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lignant Pleural Effusion

검색결과 141건 처리시간 0.05초

폐암 수술 후 흉막 내 미세잔류병변 판정사례 (A Case of Lung Cancer: Postop Minimal Residual Disease at Pleura)

  • 장정순
    • 항공우주의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57-59
    • /
    • 2021
  • For 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 surgery is indicated only for stage 3 as a curative measure. Even so, there is a high risk of recurrence following stage 3 lung cancer surgery, a third (33.9%) of patients experienced a cancer recurrence mostly within 2 years after surgery. The median survival time for all stages reaches only 21.9 months. For people undergoing surgery for stage 3A NSCLC, a pre-operative course of (neoadjuvant chemotherapy) can improve survival times, by improving the resectability and lowering the risk of recurrence. Pleural metastases are frequently associated with tumors of the lung and breast. Chest radiographs and computed tomography scans of pleural metastases can present as an effusion or smooth or nodular pleural thickening. In the absence of irregular or nodular pleural thickening,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a benign from a malignant pleural effusion. To treat lung cancer, tyrosine kinase inhibitors (TKIs) recently have been used to cope with genetic mutations, apart from cytotoxic anticancer drugs. Compared to cytotoxic drugs, they are effective, have fewer side effects, and are easy to administer. Airman must have no cancer disease to apply for Class-I medical certification. Specifically, if previously operated on cancer, the cancer should not remain in the body at present, and the disease free state should persist at least one year after all kinds of anti-cancer treatments including adjuvant chemotherapy are completed. Here, this case deals with a 41-year-old pilot who has ATP license who had stage 3A NSCLC. The pilot underwent curative lung cancer surgery (lobectomy) a year ago and showed suspicious pleural metastasis at the time of his application for certification and was still using an unauthorized TKI agent alectinib (Alecensa; Roche, Basel, Switzerland).

결핵성 및 비결핵성 흉막삼출액에서 TNF-$\alpha$ 농도의 진단적 의의 (Diagnostic Significance of TNF-$\alpha$ in Tuberculous and Non-Tuberculous Pleural Effusion)

  • 나현주;박석채;강광원;박형관;김영철;최인선;박경옥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4권3호
    • /
    • pp.611-620
    • /
    • 1997
  • 연구배경 : 결핵성 흉막염의 감별 진단 목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검사는 adenosine deaminase와 INF-$\gamma$를 세포성 면역에 또다른 중요한 매개체로 알려진 TNF-$\alpha$의 진단적 의의를 조사하고, 현재 임상에서 유용한 지표로 사용되고 있는 adenosine deaminase와의 감별력을 비교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삼출성 흉막염 80예(결핵성 : 39예, 암성 : 31예, 부폐렴흉막염 : 10예)를 대상으로 흉수의 기본적인 세포조성, 화학 검사와 더불어 ADA와 TNF-$\alpha$(Medgenix IRMA kit)를 측정하였다. 결 과 : 흉수내 ADA농도는 결핵성 흉막염에서 $48.7{\pm}32.7U/L$로 비결핵성 흉막염 $26.0{\pm}41.3U/L$에 비해 유의한 차이로 높았고(p < 0.05), TNF-$\alpha$치 또한 결핵성 흉막염에서 $184.1{\pm}214.2pg/mL$로 비결핵성 흉막삼출액 $44.1{\pm}114.2pg/mL$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 < 0.01). ROC 곡선을 이용하여 ADA와 TNF-$\alpha$의 감별력을 가장 높일 수 있는 기준치를 정하였을 때, ADA는 30U/ml, TNF-$\alpha$는 15pg/ml로 측정되었고, 각각의 기준치를 이용하여 감수성과 특이도를 구하였을때, ADA는 감수성 66.7%, 특이도 85.0%, TNF-$\alpha$는 감수성 69.2% 특이도 87.1%를 보였다. 두 검사의 민감도와 특이도를 비교하기 위한 ROC 곡선에서, ROC 곡선아래의 면적(area under curve)은 ADA와 TNF-$\alpha$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ADA 0.83, TNF-$\alpha$ 0.82). 다중회귀분석(multiple stepwise regression)에서 ADA가 가장 유용한 지표로 계산되었으나 TNF-$\alpha$의 추가가 분별력에 더 이상의 기여함은 없었다. 결 론 : 결핵성 흉막염과 비결핵성 흉막염을 감별 진단하는데 ADA와 함께 TNF-$\alpha$도 유용한 지표로 이용될 수 있으나 두가지 검사를 함께 시행함에 따른 진단에 있어서의 잇점은 없었다.

  • PDF

흉수의 감별 진단 시 Soluble Triggering Receptor Expressed on Myeloid Cells-1 (sTREM-1)의 유용성 (Soluble Triggering Receptor Expressed on Myeloid cells-1: Role in the Diagnosis of Pleural Effusions)

  • 김정현;박은영;김원희;박웅;정혜철;이지현;김은경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2권4호
    • /
    • pp.290-298
    • /
    • 2007
  • 연구배경: 흉수는 다양한 원인에 의하여 생성되며 임상적으로 여출액과 삼출액으로 구분하게 되며 삼출액일 경우에는 그 원인 질환들을 감별해야 하나 적용할 만한 표지자가 많지 않다. Soluble Triggering Receptor Expressed on Myeloid cells(sTREM-1)는 면역글로블린의 일종으로 세균이나 진균 감염에서 증가된다고 보고되어 있으며 활성화된 탐식세포에서 떨어져 나와 체액에서도 수용성 상태로 발견될 수 있다. 저자들은 흉수에서 sTREM-1의 측정이 흉수의 감별 진단에 유용한지와 감염성 질환에 의한 흉수에 대한 표지자로서 유용한지에 대한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3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흉수를 주소로 내원한 환자들에서 흉수의 세포 수 및 백혈구 분획, 생화학적 검사(pH, protein, LDH, glucose), 세포진 검사, ADA, 미생물학적 검사 결과 이외에 sTREM-1을 측정하였다. 대상환자는 48명으로 남:여 각각 27:21명이었고, 평균 연령은 59세였다. 최종 진단은 암성 흉수는 13명, 결핵성 흉수는 14명, 부폐렴성 흉수는 17명, 여출성 흉수는 4명이었다. 결과: 흉수의 sTREM-1은 부폐렴성 흉수에서 $344.0{\pm}488.7pg/mL$로 결핵성 흉수($81.7{\pm}56.6pg/mL$)와 악성 흉수($39.3{\pm}19.6pg/mL$)보다 높게 측정되었다. 부폐렴성 흉수에 대한 sTREM-1의 ROC 곡선 결과 55.4 pg/mL에서 민감도와 특이도가 각각 70.6%와 74.1%로 측정되었다. 또한 흉수 sTREM-1은 흉수의 호중구수, 흉수 LDH, 흉수/혈청 LDH, 흉수 ADA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흉수의 sTREM-1은 부폐렴성 흉수에서 다른 원인의 흉수에서보다 유의하게 상승되어 부폐렴성 흉수의 표지자로서 유용하였으며 기존의 진단 표지자에 더하여 흉수의 감별진단에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결핵성 흉막염으로 오인된 흉막 악성 중피종 3예 (Three Cases of Malignant Pleural Mesothelioma Misdiagnosed as Tuberculous Pleurisy)

  • 김기욱;김지은;조우성;이지석;박혜경;김윤성;이민기;이호석;김영대;이창훈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2권4호
    • /
    • pp.323-330
    • /
    • 2007
  • 저자들은 흉수로 내원하여 결핵성 흉막염 진단 하에 항결핵약제로 치료 시작 후 호전이 없어 시행한 수술적 생검에서 흉막 악성 중피종으로 확진된 3예를 경험하였기에 국내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체강 삼출액의 진단에 있어서 $PLC-{\gamma}1$ 면역 염색의 유용성 ([ $PLC-{\gamma}1$ ] for Differentiating Adenocarcinoma from Reactive Mesothelial Cells in Effusions)

  • 우영주;김성숙
    • 대한세포병리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15-119
    • /
    • 1997
  • Cytologic diagnosis of reactive or malignant effusion is sometimes difficult. Especially, differentiation of benign reactive mesothelial cells from malignant cells in body effusion is more difficult. Recently, immunohistochemistry has been used to diagnose difficult cases. Phospholipase $C(PLC)-{\gamma}1$ is one of the isoenzyme of the PLC which plays central role in signal transduction involving cellular growth, differentiation and transformation by phosphorylating many protein component. Increased expression of $PLC-{\gamma}1$ in human breast carcinoma, colorectal carcinoma and stomach cancers are reported. To evaluate the efficacy of positive $PLC-{\gamma}1$ immunostaining in the diagnosis of malignancy in effusions, paraffin-embedded cell blocks of pleural fluid and ascites from 10 patients(5 metastatic adenocarcinomas, and 5 reactive mesothelial cells) were immunostained with a monoclonal antibody to $PLC-{\gamma}1$. $PLC-{\gamma}1$ immuostained all the adenocarcinomas in cell block(5/5) with intense membrane pattern, however, none of the reactive mesothelial proliferations stained with the diagnostic membrane pattern. Thus, our study strongly supports the conclusion that $PLC-{\gamma}1$ immunopositivity is likely to become a useful adjunct for the diagnosis of malignancy in effusions.

  • PDF

Chest Tube Drainage of the Pleural Space: A Concise Review for Pulmonologists

  • Porcel, Jose M.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81권2호
    • /
    • pp.106-115
    • /
    • 2018
  • Chest tube insertion is a common procedure usually done for the purpose of draining accumulated air or fluid in the pleural cavity. Small-bore chest tubes (${\leq}14F$) are generally recommended as the first-line therapy for spontaneous pneumothorax in non-ventilated patients and pleural effusions in general, with the possible exception of hemothoraces and malignant effusions (for which an immediate pleurodesis is planned). Large-bore chest drains may be useful for very large air leaks, as well as post-ineffective trial with small-bore drains. Chest tube insertion should be guided by imaging, either bedside ultrasonography or, less commonly, computed tomography. The so-called trocar technique must be avoided. Instead, blunt dissection (for tubes >24F) or the Seldinger technique should be used. All chest tubes are connected to a drainage system device: flutter valve, underwater seal, electronic systems or, for indwelling pleural catheters (IPC), vacuum bottles. The classic, three-bottle drainage system requires either (external) wall suction or gravity ("water seal") drainage (the former not being routinely recommended unless the latter is not effective). The optimal timing for tube removal is still a matter of controversy; however, the use of digital drainage systems facilitates informed and prudent decision-making in that area. A drain-clamping test before tube withdrawal is generally not advocated. Pain, drain blockage and accidental dislodgment are common complications of small-bore drains; the most dreaded complications include organ injury, hemothorax, infections, and re-expansion pulmonary edema. IPC represent a first-line palliative therapy of malignant pleural effusions in many centers. The optimal frequency of drainage, for IPC, has not been formally agreed upon or otherwise officially established.

대량 흉수의 원인과 성상-국내 한 대학병원의 경험 (Etiology and Characteristics of Massive Pleural Effusions Investigated at One University Hospital in Korea)

  • 박송리;김지현;하나래;이재형;김상헌;손장원;윤호주;신동호;박성수;김태형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1권5호
    • /
    • pp.456-462
    • /
    • 2006
  • 연구배경: 대량 흉수의 가장 흔한 원인은 악성으로 알려졌으나 이에 대한 보고가 많지 않고, 지역 및 시대에 따라 다른 분포를 보였다. 저자들은 결핵의 유병율이 높은 국내에서 대량 흉수의 원인 질환의 분포를 알아보고, 원인 질환 감별을 위한 흉수의 분석지표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2002년 7월부터 2005년 7월까지 한양대학교 구리병원에 입원하여 흉수 천자를 시행하였던 298명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조사를 시행하였다. 대량 흉수는 흉부단순촬영에서 일측 흉곽의 2/3 이상을 차지한 경우로 정의하였고 각 환자에서 혈청 생화학 검사, 흉수 천자 소견을 비교하였다. 결 과: 전체 298명의 흉수 예 중 대량 흉수는 41예, 13.8% 이었다. 대량 흉수의 원인으로는 악성 흉수가 19예(46.3%)로 가장 많았고 결핵 15예(36.6%), 부폐렴성 흉막염 및 농흉 4예(9.8%), 여출성 흉수 3예(7.3%) 순이었다. 대량 흉수 중 악성 흉수(n=19)와 양성 흉수군(n=22)의 비교 시 악성 흉수에서 ADA가 낮고(30.5 vs 86.2;p=0.017), amylase 수치가 높았다(349.0 vs 39.2;p=0.031). 흉수 적혈구는 악성 흉수 군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다(95,406 vs 22,105;p=0.052). 결 론: 국내에서 대량 흉수의 원인으로는 악성 외에도 결핵에 의한 경우가 많았으며, ADA가 낮은 혈성 흉수는 악성을, ADA가 높은 림프구성 흉수는 결핵의 가능성을 고려해 볼 수 있겠다.

난소종양이 병발한 암컷 푸들에서 오른쪽 중간엽 폐염전으로 인한 만성적인 출혈성 흉수 증례 (Hemorrhargic Effusion Caused by Chronic Torsion of Right Middle Lung Lobe with Concurrent Ovarian Tumor in a Female Miniature Poodle Dog)

  • 김태환;홍수빈;김민경;신정인;장윤설;이재훈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530-535
    • /
    • 2015
  • 11년령의 암컷 미니어처 푸들이 4개월의 혈흉으로 본 병원에 의뢰되었다. 신체검사에서, 비록 청진상에서 오른쪽 흉곽의 심음이 희미했으나 환축은 기민한 상태였다. 방사선 상에서 흉강은 흉수로 가득 차 있었다. 초음파 상에서는 양쪽 난소는 낭포성 변화가 관찰되었고 간에서 여러 개를 결절을 확인했다. 컴퓨터 단층 촬영에서 오른쪽 중간엽으로 들어가는 기관지의 허탈을 확인한 후에 거칠게 보였던 오른쪽 폐의 음영은 오른 중간엽 폐염전으로 진단되었다. 진단 5일후에 오른쪽 5번째 갈비뼈 사이로 접근하여 중간엽을 절제하였고 동시에 난소자궁적출술도 실시되었다. 병리조직학적 검사에서 양쪽 난소에서는 유두상 선암종이 나타났고, 중간엽에서는 난소에서 전이된 것으로 의심되는 선암종이 진단되었다. 환축은 2달동안 순조롭게 회복되었다. 그러나 4달 후에 환축은 호흡곤란으로 내원하였다. 방사선 상에서 흉수와 오른쪽 앞엽과 왼쪽 뒤엽이 허탈 되어 있었다. 그리고 흉수에서 전이로 의심되는 악성 상피종 세포가 관찰되었다. 보호자에게 항암 치료를 권해드렸으나 보류하셨고 환축은 퇴원하였다. 본 보고의 목적은 종양으로 인한 출혈성 흉수로 폐염전이 발생할 수 있는 드문 증례를 보고 하기 위함이다.

Pleural Fluid Pentraxin-3 for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Pleural Effusions

  • Yeo, Chang Dong;Kim, Jin Woo;Cho, Mi Ran;Kang, Ji Young;Kim, Seung Joon;Kim, Young Kyoon;Lee, Sang Haak;Park, Chan Kwon;Kim, Sang Ho;Park, Mi Sun;Yim, Hyeon Woo;Park, Jong Y.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5권6호
    • /
    • pp.244-249
    • /
    • 2013
  • Background: Conventional biomarkers cannot always establish the cause of pleural effusions; thus, alternative tests permitting rapid and accurate diagnosis are required. The primary aim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ability of pentraxin-3 (PTX3) in order to diagnose the cause of pleural effusion and compare its efficacy to that of other previously identified biomarkers. Methods: We studied 118 patients with pleural effusion, classified as transudates and exudates including malignant, tuberculous, and parapneumonic effusions (MPE, TPE, and PPE). The levels of PTX3, C-reactive protein (CRP), procalcitonin (PCT) and lactate in the pleural fluid were assessed. Results: The levels of pleural fluid PTX3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patients with PPE than in those with MPE or TPE. PTX3 yielded the most favorable discriminating ability to predict PPE from MPE or TPE by providing the following: area under the curve, 0.74 (95% confidence interval, 0.63-0.84), sensitivity, 62.07%; and specificity, 81.08% with a cut-off point of 25.00 ng/mL. Conclusion: Our data suggests that PTX3 may allow improved differentiation of PPE from MPE or TPE compared to the previously identified biomarkers CRP and PCT.

Talc를 이용한 늑막유착술 후 발생한 급성 호흡곤란증후군 1례 (A Case of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ARDS) after Talc Pleurodesis)

  • 김기업;차건영;한상훈;윤여일;박성우;김도진;나문준;어수택;김용훈;박춘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1권3호
    • /
    • pp.265-269
    • /
    • 2001
  • 저자들은 악성 늑막삼출 환자에서 talc로 늑막유착술을 시행하여 급성 호흡곤란증후군을 보인 환자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