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l-gun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3초

조선시대[朝鮮時代] 말군의 실물 제작법에 관한 연구 (Study on Manufacturing Actual Mal-gun from Joseon Dynasty -Based on the Excavated Mal-gun from Seok-nam-dong, In-chceon-)

  • 정미숙;송미경
    • 복식
    • /
    • 제57권7호
    • /
    • pp.153-161
    • /
    • 2007
  • In 2004, Mal-gun(抹裙) was excavated from a plastered tomb in Seok-nam-dong, In-cheon. This tomb is assumed to be from an upper-class woman. The excavated Mal-gun was used to fill in the empty spaces in coffin, and it was seriously damaged and foxed dark. The Mal-gun is made with thin, loose Sook-cho(숙초), and the width of the fabric is 70cm. Both sides of the crotches are overlapped in front, and the back is opened. The waist straps are detached, leaving a little part to show the width of the straps. The hems of the Mal-gun are sewed straight, without any pleats, except some spaces for the feet to go through. This study compared the Mal-gun of Joseon Dynasty from the documentary records and picture records with the excavated Mal-gun from Seok-nam-dong, In-chceon. Also, actual Mal-gun was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excavated Mal-gun to study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and the formation. As a result, the excavated Mal-gun has the same form of that shown in Ak-hak-gwae-bum, a documentary record from the early period of Joseon Dynasty.

한국형 기동헬기 내폭발성 만족을 위한 연료 벤트 시스템 설계개선 (Design Improvement of Vent System for Korean Utility Helicopter's Anti-Explosion Fuel Tank)

  • 김정훈;김창영;장중진;이말영;심대성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76-81
    • /
    • 2014
  • 군용 헬리콥터는 적 지역에 침투 시 저공비행 및 침투비행으로 인해 적의 소형화기에 노출되면서, 피탄에 의한 항공기의 폭발 유발 가능성이 높다. 최근 군요구도에 있어서 피탄에 의한 폭발 환경에 대해서 생존성 확보를 위한 내탄 성능을 요구한다. 국내 최초의 군용 헬리콥터인 한국형기동헬기의 연료계통 요구도에도 적의 피탄에 대한 내폭발성을 요구하고 있으며, 요구도 충족을 위해 국내 최초로 탑재형 불활성 가스발생장치(OBIGGS)를 적용하였다. 개발단계에서 미흡하게 설계된 내폭발성과 연관된 Vent System을 개선하여 내폭발성 성능을 재평가하고 설계에 적합함을 입증하였다.

Detection of CTX-M and Clonal Analyses using MLST in Cefotaxime Resistant $Escherichia$ $coli$ Isolated from the Han-River, Korea

  • Son, Gun-Woo;Kim, Mal-Nam
    • 환경생물
    • /
    • 제29권4호
    • /
    • pp.286-295
    • /
    • 2011
  • Bacteria resistant to various antibiotics have recently become an issue of the utmost importance. Resistant strains are not uncommon, even in municipal drinking water sources. The health threat posed by resistant, pathogenic bacteria has serious ramifications for both public health and agriculture. In this study, we isolated antibiotic resistant bacteria from water samples from the Han River, Korea, which is contaminated by the wastewater from many industrial complexes, hospitals, agricultural and animal husbandry estates, and from wastewater treatment facilities. We determined the degrees of resistance to various antibiotics exhibited by the isolated strains.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isolated $E.$ $coli$ strains were examined, using the pulsed field gel electrophoresis and multilocus sequence typing, in order to trace their origins and to explore the syntechnic adaptations and pathogenicity of the various strains and relate these to their genetic sequence. A total of 25 $E.$ $coli$ strains were isolated from six stations along the Han River. All the 25 strains exhibited resistance to ampicillin. We also investigated resistance to amoxicillin, clavulanic acid, cefazolin, cofoxitin, cefotaxime, cefpodoxime, ceftriaxone, cefepime, nalidixic acid, aztreonam, ciprofloxacin, streptomycin, gentamicin, chloramphenicol and imipenem. Based on the ESBL detection, 14 strains belonged to the ESBL producing strains. The number of the clonal complex producing strains was 5 among the 14 isolated strains. The 5 strains were included in the 168, 23, 38, 469, 156 clonal complex, respectively. The rest 9 strains were not included in the clonal complex, but showed independent STs.

Soluble Expression and Purification of Receptor Activator of Nuclear Factor-Kappa B Ligand Using Escherichia coli

  • Park, Sol-Ji;Lee, Se-Hoon;Kim, Kwang-Jin;Kim, Sung-Gun;Kim, Hangun;Choe, Han;Lee, Sang Yeol;Yun, Jung-Mi;Cho, Jae Youl;Chun, Jiyeon;Choi, Kap Seong;Son, Young-Ji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5권2호
    • /
    • pp.274-279
    • /
    • 2015
  • Receptor activator of nuclear factor-kappa B ligand (RANKL) is a critical factor in osteoclastogenesis. It makes osteoclasts differentiate and multinucleate in bone remodeling. In the present study, RANKL was expressed as a soluble maltose binding protein (MBP)-fusion protein using the Escherichia coli maltose binding domain tag system (pMAL) expression vector system. The host cell E. coli DH5α was cultured and induced by isopropyl β-D-1-thiogalactopyranoside for rRANKL expression. Cells were disrupted by sonication to collect soluble MBP-fused rRANKL. The MBP-fusion rRANKL was purified with MBP Trap affinity chromatography and treated with Tobacco Etch Virus nuclear inclusion endopeptidase (TEV protease) to remove the MBP fusion protein. Dialysis was then carried out to remove binding maltose from the cleaved rRANKL solution. The cleaved rRANKL was purified with a second MBP Trap affinity chromatography to separate unsevered MBP-fusion rRANKL and cleaved MBP fusion protein. The purified rRANKL was shown to have biological activity by performing in vitro cell tests. In conclusion, biologically active rRANKL was successfully purified by a simple two-step chromatography purification process with one column.

조선시대 무속복식연구-좌당 내력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pparels of Shamanism during Cho Sun Dynasty)

  • 조효순
    • 복식
    • /
    • 제34권
    • /
    • pp.195-208
    • /
    • 1997
  • 1) The color of JOGORI and CHIMA was such gorgeous and those garments were put on during the events of GAM-EUNG-CHUNG-BAI HO-GU-GEO-RI JO-SANG-GEO-RI DEWT-JUN and CHAN-BOO-GEO-RI. 2)BULSA-JANG-SAM(JE-SUK-GEO-RI) was white colored and had wide sleeves putting on a pink priestrobe and a pink belt on it 3) they put on HONG-CHUL-NIK(GU-REUNG) and CHONG-CHUL-NIK(DAE-GEO-RI). 4)They put on GOO-GUN-BOK(JUN-RIP JUN-BOK(BYUL-SUNG-GEO-RI) DONG-DA-RI(Expel the demon) 5) MONG-DOO-RI(MAN-SIN-MAL-BYUNG) put on the garment constructed with the color and from of a white straight collar a wide sleeve and a pink belt 6) A long robe was colored with green (GAM-EUNG-CHUNG-BAI) and was used not as a headdress but as a man's overcoat. 7) CHANG-EUI was a green colored small CHAHG-EUI(SUNG-JO-GEO-RI). As observed above the Shaman apprel during Chosun Dynasty is a part of the traditional clothing originated from THE THEORY OF THE COSMIC DUAL FORCES and THEORY OF THE COSMIC DUAL FORCES and the FIVE ELEMENTS (i.e. metal wood water fire and earth) It's basic form and wearing method were not so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clothing silmilar to the official uniform during Chosun Dynasty and the official uniform was the symbol of authority(almost almighty) at that time of period and to that the Shaman apparel was constructed with the more gorgeous colors to emphasize the sanctity or the descent of the Divine Being from heaven. We realized that a Shaman had put on the symbolic garment suitable for the grade and nature of the Divine Body at every events to enter into " The World of Gods"Gods."

  • PDF

생태환경 특성 파악을 위한 지형분류기법의 개발 (A Geomorphological Classification System to Chatacterize Ecological Processes over the Landscape)

  • 박수진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495-513
    • /
    • 2004
  • 효율적인 국토환경관리와 지속 가능한 생태자원의 보존을 위해서는 지형 및 토양의 공간적인 분포특성과 그것이 각종 자연 및 인문현상들과 가지는 상관성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기존의 지형분류법은 대부분 지형형성과정 혹은 지형의 단순한 형태분류에 치중하여, 분류 결과와 지표면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생태학적 현상들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이 연구는 지표면에서 나타나는 물과 에너지, 그리고 물질의 흐름을 생태적 환경특성을 반영하는 주원인으로 규정하고, 이에 근거하여 전산화된 지형분류법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지표면을 에너지와 물질의 흐름을 반영하는 8개의 토양지형단위(sod landscape units)로 구분하였으며, 이것을 수치고도모델(DEM)로부터 추출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경기도 양평군의 약 12$extrm{km}^2$ 크기의 지역에 개발된 기법을 적용하여 토양지형단위들을 분류한 뒤, 각 단위들의 공간적인 분포특성을 살펴보았다. 개발된 방법은 일반적으로 구할 수 있는 수치고도모델에 적용할 수 있어, 넓은 지역의 지형특성들을 쉽게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분류된 토양지형단위들은 자연환경조사와 제반 수문 및 토양환경 특성 파악에 중요한 기본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제시된 방법이 보다 널리 쓰이기 위해서는 기존 수치지도의 정확성의 문제, 사용된 수치고도모델의 격자크기에 따라 분류기준의 변화를 야기 시키는 스케일의 문제, 그리고 다양한 지형형성작용과의 상관성에 관한 보다 체계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변색기 고온에 의한 '거봉' 및 '흑보석' 포도의 과피 안토시아닌 조성 변화 (Changes of Fruit Quality and Anthocyanin Composition of 'Kyoho' and 'Heukboseok' Grape Berry Skins under High Temperature at Veraison)

  • 류수현;한점화;한현희;정재훈;조정건;도경란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13-221
    • /
    • 2018
  • 여름철 고온으로 인해 '거봉' 포도의 착색 불량이 나타나는 원인을 안토시아닌 조성의 변화로부터 구명하기 위해 본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같은 대립계 포도 품종인 '흑보석'의 과실 품질과 안토시아닌의 변화를 함께 비교하였다. 착색 초기부터 30일 동안의 고온 처리에 의해 '거봉'과 '흑보석' 모두에서 과피의 착색이 감소하였지만, '흑보석'은 온도 처리의 종료 이후 안토시아닌 함량이 대조구의 수준으로 증가하였고, '거봉'은 착색이 정지된 상태로 안토시아닌 함량이 증가하지 못했다. 고온에 의해 '거봉'의 안토시아니딘은 Mal, Del, Pet의 순으로 크게 감소하였으며, 개별 성분으로는 diglucoside 및 Malacylated 형태가 가장 크게 감소하였다. 안토시아닌의 형태별 함량을 비교한 결과, '거봉' 과피에서 고온에 의해 acylated 형태가 non-acylated 형태에 비해서 더 크게 감소하였고, B ring의 tri-hydroxylated 형태가 di-hydroxylated 형태보다 더 큰 비율로 감소하였다. '거봉'에서 모든 그룹의 안토시아닌 함량이 총 안토시아닌과 비슷한 경향으로 감소하였고, '흑보석'에서는 모든 그룹의 합성이 고온에 의해 억제되었다가 온도 처리가 종료된 이후 대조구의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따라서 착색 초기의 고온에 의한 '거봉'의 착색 불량은 특정 안토시아닌의 감소에 의한 것이 아니라, 전체적인 안토시아닌의 생합성 자체가 고온에 의해 억제되었기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포도 '거봉' 품종의 변색기 야간 온도 처리가 과피 착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ight Temperature at Veraison on Berry Skin Coloration of 'Kyoho' Grapevines)

  • 류수현;조정건;정재훈;이슬기;한점화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295-303
    • /
    • 2021
  • 변색기의 수준별 야간 고온이 포도 '거봉'의 과피색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시기별 과피색 변화, 과피 내 안토시아닌 및 식물호르몬 ABA와 GA 함량을 분석하였다. 변색기 20일 동안의 야간 24, 27℃ 처리에 의해 '거봉' 포도의 과피색 불량이 나타났으며, 야간 온도가 높을수록 과피색 발현이 더욱 억제되었다. 수확기 과실 품질을 분석한 결과, 야간 21℃ 처리구에 비해 24, 27℃ 처리구의 과방중, 과립중, 당도가 감소하였다. 야간 21℃ 처리구의 과피에서 만개 후 50일부터 안토시아닌이 축적되기 시작했고, 개별 안토시아닌 중 Mal과 함께 총 안토시아닌 함량이 수확기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야간 21℃ 처리구를 기준으로 과피의 총 안토시아닌이 야간 24, 27℃ 처리에 의해 감소하였으며, 개별 안토시아닌 중에서는 Peo를 제외한 나머지 안토시아닌의 감소 경향이 뚜렷하였다. 식물호르몬 ABA는 야간 21℃ 처리구의 과피에서 변색기에 최대값을 보이고 다시 수확기까지 감소하였는데, 이러한 ABA 함량의 증가는 야간 24, 27℃ 처리에 의해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GA는 변색기 과피에서 급격하게 감소하여 수확기까지 낮은 함량으로 유지되었는데, 야간 기온이 낮을수록 빠르게 감소하였다. 야간 21℃ 처리구 과피에서 ABA/GA 값은 만개 후 60일에 최대값을 보이고 다시 수확기까지 감소하였지만, 이 증가 양상이 야간 고온에 의해 감소하며 과피 안토시아닌 축적과 동일한 경향을 보이며 변화하였다. 따라서 변색기 야간의 24℃ 이상의 고온은 '거봉' 포도의 과피색 발현을 억제하며, 이는 식물호르몬 ABA, GA의 비율 변화, 과실 당도 감소로 인한 총 안토시아닌 함량 및 조성 변화 때문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