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king Space

검색결과 1,456건 처리시간 0.029초

전통 건축 공간 특성으로 본 디지털 건축 공간의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 비물질적 특성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igital Architectural Space's Characteristic of Expression Based on the Traditional Architecture Properties - Focused on the Immateriality Characteristics -)

  • 이준호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3권5호
    • /
    • pp.51-57
    • /
    • 2014
  • In the early 20st century, created distrust on the mechanistic and dualistic view based on the world of Descartes and Newton. As the features of this new science cannot be explained by the existing Western philosophy but can be explained by the thinking system immanent in the Oriental traditional thought, many scientists and philosophers are concentrating their interests on the Oriental philosophy. In addition, some have been making efforts to find solutions needed for a new paradigm from the thinking system of the Orient. A variety of discussions have also been raised in connection with architecture due to this philosophical change. It has now become possible to conduct free creative acts, staying away from physical limitations, including gravity by diversified simulations through a computer. This physical liberation in turn has caused new changes to the spatial concept of architecture, thereby granting the freedom of the expression that could not be even imagined before and opening a possibility of new architecture and space. At the same time, the digital space architecture actively accommodating this technology is generating a phenomenon that the existing physical and realistic things are rapidly being changed gradually to immaterial and unrealistic ones. This study has analyzed the properties of digital architectural space as the immateriality of our traditional architectural space. The results are as follows: It can be seen that the immaterial features exhibited in the digital architectural space and the traditional architectural one are not just interconnected with specific features, but they are correlated to all immaterial features. Thus, immateriality that are common in the traditional and digital architectural spaces is complementary organic, which is contained in the ambiguity of boundary between other spaces. It is regarded to the architecture as a living things in space diversity based on ideological similarities.

실내 공간 분석을 위한 보행 공간관계 모델 (Navigable Space-Relation Model for Indoor Space Analysis)

  • 이슬지;이지영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9권5호
    • /
    • pp.75-86
    • /
    • 2011
  • 실세계의 도시에 대한 3차원 모델링은 도시계획과 의사결정을 하기 위하여 필수적인 작업이다. 또한 무선인터넷 발달과 함께 이용자의 위치를 파악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위치기반서비스에 대한 소비자 증가로 많은 3차원 도시모델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 도심지역의 경우에는 초고층 건물들의 밀집으로 실외뿐만 아니라 실내공간 모델링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공간 모델을 통해서 최단경로 등의 공간 분석이 통한 위치기반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어야 한다. 지금까지 많은 연구가 진행된 3차원 도시모델들은 피처 모델로, 기본요소들(primitives)을 조합하여 공간을 표현하고, 관계성은 공유하는 기본요소들을 찾아야지만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복잡한 3차원 공간 객체들 사이에서는 관계성을 정의하기 힘들다. 따라서 최단경로와 같이 공간간의 관계성을 기반으로 도출되는 공간 분석을 하기 위해서는 공간간의 관계성 표현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복잡한 3차원 실내공간간의 관계성을 효율적으로 표현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위상학적 데이터 모델인 보행 공간 관계 모델을 개발하였다.

박물관 보존과학계 영역의 공간계획 지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Guidelines for the Spatial Planing of Conservation Area in Museums)

  • 정성욱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0권5호
    • /
    • pp.197-207
    • /
    • 2011
  • In general, collections in museum are kept in storage according to a preservation and administration program in long or short term, after conservators' conservation treatment. Museum activities related to conservation science are common to do before and after exhibitions. That is, the museum collections include a flow mechanism, which circulate a space in where conservation science related activity is carried on centering around its stor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design guidelines of a conservation area in a museum. The results of this study as follows. First, to program space planning, conservation area of museum is divided into 4 kinds of zone. Second, space for relics unloading in basically includes 'unloading room', 'control room', 'worker room', 'unpacking room', and 'unloading tools storage' and considers to install 'outdoor arrangement space', etc. In case of space for making relics collections, 'arrangement room' and 'temporary storage' are separately planned in order to arrange and temporarily store relics taken in. Conservation analysis space should be divided into 2 kinds of zone, 'conservation analysis lab' for analysis of collection characters and 'restoration lab' for conservation treatment in the bigger museum. In case of large-scale museum, conservation treatment space is basically classified with characters of museum collections. And it considers installing 'waterlogged wood lab', 'painting clothes treatment lab', 'storage of treated relics' etc. Third, for 'the spaces for analysis treatment', must consider activity contents and sizes of the department for scientific conservation every museum, can classify in detail required space, and must review the space for relics settlement in construction.

현대실내건축의 미장센적 특이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ingularity of Mise en $sc{\acute{e}}ne$ in the Contemporary Interior Architecture)

  • 안은희;이정욱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7권5호
    • /
    • pp.51-60
    • /
    • 2008
  • This thesis sets out to study the immanent mechanism of architectural space which had been classified as external space in general. The mise en $sc{\acute{e}}ne$ could consider one among various immanent tools to deal with the singularity of interior architecture. An imaginary interrelationship between cinema and architecture offers a possibility which a mise en $sc{\acute{e}}ne$ could be used with a space making equipment. The mise en $sc{\acute{e}}ne$ is a conscious equipment to lead a meta-function of simple visual-perception. The mise en $sc{\acute{e}}ne$-space has been supposed to visual-perception cases and conscious cases in interior architecture. In particular, as a result of analysis, it becomes clear that the mise en $sc{\acute{e}}ne$-space is a kind of something signifer to expose designers's an abyss of conscious and unconscious. In my opinion, this is the very way that the contemporary interior architecture is exposed to its singularity by a mechanism of mise en $sc{\acute{e}}ne$-space. In conclusion, the psychoanalysis-frame of mise en $sc{\acute{e}}ne$-space has brought out any possibility of an interpretation about architectural immanent themes like a subject, meaning creation, and construction logic, and it has also been useful to reveal the architectural singularity.

우리나라 위성 산업 경쟁력 제고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 Scheme to Improve the Competitive Power of the Korea Satellite Industry)

  • 은종원
    •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35-39
    • /
    • 2013
  • 우주 산업은 21세기 가장 경쟁력 있는 산업으로 부각되는 미래의 핵심 산업이다. 하지만 우주 산업은 인프라 구축에 초기 투자비용이 막대하여 단기에 투자비용을 회수하기 어려운 면이 있어 민간 기업이 독자적으로 우주 사업을 수행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따라서 미국, 일본 등 우주 산업 선진국들은 초기에 정부의 정책지원으로 일정수준까지 우주 기술발전을 도모하여 왔다. 우리나라는 2005년 우주개발진흥법의 제정과 국가우주개발중장기기본계획의 수정 등 제도적인 보완 노력을 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가 세계 8대 경제 대국으로 성장할 동안 위성을 독자 개발하여 국내 수요를 충족하고 수출할 정도의 능력을 가진 대기업이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우주개발 임무를 효율적으로 추진하고 국제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위성산업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한국영화에 나타난 창의적 시공간 연출 분석 -영화 <써니>를 중심으로 (Analysis on Creative Time and Space Production in Korean Cinema - Focusing on the Film -)

  • 김성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168-177
    • /
    • 2019
  • 영화에 있어서 몽타쥬란 것은 시간화 라고 말할 수 있다. 그 방법을 뒤집으면 시간의 공간화라는 결과가 나오는 것을 알 수 있다. 영화는 미래이든 과거든 마음대로 갈 수 있으며, 분리된 사건을 함께 볼 수 있고, 동시에 일어나는 일을 분리해서 볼 수도 있다. 그래서 한편으로는 시간이 공간화 되고, 또 한편으로는 공간이 시간화가 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영화 속의 공간은 필연적으로 시간을 표현한다. 영화 <써니>가 단순한 고등학교 때 이야기를 현재로 끌고 와서 700만이 넘는 관객을 동원 하는 데는 시간과 공간의 배치가 큰 역할을 했다고 보여 진다. 강형철 감독은 그가 가진 특유 영화 연출 언어를 배합함으로 식상함을 유쾌함으로 진부함을 통쾌함으로 바꾸어 냈고, 과거 청소년 시절 마음의 상처를 치유하는 효과를 관객들에게 만들어 줬다. 그는 "영화 연출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시각적 이야기 창작이며 그 시각적 이야기의 배경은 시간과 공간이다."라고 말한다. 영화 <써니>에 나타난 감독의 창의적 시공간 연출을 분석하고자 한다.

녹피율 훼손추세 평가를 통한 총량규제 근거자료 학보방안 (Acquisition of Evidential Information to Control Total Volume in accordance with Degradation Trends of Green Space)

  • 엄정섭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4권3호
    • /
    • pp.299-319
    • /
    • 2006
  • 본 연구는 위성 영상을 이용한 녹지 조사의 결과를 지도화하고 다양한 시기의 녹지변화 실태를 통합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그 결과를 토대로 GIS의 공간 객체 재정의 기법을 이용하여 녹지의 총량규제를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할 수 있는 지의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출발하였다. 그리하여 사례 연구지역의 녹지 변화 추세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졌고 규제 총량을 산정하는 과정에서 활용 방안이 제시되었다. 아울러 공간 객체 재정의를 통한 총량 규제 기초자료를 확보하는 데 있어 고려해야 할 기술적인 문제들과 더불어 실무에 도입시 고려하여야 할 핵심 사안(토지 모자이크의 분류, 녹피을 훼손 추세의 평가 등)에 대한 지침을 제시하였다. 기존에 조사지점에만 국한된 통계 수치정보가 광역적인 녹지 공간 변화 추이를 시각적으로 제시하는 데 많은 한계가 있었으나 공간 객체 재정의 기법의 활용을 통해 녹지의 규제 총량 결정과정의 설득력 확보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가 녹지 보전에 있어 객관적인 데이터에 의거한 정책결정이 아닌 직관에 의존하여 왔던 관행을 개선될 수 있는 계기가 되어 향후 녹지보전관련 기술적인 측면이나 정책적인 측면에서 중요한 참고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논리-철학 논고』의 '논리적 공간'에 관하여 (On 'Logical Space' of the Tractatus)

  • 박정일
    • 논리연구
    • /
    • 제19권1호
    • /
    • pp.1-49
    • /
    • 2016
  • 비트겐슈타인의 "논리-철학 논고"에서 '논리적 공간'은 중요한 여러 의문들을 불러일으킨다. 논리적 공간, 논리적 좌표들, 그리고 논리적 장소란 무엇인가? 그러한 비유의 요점은 무엇이며, 또 그것들이 정확하게 "논고"에서 가리키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또한 논리적 공간을 차지하는 것은 무엇인가? 그것은 사실들, 명제, 명제 기호, 상황, 모순인가 아니면 이와 관련된 "논고"의 언급들은 그저 화해할 수 없을 뿐인가? 논리적 공간을 둘러싼 논고의 수수께끼 같은 언급들은 정확하게 해명 가능한가? 게다가 "논고"에서 왜 비트겐슈타인은 논리적 공간이라는 개념을 필요로 했는가? 이를 통하여 그는 어떤 철학적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는가? 나는 이 글에서 이 물음들에 대해 대답하고자 한다. "논고"에서 논리적 공간은 뜻 있는 명제들의 체계이다. 또한 그것은 헤르츠의 배위 공간을 모델로 삼아 비트겐슈타인이 끌어들인 것이다. 비트겐슈타인의 근본 좌표들은 기하학적 좌표들과 어떤 점에서는 유사하다. 반면에 논리적 좌표들은 기하학적 좌표들과는 완전히 다르다. 그리하여 논리적 공간을 일종의 기하학적 공간으로 이해하려는 시도는 모두 옳지 않다.

  • PDF

'우주와 지구' 분야에서 초등 예비교사들의 SSI 프로그램 수업 적용 효과 (The Effects on SSI program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in 'The Universe and the Earth')

  • 이용섭;김순식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338-346
    • /
    • 2014
  • In this study, find out of recognition of the effect of science, society and ethical aspects on natural disasters and understanding degree of knowledge applying for SSI class aimed at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by developing SSI training program of the 'Earth and Space' field. Also, after SSI class application we examined the change perceptions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SSI training program was that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SSI class of a variety of subjects in the field of 'Earth and Space' and directly joined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and reflectional discussion with colleagues as conducted in this class reflective discussion with the pre-primary teachers pre-service teachers.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were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the science and to understand in more depth about the SSI class characteristics. This study, second grade 115 people who was taking 'science and teaching materials' course in B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t B city participated. In order to apply for SSI class, one semester based on 15 weeks until seven weeks were science and teaching materials and based on the nature of science, after 8 weeks we set the theme of the contents related to the Earth and space and give lesson applied for SSI. During 8 weeks, test subjects 4 classes were taking 50 minutes a week 100 minutes. First time has theoretical lessons in topics related to the 'Earth and space' and on the second week, each classes participate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es respectivly by dicussing and debating on the first week's topic as regarding social and moral aspects of it. We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were acquiring the results of 67% in the knowledge aspects of the 'Earth and space'. This result was determined that most of the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were liberal arts in high school. Second, while participating in the SSI class,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were concretely aware of the nature of SSI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lass. Third, the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 are thaught that introduction education courses about 'Earth and space' are needed but most of the students responded that this would require a lot of effort of teachers. This was derived from not familiar class form that did not fulfill in the science teaching methods until now.

토지 투기 발생 가능 지역에 대한 공간적 의사 결정 지원에 관한 연구 - 지가변동과 토지거래 자료를 바탕으로 (THE STUDY OF SPATIAL DECISION-MAKING ABOUT AREAS THAT LAND- SPECULATION CAN BE ARISE -In the base of fluctuations in land prices & land trade data)

  • 김현숙
    • 한국GIS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GIS학회 2003년도 공동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500-509
    • /
    • 2003
  • 토지 투기는 공간상에서 발생하는 것이며, 본 연구의 목적은 공간적 시각에서 토지투기를 해석하여 토지 투기 발생 가능 지역들에 대한 효과적인 의사결정을 수행하고자 하는 데에 있다 이 때, 공간적 해석의 초점은 공간 연속성의 인식과 공간 상관성의 고려라는 2가지 측면에 두었다. 먼저, 공간 연속성을 인식하기 위해 퍼지 집합을 사용하여 모든 지역에 0-1사이의 값을 부여하였고. 공간 상관성을 고려하기 위해 국지적 상관관계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이 두 가지 방법을 효율적으로 통합하여 대상 지역 내에서 토지 투기에 대한 효율적인 의사결정들 하기 위한 방안으로 컴퓨터 기반의 의사결정지원 도구 중 하나인 공간 전문가지원 시스템을 도입하였다. 이 후, 사례 분석으로 서울ㆍ경기 지역의 2001년 토지 투기 발생에 대한 의사 결정을 수행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