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lassezia infection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5초

개에서 조사된 높은 지방 친화성 Malassezia 감염율 (High Prevalence of Lipid-Dependent Malassezia Infections in Dogs)

  • 한재익;조상희;나기정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30-135
    • /
    • 2010
  • Malassezia 종은 온혈 척추동물의 정상 미생물총을 구성하며, 개에서는 비지방친화성인 M. pachydermatis가 주로 감염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습도가 높은 한국의 여름 동안 개에 감염을 일으킨 말라세지아종의 분포를 조사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2006년 6월부터 10월까지 총 50개의 샘플을 채취하여 배양한 후 PCR-RFLP와 direct sequencing을 통해 분석하였다. 조사 결과 지방친화성 종인 M. furfur와 M. obtusa가 전체 96%를 차지하였으며, M. pachydermatis는 4%만을 구성하였다. 이 결과는 기후에 따라 감염을 일으키는 Malassezia 종에 차이가 있을 수 있음을 보여준다.

개 외이도내 Malassezia pachydercatis 감염에 대한 면역 반응 (Immune Reaction to Infection by Malassezia pachydercatis in Canine Ezternal Ear Canals)

  • 이진희;오태호;한홍율;조상내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30-139
    • /
    • 1996
  • Malassezia pachydercatis균은 개 외이염의 주된 원인균으로 알려져 있으나, 그 감염률은 지역에 따라 많은 차이가 있다. 그러나 그 기병론적인 역할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이에 본문에서는 국내에서 사육되는 개의 외이염에서 Malassezia pachydercatis 균의 분리율을 조사하고, Malassezia pachydercatis에 대한 혈중 항체와 외이염과의 연관성을 밝혀 Malassezia pachydercatis에 의한 외이염 진단을 위한 도구로서 간접 ELISA 법의 유용성을 평가해 보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총 112두 중, 외이염에 감염된 개 44두와 정상견 68두를 대상으로, 심부외이도에서 취한 가검물을 배양검사하였고, Malassezia pachydercatis 항원에 대한 혈청내 IgG와 IgM 역가를 간접 ELISA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살아있는 Malassezia pachydercatis 균을 3두의 정상견 외이도에 접종하여 Malassezia pachydercatis 균의 실험적 감염에 대한 조직병리학적 소견, 조직내 침투 정도, 그리고 접종 후 시간경과에 따른 IgG와 IgM의 혈중 역가변화를 측정하였다. Malassezia pachydercatis 균은 외이염이 있는 개 귀에서 가장 높게 분리(50.0%)되었고, 정상귀에서는 낮게 분리(6.3%)되었다. Malassezia pachydercatis 항원을 이용한 간접 ELISA 법 진단에서, Malassezia pachydercatis 양성배양인 외이염 개체에서 IgG와 IgM에 대한 민감도는 각각 41.7%, 20.8%이었고 특이도는 88.2%, 85.2% 이었다. 실험적으로 Malassezia pachydercatis 를 접종한 3두중 1두에서만 조직병리학적 변화와 모낭에 Malassezia pachydercatis 균체가 확인되었으며, IgG와 IgM 혈중역가도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국내에서 사육되는 개 외이염의 주된 원인균은 Malassezia pachydercatis 균이었고 이 균의 혈중항체는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으며(p<0.005), 간접 ELISA법은 Malassezia pachydercatis 에 의한 개외이염의 유용한 진단도구임을 증명하였다.

  • PDF

A Suspected Case of Hyperkeratotic Head and Neck Malassezia Dermatosis Presenting with Acanthosis Nigricans

  • An, Min Kyun;Yoon, Ji Ha;Cho, Eun Byul;Park, Eun Joo;Kim, Kwang Ho
    • Journal of Mycology and Infection
    • /
    • 제23권4호
    • /
    • pp.111-114
    • /
    • 2018
  • A 19-year-old woman presented with an asymptomatic cutaneous discoloration on her nape. Dermatological examination revealed localized dark brown to dark pigmented velvety macules and patches. She denied a past medical history, except for a 7-kg weight gain over a 6-months period. Histopathologically, the specimen showed hyperkeratosis, epidermal hyperplasia, mild acanthosis, and papillomatosis. In addition, keratin material and fungal spore were noted between the papilloma ridges. Periodic acid-Schiff special stain showed a positive result for the fungal spore in the horny layer. She was treated with a daily oral dose of terbinafine and topical flutrimazole. After 12 weeks of treatment, she is currently under observation without pigmentation and adverse effect. We considered the initial diagnosis as acanthosis nigricans because of weight gain, similar clinical features, and histological findings. However, the final diagnosis was hyperkeratotic head and neck Malassezia dermatosis considering the presence of yeast and the dramatic improvement after antifungal treatment.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hyperkeratotic head and neck Malassezia dermatosis is not well characterized in the literature. It is an unusual variant of pityriasis versicolor. The skin lesion appears brown to dark, scaly, and hyperkeratotic macules and patches located on the face and neck. Here, we reported an unusual case of hyperkeratotic head and neck Malassezia dermatosis.

In vitro Study and Clinical Trial of Natural Essential Oils and Extract Against Malassezia Species

  • Lee, Min Young;Na, Eui Young;Yun, Sook Jung;Lee, Seung-Chul;Won, Young Ho;Lee, Jee-Bum
    • Journal of Mycology and Infection
    • /
    • 제23권4호
    • /
    • pp.91-98
    • /
    • 2018
  • Background: Malassezia, a lipophilic yeast, is a causative agent for dandruff and seborrheic dermatitis. Many biological agents have been studied for anti-Malassezia effect but further studies are needed for their clinical application. Objective: The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inhibitory effect of different natural essential oils and a fruit extract on Malassezia species in an in vitro study and a clinical trial. Methods: The antifungal effects of natural essential oils and a fruit extract on Malassezia species (M. furfur and M. sympodialis) were evaluated by measuring th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and minimum fungicidal concentration (MFC) and using the disc diffusion method. Natural essential oils of citron seed, lavender, and rosemary and citrus junos fruit extract were used for the in vitro study. The clinical trial was conducted with a shampoo containing four ingredients. A total of 22 subjects used the shampoo every day for 4 weeks and were evaluated using clinical photography, trichoscopy, and sebumeter at baseline, 2 weeks, and 4 weeks after treatment. Results: Antifungal activity of agents was relatively lower in lavender and rosemary essential oils at MIC and MFC. Disc diffusion method revealed same results. In the clinical trial, the amount of sebum decreas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nd erythema, dandruff, and lesion extent also improved. Conclusion: The natural essential oils and fruit extract are effective for suppressing Malassezia activity, therefore these might be used as an alternative for treatment of dandruff and seborrheic dermatitis.

개의 아토피성 피부염에 대한 cyclosporine의 경구 요법 (Application of oral cyclosporine in a dog with atopic dermatitis)

  • 박성준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439-444
    • /
    • 2005
  • A 7.1 kg, seven-year old, castrated male, Shih-Tzu with severe pruritus, chronic otitis externa and Malassezia infection was referred to Veterinary Medical Teaching Hospital of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In local animal hospital, steroid therapy was used to treat uncontrollable pruritus, but the clinical signs were recurrent when steroid therapy was discontinued. On physical examination, generalized alopecia, erythema, papules, severe crust and diffuse lichenification were presented. Tape strip test of skin lesions revealed cocci and Malassezia infections. Based on the result of history, clinical signs and examination described above, canine atopic dermatitis with secondary superficial pyoderma and Malassezia dermatitis was diagnosed. Oral challenge with cyclosporine and antibiotics had good results in clinical signs. Clinical sign scores were evaluated by investigator with CADESI at 2weeks, 4weeks, 6weeks, 8weeks and 10weeks after cyclosporine administration. And in the result of comparing of allergen-specific IgE value, the level of allergen-specific IgE to general causative allergen after 10 weeks of cyclosporine therapy was higher than that before cyclosporine therapy.

비듬균(Malassezia furfur)에 대한 식물 오일들의 항균활성 및 활성오일의 성분 분석 (Chemical Composition and Antifungal Activity of Plant Essential Oils against Malassezia furfur)

  • 이정현;이재숙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315-321
    • /
    • 2010
  • 비듬균(Malassezia furfur) 는 두피 질환을 일으키는 중요한 요소로써 오늘날 이러한 균들을 치료하는 치료제는 거의 없다. 몇몇의 전의 연구에서 오일들의 다양한 생물학적 활성이 보고되어졌지만 그것들의 항비듬균 활성은 거의 연구되지 않았고, 특히 Malassezia furfur에 대한 저해 활성은 보고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Malassezia furfur에 대한 식물 오일들의 저해활성을 평가하고, 이러한 오일 중에서 가장 활성이 좋은 오일을 가스 크로마토그래피(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에 의해 성분을 분석하였다. 1차적으로 108개 오일의 스크리닝 과정에서 17개 오일[Allium sativum L., Carum carvi L., Coriandrum sativum L., Myroxylon balsamum var. pereirae Royle, Nepeta cataria L., Origanum vulgare L., Mentha pulegium L., Satureja hortensis L., Thymus vulgaris L. Thymus vulgaris L., Cinnamomum zeylanicum Blume, Pimenta dioica(L.) Merr., Eugenia caryophyllata Thumb.(Clove bud), Eugenia caryophyllata Thumb.(Clove leaf), Cymbopogon nardus L., Cymbopogon martinii Stapf., Citrus aurantifolia Swing. and Pimenta racemosa(Mill.) J.W.Moore] 이 2 mg/mL 의 농도에서 대조구인 이크라코나졸(itraconazole)과 비슷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17개 오일 중에서 Citrus auranifolia 오일이 가장 활성이 좋았으며, 처리농도 (1.5 mg/mL, 1.0 mg/mL, 0.5 mg/mL와 0.1 mg/mL) 에 따라 활성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Citrus auranifoli 오일의 가스크로마토그래피(GC-MS) 성분분석 결과 limonene, ${\gamma}$-terpinene and terpinolene의 함유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Citrus auranifolia 오일은 곰팡이 유래 질병들을 치료하기 위한 활성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전북지역의 외이염에 감염된 개에 있어서 Malassezia pachydermatis 이환율 (Prevalence of Malassezia pachydermatis in Canine Otitis Externa in Chonbuk)

  • 전승기;박영재;김희은;김남수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5
    • /
    • 2006
  • 2002년 1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전북지역의 동물병원에 외이염으로 내원한 환자의 Malassezia pachydermatis 이환율을 조사하였다. 외이염으로 진단된 총 589두의 개에서 243두(37.6%)가 M pachydermatis에 감염되어 있었다. 외이염에 감염된 개의 품종, 나이, 계절, 귀의 형태 등과 M. pachydermatis의 이환율과의 상호 관계를 조사하였다. 연령별로는 1-2년, 계절은 여름철, 귀는 pendulous 형태의 귀가 이환율이 높게 나타났다. 특히 귀의 형태와 계절적인 요인이 M. pachydermatis 이환율과 가장 관계가 깊은 것으로 나타났다.

개에서 외이도염 및 정상외이도에서 분리한 세균총에 대한 연구 (Microfloras of otitis externa and normal external ear canals in dogs)

  • 김기향;최원필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566-574
    • /
    • 199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outbreak rate and the causative agents of otitis externa in 26 dogs (49 ears ; 23 dogs = bilateral, 3 dogs = unilateral), and the normal microfloras of external ear canal in 68 dogs(133 ears ; 65 dogs = bilateral, 3 dogs = unilateral ) in Taegu, 1997. The breed, living environment, sex, age and season distribution of otitic dogs were as follows : Dogs with erect and hairy ears(42.3%), pendulous and hairy ears(38.5%), indoor(92.3%), female(65.4%) and below one year old(38.5%) were more prevalent. According to season, otitis externa was mainly occurred between July and October. The major causative agents of canine otitis externa were Malassezia pachydermatis (32.7%), Staphylococcus aureus (26.5%) and S intermedius (16.3%). In the microorganism isolated 39 otitic ear canals, single infection was 53.8% and mixed infection was 46.2%. The normal microfloras of canine external ear canal were fungi including M pachydermatis, Aspergillus spp, Microsporum canis, Alternaria spp, Verticillium spp and Yeast, and bacteria including Staphylococcus spp(10 species including S xylosus), Bacillus spp, Corynebacterium spp, Listeria spp, Actinomyces pyogenes and Escherichia coli. No growth was 34.6%.

  • PDF

개 외이도에서 분리된 Malassezia pachydermatis에 대한 키토산의 항진균 효과 (Antifungal Effect of Chitosan against Malassezia pachydermatis Isolated from the Dog with Otitis Externa)

  • 오현호;김영인;서정아;최성원;배슬기;오태호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23-327
    • /
    • 2012
  • The effect of pH of chitosan solution (w/v) on antifungal activity against Malassezia pachydermatis isolated from a dog with otitis externa was evaluated.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o find out the optimal pH of chitosan solution that could be able to eliminate yeast cells. For comparison of antifungal activity of chitosan solution 2% chlorhexidine that have been already proved the antifungal effect against M. pachydermatis was used as positive control. The chitosan solution at different pH (2.5, 3.0, 3.5, 4.0, 4.5, 5.0) were involved this experiment. The chitosan solutions at each pH could eliminate a number of yeast cells when they were compared to other antifungal agents. In chitosan solution's antifungal effect of varying degrees according to the pH M. pachydermatis was inhibited at pH of < 5.0. Especially it has been proved an effective antifungal effect at pH 3.5. Therefore, the pH of chitosan solution had a effect on antifungal activity and the optimal pH was 3.5 in vitro. The possibility of topical therapy with acidific solution of chitosan has a potential in skin infection against M. pachydermatis.

고위험 극소저체중 출생아에서 fluconazole 예방요법 (Fluconazole prophylaxis in high-risk,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 김수영;이순주;김미정;송은송;최영륜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0권7호
    • /
    • pp.636-642
    • /
    • 2007
  • 목 적 : 면역력이 약한 미숙아나 저체중 출생아에 여러 가지 침습적 조작으로 인한 항생제 사용이 진균 감염, 특히 칸디다 감염의 위험을 증가시킨다. 이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fluconazole 예방요법이 칸디다 감염율과 사망률을 감소시켰다는 보고가 있다. 본 연구는 1,500 g 미만의 극소저체중 출생아들에 대한 예방적 항진균제 사용이 칸디다 감염의 발생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전남대학병원 신생아중환자실에 입원한 1,500 g 미만의 극소저체중 출생아 중 기관내 삽관이나 제대 동정맥 또는 경피적 중심정맥 삽입술을 받은 환아로, 예방적으로 항진균제를 사용하지 않았던 2005년 1월 1일부터 2005년 7월 31일까지 7개월간의 환아를 'fluconazole 비사용군'으로, 사용하였던 2006년 1월 1일부터 2006년 7월 31일까지 7개월간의 환아를 'fluconazole 사용군'으로 하였다. 사용군 29명, 비사용군 28명을 대상으로 진균 감염의 위험인자로 알려진 임상특성과 칸디다 감염증의 발생빈도, 사망률 및 fluconazole의 약물 부작용을 관찰하였다. Fluconazole은 생후 첫 3일에 시작하여 4주간 예방적으로 투여하였으며 시행 첫 1주일은 체중(kg)당 3 mg을 3일 간격으로, 그 다음 주부터는 격일로 투여하였다. 결 과 : 두 군 사이에 재태주령, 출생체중, 성별, 쌍생아, 분만방식에 차이는 없었다. 산과적 인자인 장기 조기 양막파수, 융모양막염 및 산전 스테로이드 사용 빈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신생아 칸디다 감염증의 위험인자로 알려진 1,000 g 미만 초극소저체중 출생아 빈도와 예방적 항생제 사용, 총정맥내 영양요법, 제대동정맥 삽입술 빈도와 유지기간, 지방유제 투여기간 및 기관내 삽관과 지속적 양압환기 사용기간에 두 군간 차이는 없었으나, 비사용군에 비해 사용군이 경피적 중심정맥 삽입술과 지방유제 사용빈도가 높았고 경피적 중심정맥관 유지기간이 길었다. Fluconazole 사용군과 비사용군 간에 진균감염의 빈도와 사망률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사용군에서 Malassezia 진균혈증이 5명 발생하였지만 칸디다 감염은 1명도 발생하지 않아 비사용군 5명(칸디다혈증 3명, 침습성 칸디다증 2명)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결 론 : 극소저체중 출생아에서 fluconazole의 예방적 투여가 칸디다 감염의 발생빈도를 유의하게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아 비용-효과 면에서 항진균제의 예방적 투여가 고려될 수 있겠으나, Malassezia 진균혈증의 증가 원인에 대해서도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