의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고전압 펄스 전기장 전처리는 사과 주스의 영양적인 가치와 착즙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보여지며 다양한 연구를 통하여 적정 처리 조건의 도출이 필요할 것으로 확인되었다.

미성숙 사과의 항산화 및 tyrosinase 저해 활성 평가 (Antioxidant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ies of immature fruits of Malus pumila cv. Fuji)

  • 권오준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585-590
    • /
    • 2016
  • 미성숙 사과를 70% ethanol 추출물에 대해 n-hexane, EtOAc 및 n-BuOH로 순차 용매 분획하였고, 얻어진 결과물에 대하여 DPPH 및 $ABTS^+$ radical 소거능 및 tyrosinase 저해활성을 평가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은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EtOAc 가용부의 $IC_{50}$값은 $51.2{\pm}1.9{\mu}g/mL$으로 상대적으로 가장 우수한 활성을 확인 하였으며, 미성숙 사과 알콜 추출물에 존재하는 페놀성 화합물이 라디칼 소거능과의 연관성을 시사하였다. 또한 $ABTS^+$ 라디칼 소거능은 EtOAc층의 $IC_{50}$값은 $28.3{\pm}1.5{\mu}g/mL$의 소거 활성이 확인 되었고, 강한 활성물질의 존재가 시사되었다. 또한, tyrosin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상대적으로 우수한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낸 EtOAc 층의 $IC_{50}$$101.2{\pm}1.7mg/mL$의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대조군인 kojic acid의 $IC_{50}$값인 $57.2{\pm}2.1{\mu}g/mL$에 비해 약하나 단일물질로 정제할 경우 더욱 강한 효능의 화합물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하였다. 향후 이들 활성물질 동정을 통한 활성 기작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본 연구결과는 보다 우수한 라디칼 소거능 및 tyrosinase 저해능을 가지는 새로운 선도화합물 발굴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가능하리라 사료된다.

Investigation of Antioxidative Activity from Apple (Malus pumila Miller) Peel by Various Extraction Solvents

  • Kim, Gyeong-Hwuii;Duan, Yishan;Gwon, Soon-Hee;Kim, Han-Soo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86-194
    • /
    • 2016
  • Consump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has been conducted to be effective in the prevention of chronic diseases. In this study, 70% methanol, 70% ethanol and chloroform-methanol mixture (CM, 2:1, v/v) were used as solvents in the extraction of apple peels. The total phenol content, total flavonoid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various extracts were investigated using in vitro assays. The extract obtained by 70% methanol showed the highest total phenol content ($20.87{\pm}0.17mgCAE/g$), ABTS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diammonium salt]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However, 70% ethanol extract possessed the strongest antioxidant activity assayed by DPPH (2,2-diphenyl-1-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beta}$-carotene bleaching method. And CM extract was found to show the highest total flavonoid content with the value of $9.26{\pm}0.06mgQE/g$.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apple peels can be used in dietary applications with a potential to reduce oxidative stress.

골프장에서 주황긴다리풍뎅이(Ectinohoplia rufipes)의 신 기주 식물 (Newly Listed Host Plants of Ectinohoplia rufipes in Korean Golf Courses)

  • 이상영;이동운;정재민;김영섭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79-184
    • /
    • 2008
  • 경기도 가평의 골프장에서 주황긴다리풍뎅이의 기주식물을 조사한 결과 7과 10종의 미기록 기주가 추가되어 주황긴다리풍뎅이의 기주식물은 30과 94종이 된다. 노박덩굴과의 회잎나무와 진달래과의 영산홍, 황철쭉, 느릅나무과의 혹느릅나무, 장미과의 사과나무와 야광나무, 인동과의 삼색병꽃나무, 버드나무과의 키버들, 참나무과의 바늘참나무가 주황긴다리 풍뎅이의 새로운 기주가 되었고, 자작나무와 사과나무, 핀참나무의 피해도가 높았다.

Trichothecium roseum에 의한 사과 분홍빛열매썩음병 발생 (Pink Mold Rot on Apple (Malus pumila var. dulcissima Koidz.) Caused by Trichothecium roseum (Pers.) Link ex Gray in Korea)

  • 권진혁;김민정;심창기;지형진;이상대
    • 농약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29-433
    • /
    • 2014
  • 2012년 경상남도 진주시 농산물도매시장에서 구입한 사과에서 분홍빛열매썩음병이 발생하였다. 병징은 사과 과실 표면이 갈색으로 변하면서 약간 함몰되어지고 수침상으로 물러지고 썩으면서 그 위에 분홍빛 곰팡이가 형성되었다. 감자한천배지 위에서 균총의 색깔은 처음 흰색이고 배양기간이 경과됨에 따라 분홍빛의 분생포자가 많이 형성되었다. 균사생육 적온은 $25^{\circ}C$이었다. 분생포자의 모양은 서양배형이며 좌우 지그자그로 부착하며 성숙한 분생포자는 2개의 세포로 되어있다. 크기는 $12-26{\times}8-12{\mu}m$이었다. 분생자경은 균사표면에 직립으로 형성하고, 폭이 $4-5{\mu}m$이고 무색이었다. 위와 같은 결과를 통해 사과에서 발생한 병징과 병원균의 균학적 특징을 기초로 하여 이 병을 Trichothecium roseum (Pers.) Link ex Gray에 의한 사과 분홍빛열매썩음병으로 명명하고자 제안한다.

풍속이 사과나무의 광합성 특성과 수액이동 및 엽손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ind Velocity on Photosynthesis, Sap Flux, and Damage of Leaves in Apple Trees)

  • 임지혜;최영민;최동근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31-136
    • /
    • 2014
  • 본 연구는 바람이 생육기별 사과 '후지' 품종(Malus pumila Miller)의 수체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바람처리는 대형선풍기로 풍속을 $3m{\cdot}s^{-1}$$5m{\cdot}s^{-1}$로 처리하여 자연상태의 바람과 비교하였다. 사과 '후지'에 바람처리를 하였을 때 바람세기가 강하고 처리시간이 누적될수록 광합성속도가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열려있는 기공의 비율과 기공전도도는 광합성속도와 정의상관을 나타내었다. $5m{\cdot}s^{-1}$처리에서는 잎에 불규칙한 형태의 갈변현상이 발생하였고, 파엽 및 낙엽의 피해는 바람세기가 강할수록, 그리고 처리시간이 누적됨에 따라 심화되었다. 수액이동량의 경우 대조구를 제외한 모든 바람처리구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사과 대목 M.26 (Malus pumila Mill)의 기내 대량번식 및 simple sequence repeat 마커를 이용한 증식된 식물체의 유전적 다양성 평가 (In vitro micropropagation of M.26 (Malus pumila Mill) apple rootstock and assessment of the genetic diversity of proliferated plantlets using simple sequence repeat markers)

  • 조강희;한봉희;한점화;박서준;김세희;이한찬;김미영;김명수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5권4호
    • /
    • pp.382-391
    • /
    • 2018
  • 본 연구는 사과 대목 M.26 (Malus pumila Mill))의 효과적인 기내 대량번식하기 위해 신초 증식과 뿌리 형성에 적합한 배지조건을 확립하고, simple sequence repeat (SSR) 마커를 이용하여 증식된 소식물체의 유전적 다양성을 분석하고자 수행하였다. MS (Murashige and Skoog) 기본배지에 benzyladenin (BA, $0.5{\sim}5.0mg{\cdot}L^{-1}$)와 thidiazuron (TDZ, $0.01{\sim}0.1mg{\cdot}L^{-1}$)을 첨가하여 신초를 배양한 결과, $1.0mg{\cdot}L^{-1}$ BA 처리에서 절편체 당신초 수가 10.67개로 가장 많았으며 과수화 발생률은 BA 처리구보다 TDZ 처리구에서 높았다. M.26 신초 증식에 BA와 auxin과의 혼용처리 효과는 없었고, $1.0mg{\cdot}L^{-1}$ BA가 첨가된 MS 기본배지가 적합하였다. 신초 발근에 적합한 배지를 구명하고자 auxin인 indole-3-butyric acid (IBA)와 ${\alpha}$-naphthaleneacetic acid의 농도($0.5{\sim}5.0mg{\cdot}L^{-1}$), MS 배지의 무기염류(1/4 ~ 1배) 및 sucrose 농도($0{\sim}30g{\cdot}L^{-1}$)를 달리하여 처리한 결과, $1.0mg{\cdot}L^{-1}$ IBA, $15{\sim}20g{\cdot}L^{-1}$ sucrose가 첨가된 1/2 MS 배지에서 발근율(100%), 뿌리 수(10.45 ~ 13.60개/절편체), 뿌리 길이(7.41 ~ 8.33 cm) 및 신초 길이(4.93 ~ 5.38 cm)가 양호하였다. 15종의 SSR primer를 이용하여 증식된 20개의 소식물체를 분석한 결과, 총 30개의 대립유전자가 검출되었으며 모두 동일한 밴드 패턴을 보여 온실에서 자란 M.26 식물체와 유사하여 유전적으로 안정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사과의 품종별 휘발성 향기성분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Various Varieties of Apple (Molus pumila M.))

  • 이해정;박은령;김경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597-605
    • /
    • 2000
  • 사 과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석하기 위해 국내에서 생산되는 후지, 쓰가루, 홍로, 홍옥(조나단) 등 4가지 품목 휘발성 향기성분을 SDE 방법으로 추출하고, GC-FID와 GC/MS로 분석, 동 정하였다. 후지, 쓰가루, 홍로, 홍옥(조나단)에서 각각 100종, 68종, 85종, 94종의 화합물의 동 정되었으며, alcohol류, aldehyde류 , esterfb가 사과의 전체적 향기에 영향ㅇ르 미치는 것으 로 여겨진다. 주요 휘발성 향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여겨진다. 주요 위발성 향기성분으 로 hexanal, butanol, (E)-2-hexenal, 3-methyl-1-butanol, hexanol이 모든 품종에서 확인되 었으며, 그외 품종별로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ethy1 acetyl2-methylbutyate,hexyl, aceteate, (E,E)-$\alpha$-facetate도 다량 함유되어 있었다. 사과 품종별로 분리, 동정된 휘발성 향기성분을 정량한 결과, 후지 17.18mg/kg, 쓰가루 7.74mg/kg, 홍로 16.71 mg/kg, 홍옥(조나단) 15.81 mg/kg이 함유되어 있었다.

  • PDF

Verification of aecial host ranges of four Gymnosporangium species based on artificial inoculation.

  • Yun, Hye-Young;Lee, Seung-Kyu;Lee, Kyung-Joon
    • 한국식물병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물병리학회 2003년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발표회
    • /
    • pp.134.1-134
    • /
    • 2003
  • Aecial host ranges of four Gymnosporangium species causing cedar-apple rust diseases, G. asiaticum, G. cornutum, 5. japonicum and G. yamadae, were investigated through artificial inoculation. Thirteen species of nine genera among Rosaceous plants, which have been reported as social hosts in Korea, were inoculated with fresh teliospores spores in early days of May of 2000 and of 2001, respectively. In the results, we re-confirmed that there was highly specific relationship between the rust species and aecial hosts and report new aecial hosts of four Gymnosporangium species. Teliospores of G. cornutum collected from Juniperus rigida successively produced spermogonia and aecia only on Sorbus alntifolia, the first report on host alteration of G. cornutum in Korea. Positive responses by teliospores of G. japonicum from J. chinenis of Suwon and from J. chinenis var. horizontalis of Jeju island were obtained only on P. villosa. Crataegus pinnatifida was confirmed as a new aecial host of G. viatium. Until this time, G. ymadae was believed to have Malus as the aecial host. However, teliospores of G. yamadae collected from J. chinensis var. kaizuka successively formed spermogonia and aecia on the leaves of Chaenomeles lagenaria, C. sinensis, Pyrus pyrtifolia var, culta, P. ussuriensis, Malus pumila and M. sileboldii. The date for maturation of spermogonia and aecia, and symptom development varied according to the rust fungi and aecial host plants, respective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