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Maleic Anhydride

검색결과 257건 처리시간 0.019초

카르본산계 고성능감수제를 첨가한 시멘트 모르타르의 유동 특성 (Flow and Strength Properties of Cement Mortar Mixed with High Range Water Reducer Containing Carboxylic Acid)

  • 김화중;강인규;권영도;김우성;황재현;김원기;박기청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1995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42-147
    • /
    • 1995
  • In this study, styrene-maleic anhydride copolymer (SMA) was synthesized from styrene and maleic anhydride and further reacted with sulfuric acid to obtain water-soluble SMA and the flow and strength tests of cement mortar mixed with copolymers were carried out to evaluate the capability of copolymers as high range water reducer for the concrete. It was found from flow experiment that the fluidity of cement mortar mixed with sulfonated SMA (SSMA) was larger than that miced with aminophenol-substituted SSMA (SmSMA). The decreasing rate of the flow of cement mortar mixed with SSMA and SmSMA was decreasing rate of the flow of cement mortar mixed with SSMA and SmSMA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mixed with naphthalene condensate (NSC). The compressive strength of the hardened cement mortars containing 0.5% copolymers after 28 days curing was examined. The compressive strength of hardened cement mortar containing SSMA and SmSMA was increased up to 32% and 13%, respectively, when compared to the plain. As the results, the copolymers (SSMA and SmSMA) used in this study are greatly expected as a good high range water reducers for the concrete.

  • PDF

Micromechanical 시험법과 음향방출을 이용한 Flax 와 Hemp 섬유 강화 에폭시 복합재료의 계명 물성 평가 (Interfacial Evaluation of Modified Jute and Hemp Fibers/Polypropylene (PP)-Maleic Anhydride Polypropylene Copolymers (PP-MAPP) Composites Using Micromechanical Test and Nondestructive Acoustic Emission)

  • 트란콩손;황병선;박종만
    • 한국복합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복합재료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57-160
    • /
    • 2005
  • The surface energies and acid-base interaction between the untreated and treated Jute or Hemp fibers and different matrix compositions of polypropylene-maleic anhydride polypropylene copolymers (PP-MAPP) were investigated using dynamic contact angle measurement. The contribution of the acid-base property into the interfacial adhesion of the natural fibers/matrix systems were characterized by calculating the work adhesion coming from the acid-base interaction. On the other hand, microfailure mechanism of both single Jute and Hemp fiber bundles were investigated using the combination of single fiber tensile test and acoustic emission. Distinctly different micro failure modes of the different natural fiber/polypropylene systems wet ε observed using optical microscope and determined indirectly by AE and their FFT analysis.

  • PDF

상용화된 EVOH/SMA 블렌드의 결정화 거동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Crystallization Behavior of the Compatible EVOH/SMA Blends)

  • 김형일;안병현;박순호
    • 공업화학
    • /
    • 제5권3호
    • /
    • pp.379-384
    • /
    • 1994
  • ethylene-vinyl alcohol(EVOH) 공중합체와 styrene-maleic anhydride(SMA)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일련의 블렌드계에서 상용화 정도가 결정성 고분자 분산상의 결정화 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블렌드의 결정화거동과 morphology는 각각 시차열량분석기(DSC) 및 주사전자현미경(SEM)을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상용화 정도에 따라 분산상의 결정화 중 일부분이 저온 영역으로 크게 이동하여 나타났다 상용화 블렌드계에서 나타나는 이러한 결정화온도의 이동은 분산상의 homogeneous crystallization에 기인한 것이었다.

  • PDF

ABS 수지의 내열성 강화를 위한 화합물인 N-phenylmaleimide의 상업화를 위한 촉매 개발 (Development of a Catalyst for the Commercialization of N-phenylmaleimide for Strengthening the Heat Resistance of ABS Resins)

  • 정헌주;양윤승;김석찬
    • 공업화학
    • /
    • 제28권6호
    • /
    • pp.645-648
    • /
    • 2017
  •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ABS 수지의 내열성 강화를 위한 화합물인 N-phenylamleimide (PMI)의 상업화를 위한 촉매개발을 완료하였다. Maleic anhydride와 aniline과 반응을 통하여 중간체인 N-phenylmaleamic acid (PMA)를 정량적으로 얻은 후, PMI를 얻기 위한 촉매를 탐색하였다. Zinc acetate/$Et_3N$의 복합 촉매가 단일 산 촉매보다 우수한 성능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개발된 복합 촉매를 사용하여 추가 정제 공정 없이 90% 수율과 99.3%의 순도로 PMI를 합성할 수 있었다.

저온 충격강도 및 대전방지성 향상을 위한 개질 EPDM을 함유한 polyamide alloy의 제조 및 물성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olyamide/MEPDM Alloy to Improve a Low Temperature Impact Strength and Antistatic Property)

  • 이수;진석환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99-305
    • /
    • 2011
  • Alloys of nylon(PA6) and ethylene-propylene-diene polymer, modified with maleic anhydride(MEPDM) were prepared using a melt kneading process. This study focuses on the effects of the content of MEPDM in PA6 blend on the mechanical and thermal properties of such blends where MEPDM is the dispersed phase. Mechanical properties were examined by stress-strain measurements and impact strength test. Both impact strength of PA6/MEPDM at room temperature and at $-20^{\circ}C$ were improved up to 400-550% with the amounts of MEPDM. However, PA6/MEPDM containing 3-5 wt% of MEPDM showed the about $700kg_f/m^2$ of the maximum tensile strength but 8.5 % of the lowest elongation. For certain compositions of PA6 with rubbery MEPDM, the interesting reduction of elongation is caused by the reaction of the polyamide amine end groups with maleic anhydride portion in MEPDM, that provided a reinforcement in the PA6 matrix. In addition, the introduction of antistatic agent on the surface of alloys causes significant reduction of their surface electrostatic resistance.

PPS/ABS 블렌드의 동력학적/기계적 특성 (Dynamic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PPS/ABS Blends)

  • 이영관;김준명;이미영;남재도;박연흠;박찬석
    • 폴리머
    • /
    • 제26권1호
    • /
    • pp.139-144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PPS와 ABS의 물성을 상호보완하며, 두 성분간의 상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반응압출법을 이용하여 maleic anhydride(MAH)를 ABS에 치환시켜 MABS를 제조하였으며, ABS의 화학적 개질이 블렌드의 기계적 및 동력학적 물성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동력학적 특성 분석을 통하여서는 PPS/MABS 블렌드가 거의 전조성 영역에서 단일 유리전이온도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블렌드의 기계적 성질은, 상용화제를 포함하고 있는 블렌드가 더욱 강한 인장강도, 굴곡강도, 충격강도 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이는 상용화제의 도입으로 인해 분산상과 매트릭스 사이의 계면장력이 낮아져 분산상의 크기가 작아지며 계면간의 상호작용이 증진되어 물성이 향상되었기 때문이다.

변성 전분-폴리락트산 블렌드의 상용성 및 물성 (Compatibilization and Properties of Modified Starch-Poly(lactic acid) Blend)

  • 이상환;김덕준;김지흥;이동현;심상준;남재도;계형산;이영관
    • 폴리머
    • /
    • 제28권6호
    • /
    • pp.519-523
    • /
    • 2004
  • 폴리락트산과 상용성을 높이기 위해 전분에 무수 말레산을 그래프팅한 변성 전분을 제조하여 폴리락트산과 혼합하였다. DSC와 TGA 열적거동에서 폴리락트산/변성 전분 혼합체는 폴리락트산에서 관찰되는 172$^{\circ}C$에서의 용융 피크 외에 1$65^{\circ}C$에서 새로운 용융 피크가 관찰되었으며, 열분해 곡선에서는 폴리락트산/변성 전분 혼합체의 분해 온도가 보다 완만하게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계적 강도의 측정에서는 폴리락트산/변성 전분이 폴리락트산/전분 혼합체와 비교하여 탄성률이 약 12% 증가하였으며, 이는 SEM 이미지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폴리락트산과 변성 전분의 계면 접착력이 향상되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생분해성 PBAST와 변형 열가소성 전분 블렌드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Biodegradable Blends of PBAST and Chemically Modified Thermoplastic Starch)

  • 신부영
    • 폴리머
    • /
    • 제35권6호
    • /
    • pp.580-585
    • /
    • 2011
  • 본 연구는 석유유래 생분해성 고분자인 poly(butylene adipate-co-succinate-co-terephthalate)(PBAST)의 생분해도와 친환경성을 높이기 위하여 변형 열가소성 전분(CMPS, chemically modified thermoplastic starch)을 첨가하였다. CMPS는 천연고분자인 전분을 가소제, maleic anhydride(MA) 및 반응개시제로 반응시켜 제조한 일종의 식물유래 생분해성 수지이다. PBAST/CMPS 블렌드의 파단면 사진으로부터 PBAST와 CMPS 상이 분리된 비혼화성 (immiscible blend) 블렌드이지만 상 사이의 계면 형상이 좋은 상용성 블렌드임을 알 수 있었다. 인장강도와 연신율은 CMPS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지만 탄성률은 증가하였다. 블렌드의 생분해도는 순수 PBAST에 비해 매우 높았고 CMPS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케냐프 섬유 조성에 따른 PP/케냐프 펠트 복합체의 물리적 성질 연구 (A Study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PP/Kenaf Felt Composites According to Kenaf Fiber Compositions)

  • 구선교;김연철
    • 공업화학
    • /
    • 제33권5호
    • /
    • pp.471-476
    • /
    • 2022
  •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에 고 함량의 케나프 섬유(kenaf fiber, KF)를 투입하기 위해 PP/KF 펠트가 사용되었으며, 바인더로 폴리우레탄(polyurethane, PU)이 사용되었다. PU 바인더의 조성비 선정을 위해 이소시아네이트와 polyol 비율에 따른 PP/KF/PU 펠트 복합체의 굴곡 강도를 평가하였다. 상용화제로 말레인산 무수물(maleic anhydride, MAH)이 그라프트된 PP-g-MAH가 적용되었다 PP/KF/PU 펠트 복합체의 기계적 물성 변화를 고찰하기 위해 인장, 굴곡 및 충격 특성을 평가하였고, 기계적 물성이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폴리프로필렌/유리섬유 복합재료의 유변물성에 미치는 상용화제의 영향 (The Effect of Compatibilizer on the Rheological Properties of Polypropylene/Glass-fiber Composites)

  • 이승환;윤재륜
    • Composites Research
    • /
    • 제19권3호
    • /
    • pp.15-22
    • /
    • 2006
  • 유리섬유로 강화된 폴리프로필렌 복합재료를 이축압출장치를 이용하여 제조하였으며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유리섬유간의 결합성을 증대시키고 가공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말레익 안하이드라이드(maleic anhydride) 결합기를 가지는 상용화제를 첨가하였다. 제조된 폴리프로필렌/유리섬유 복합재료에 대한 전단유동과 신장유동의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특히 상용화제 첨가와 유리섬유의 함량에 대한 영향을 주로 평가하였다. 전단유동에서 상용화제는 폴리프로필렌과 유리섬유간의 결합력을 증대시키고, 흐름성을 개선시키는 역할을 하였으며, 신장유동에서는 유리섬유의 함량이 증가됨에 따라서 신장점도를 더욱 증가시켜주는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신장속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유리섬유 사이에서 형성되는 미세한 전단유동의 영향으로 오히려 신장점도는 감소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