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licious Process

검색결과 196건 처리시간 0.022초

인터넷 웜 공격으로부터 서버를 보호하기 위한 악성 프로세스 제어 시스템 (A Malicious Process Control System for Protecting Servers from Internet Worm Attacks)

  • 김익수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5권3B호
    • /
    • pp.431-439
    • /
    • 2010
  • 탐지룰을 기반으로 하는 보안 시스템들은 신종 인터넷 웜에 대응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탐지룰을 사용하지 않고 인터넷 웜 공격으로부터 서버를 보호하는 악성 프로세스 및 실행파일 제거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 시스템은 보호대상서버와 동일한 서비스 프로그램을 구동하면서 인터넷 웜에 의한 멀티캐스팅 공격을 탐지하는 제어서버와 제어서버의 지시에 따라 보호대상서버에 생성된 악성 프로세스와 악성 실행파일을 제거하는 에이전트로 구성된다. 제안 시스템은 탐지룰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신종 인터넷 웜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으며, 기존의 보안 시스템들과 통합될 경우 보안을 더욱 강화할 수 있다.

안드로이드 모바일 정상 및 악성 앱 시스템 콜 이벤트 패턴 분석을 통한 유사도 추출 기법 (Normal and Malicious Application Pattern Analysis using System Call Event on Android Mobile Devices for Similarity Extraction)

  • 함유정;이형우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125-139
    • /
    • 2013
  • 안드로이드 기반 오픈 마켓의 개방성으로 인해 일반적인 정상 어플리케이션 뿐만아니라 공격자에 의해 개발된 악성 어플리케이션의 배포 역시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악성 어플리케이션들의 확산으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상용 모바일 단말을 대상으로 보다 정확한 방법으로 정상 앱과 악성 앱을 판별할 수 있는 메커니즘이 개발되어야 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 모바일 단말을 대상으로 정상 앱과 악성 앱으로 부터 이벤트 패턴을 분석하기 위해 안드로이드 오픈 마켓에서 가장 사용자 이용도가 높은 게임 앱을 대상으로 정상 이벤트 패턴을 분석하였고, Android MalGenome Project에서 배포하고 있는 1,260개의 악성 샘플들 중에서 게임 앱 형태에 해당하는 악성 앱과 유사 악성 앱 등을 대상으로 악성 이벤트 패턴을 분석하였다. 이와 같이 안드로이드 기반 모바일 단말에서 정상 앱과 악성 앱을 대상으로 리눅스 기반 시스템 콜 추출 도구인 Strace를 이용해 정상 앱과 악성 앱의 이벤트를 추출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정상 앱 및 악성 앱이 각각 실행되었을 때 발생하는 이벤트를 수집하여 각각의 이벤트 집합에 대한 연관성 분석 과정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정상 앱과 악성 앱 각각에 대한 이벤트 발생 특징 및 패턴과 분포도를 분석하여 이벤트 유사도를 추출할 수 있었으며 최종적으로는 임의의 앱에 대한 악성 여부를 판별하는 메커니즘을 제시하였다.

Mitigation of Adverse Effects of Malicious Users on Cooperative Spectrum Sensing by Using Hausdorff Distance in Cognitive Radio Networks

  • Khan, Muhammad Sajjad;Koo, Insoo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13권2호
    • /
    • pp.74-80
    • /
    • 2015
  • In cognitive radios, spectrum sensing plays an important role in accurately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licensed user. However, the intervention of malicious users (MUs) degrades the performance of spectrum sensing. Such users manipulate the local results and send falsified data to the data fusion center; this process is called spectrum sensing data falsification (SSDF). Thus, MUs degrade the spectrum sensing performance and increase uncertainty issues.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based on the Hausdorff distance and a similarity measure matrix to measure the difference between the normal user evidence and the malicious user evidence. In addition, we use the Dempster-Shafer theory to combine the sets of evidence from each normal user evidence. We compare the proposed method with the k-means and Jaccard distance methods for malicious user detection.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is effective against an SSDF attack.

클라우드 플랫폼을 이용한 악성 URL 및 수정된 APK 파일 검증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Verification System for Malicious URL and Modified APK File on Cloud Platform)

  • 제설아;응웬부렁;정수환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6권4호
    • /
    • pp.921-928
    • /
    • 2016
  • 최근 국내에서 개인정보를 유출하고 금전적 손실 등의 2차 피해를 발생시켜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스미싱 공격 기법은 악성 URL과 악성 어플리케이션이 주요 공격 요소인 사회 공학적 해킹 기법이다. 사용자는 스미싱 공격에 사용되는 문자메세지의 호기심을 유발시킬 수 있는 내용으로 인하여 의심없이 악성 URL에 접속하고 다운로드 되는 APK 파일을 검증 절차 없이 설치하기 때문에 쉽게 스미싱 공격에 노출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상용되는 스미싱 방지 앱 들의 경우 시그니쳐가 생성된 뒤부터 차단이 가능한 사후처리 방식이므로 빠른 대응이 어렵다는 문제점을 지닌다. 금전적인 2차적 피해를 유발할 수 있는 스미싱의 방지 대책으로 실시간으로 검사 가능하며 다운로드 되는 APK 파일의 수정여부를 확인 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클라우드 플랫폼을 이용한 악성 URL 및 악성 APK 파일 검증 시스템과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설계 및 구현하므로써, 스미싱 공격과 그에 따른 개인정보 유출 등의 2차 피해를 예방하고 한다.

A Two level Detection of Routing layer attacks in Hierarchical Wireless Sensor Networks using learning based energy prediction

  • Katiravan, Jeevaa;N, Duraipandian;N, Dharini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9권11호
    • /
    • pp.4644-4661
    • /
    • 2015
  • Wireless sensor networks are often organized in the form of clusters leading to the new framework of WSN called cluster or hierarchical WSN where each cluster head is responsible for its own cluster and its members. These hierarchical WSN are prone to various routing layer attacks such as Black hole, Gray hole, Sybil, Wormhole, Flooding etc. These routing layer attacks try to spoof, falsify or drop the packets during the packet routing process. They may even flood the network with unwanted data packets. If one cluster head is captured and made malicious, the entire cluster member nodes beneath the cluster get affected. On the other hand if the cluster member nodes are malicious, due to the broadcast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all the source nodes it can disrupt the entire cluster functions. Thereby a scheme which can detect both the malicious cluster member and cluster head is the current need. Abnormal energy consumption of nodes is used to identify the malicious activity. To serve this purpose a learning based energy prediction algorithm is proposed. Thus a two level energy prediction based intrusion detection scheme to detect the malicious cluster head and cluster member is proposed and simulations were carried out using NS2-Mannasim framework. Simulation results achieved good detection ratio and less false positive.

악성 URL 탐지를 위한 URL Lexical Feature 기반의 DL-ML Fusion Hybrid 모델 (DL-ML Fusion Hybrid Model for Malicious Web Site URL Detection Based on URL Lexical Features)

  • 김대엽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33권6호
    • /
    • pp.881-891
    • /
    • 2023
  • 최근에는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악성 URL을 탐지하는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대부분의 연구 결과에서 높은 탐지 성능을 보였다. 그러나 고전 머신러닝을 활용하는 경우 feature를 분석하고 선별해야 하는 추가 비용이 발생하며, 데이터 분석가의 역량에 따라 탐지 성능이 결정되는 이슈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이슈를 해결하기 위해 URL lexical feature를 자동으로 추출하는 딥러닝 모델의 일부가 고전 머신러닝 모델에 결합된 형태인 DL-ML Fusion Hybrid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한 모델로 직접 수집한 총 6만 개의 악성과 정상 URL을 학습한 결과 탐지 성능이 최대 23.98%p 향상되었을 뿐만 아니라, 자동화된 feature engineering을 통해 효율적인 기계학습이 가능하였다.

Windows 시스템 파일에 기생하는 악성코드의 치료 방법 연구 (A Study on Treatment Way of a Malicious Code to injected in Windows System File)

  • 박희환;박대우
    • 한국컴퓨터정보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255-262
    • /
    • 2006
  • 개인 정보의 탈취에 필요한 악성코드는 Phishing, Pharming메일, VoIP 서비스를 이용하는 Vishing, 모바일 금융을 위장한 SMiShing등에 이용되어진다. 악성코드의 삭제나 치료는 앤티바이러스나 스파이웨어 제거 프로그램을 사용한다. 그런데 Windows 시스템 파일에 기생하여 기생 동작하는 악성코드는 윈도우 운영체제에서 반드시 실행되어야 하는 프로세스인 lsass.exe, winlogon.exe, csrss.exe와 연계되어 있어 치료가 되지 않는다. 사용자가 바이러스의 치료를 위하여 임의로 프로세스를 강제 종료하려 한다면 운영체제 시스템 전체가 리부팅이 발생하거나 블루 스크린이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치명적인 결과를 발생하는 Windows 시스템 파일에 기생하는 악성코드를 치료하는 새로운 치료방법을 제안한다. 새로운 치료를 위한 Thread에 종료함수를 임의로 삽입하고 Thread를 제어하여 기생 동작을 종료하고, 종료함수가 가지는 Thread를 다시 Injection 한 후 KILL DLL 클릭하여 삭제한다. 본 논문에서 실험을 한 치료방법과 해결하는 방안은 컴퓨터 바이러스의 대한 획기적인 차원의 연구가 될 것이며 경제와 금융사회의 유비쿼터스보안을 강화하는 초석이 될 것이다.

  • PDF

DLL injection 기법을 이용하는 악성코드의 새로운 치료 방법 연구 (A Study on New Treatment Way of a Malicious Code to Use a DLL Injection Technique)

  • 박희환;박대우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251-258
    • /
    • 2006
  • 개인 정보의 탈취에 필요한 악성코드는 Phishing, Pharming메일, VoIP서비스를 이용하는 Vishing, 모바일 금융을 위장한 SMiShing 등에 이용되어진다. 악성코드의 삭제나 치료는 앤티바이러스나 스파이웨어 제거 프로그램을 사용한다. 그런데 DLL Injection 기법을 이용하여 기생 동작하는 악성코드는 윈도우 운영체제에서 반드시 실행되어야 하는 프로세스인 Isass.exe, winlogon.exe, csrss.exe와 연계되어 있어 치료가 되지 않는다. 사용자가 바이러스의 치료를 위하여 임의로 프로세스를 강제 종료하려 한다면, 운영체제 시스템 전체가 리부팅이 발생하거나 블루 스크린이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치명적인 결과를 발생하는 DLL Injection 기법을 이용하는 악성코드를 치료하는 새로운 치료방법을 제안한다. 새로운 치료를 위한 Thread에 종료함수를 임의로 삽입하고 Thread를 제어하여 DLL의 동작을 종료하고, 종료함수가 가지는 Thread를 다시 Injection 한 후 KILL DLL 클릭하여 삭제한다. 본 논문에서 실험을 한 치료방법과 해결하는 방안은 컴퓨터 바이러스의 대한 획기적인 차원의 연구가 될 것이며 경제와 금융사회의 유비쿼터스 보안을 강화하는 초석이 될 것이다.

  • PDF

모바일 앱 실행시 커널 계층 이벤트 시퀀스 유사도 측정을 통한 악성 앱 판별 기법 (Malicious App Discrimination Mechanism by Measuring Sequence Similarity of Kernel Layer Events on Executing Mobile App)

  • 이형우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25-36
    • /
    • 2017
  • 최근 스마트폰 사용자가 증가함에 따라 특히 안드로이드 기반 모바일 단말을 대상으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이 개발 및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악의적인 목적으로 개발된 악성 어플리케이션 또한 3rd Party 오픈 마켓을 통해 배포되고 있으며 모바일 단말 내 사용자의 개인정보 또는 금융정보 등을 외부로 유출하는 등의 피해가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안드로이드 기반 모바일 단말 사용자를 대상으로 악성 앱과 정상 앱을 구별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앱 실행시 발생하는 시스템 콜 이벤트를 추출해서 악성 앱을 탐지하는 기존 관련 연구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다수의 모바일 단말에서 앱이 실행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커널 계층 이벤트들에 대한 발생 순서간 유사도 분석을 통해 악성 앱을 판별하는 기법을 제안하였으며 상용 단말을 대상으로 실험 결과를 제시하였다.

악성 댓글의 특성: 한국어와 영어의 인터넷 뉴스 댓글 비교 (The Characteristics of Malicious Comments: Comparisons of the Internet News Comments in Korean and English)

  • 김영일;김영준;김영진;김경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548-558
    • /
    • 2019
  • 인터넷 뉴스 댓글이 보편화 됨에 따라 악성 댓글이 확산되었고 이는 많은 사회 문제를 일으켜 왔다. 글은 심리 상태나 성격을 반영하기 때문에 악성 댓글을 분석하면 댓글을 작성할 때의 마음 상태를 추론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영어권과 한국어권의 악성 댓글을 LIWC와 KLIWC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영어와 한국어 공통으로 문장, 어절, 형태소, 문장 당 어절, 문장 당 형태소, 긍정적인 정서, 인지적 과정을 나타내는 단어가 악성 댓글이 일반 댓글보다 적게 사용되었으며, 3인칭 단수, 화, 정서적 과정을 나타내는 단어, 물리적 상태와 기능을 나타내는 단어, 속어가 악성 댓글이 일반 댓글보다 많이 사용되었다. 이는 악성 댓글을 작성할 때 사람들이 분노의 감정을 조절하지 못하고 충분히 생각하지 않은 상태에서 글을 작성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댓글 작성 시, 작성 글을 모니터링 하도록 유도하거나 부정적 정서의 어휘가 많이 사용된 글을 다른 이용자에게 노출 시키지 않는 등의 방법을 인터넷 뉴스 서비스 제공자가 고려할 필요가 있다. 한편, 영어의 악성 댓글과 한글의 악성 댓글은 진정성 측면에서 차이가 발생했다. 좀 더 객관적 연구를 위해서 여러 시점의 댓글을 모집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