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4774/JKIID.2014.23.5.051

A Study on the Digital Architectural Space's Characteristic of Expression Based on the Traditional Architecture Properties - Focused on the Immateriality Characteristics -  

Lee, Joon-Ho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실내디자인전공)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Journal / v.23, no.5, 2014 , pp. 51-57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In the early 20st century, created distrust on the mechanistic and dualistic view based on the world of Descartes and Newton. As the features of this new science cannot be explained by the existing Western philosophy but can be explained by the thinking system immanent in the Oriental traditional thought, many scientists and philosophers are concentrating their interests on the Oriental philosophy. In addition, some have been making efforts to find solutions needed for a new paradigm from the thinking system of the Orient. A variety of discussions have also been raised in connection with architecture due to this philosophical change. It has now become possible to conduct free creative acts, staying away from physical limitations, including gravity by diversified simulations through a computer. This physical liberation in turn has caused new changes to the spatial concept of architecture, thereby granting the freedom of the expression that could not be even imagined before and opening a possibility of new architecture and space. At the same time, the digital space architecture actively accommodating this technology is generating a phenomenon that the existing physical and realistic things are rapidly being changed gradually to immaterial and unrealistic ones. This study has analyzed the properties of digital architectural space as the immateriality of our traditional architectural space. The results are as follows: It can be seen that the immaterial features exhibited in the digital architectural space and the traditional architectural one are not just interconnected with specific features, but they are correlated to all immaterial features. Thus, immateriality that are common in the traditional and digital architectural spaces is complementary organic, which is contained in the ambiguity of boundary between other spaces. It is regarded to the architecture as a living things in space diversity based on ideological similarities.
Keywords
Traditional Architecture Space; Digital Architecture Space; Immateriality;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2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김성남, 비물질적 표현특성을 적용한 미디어 센터 계획안, 홍익대 석사논문, 2001
2 신홍경.옥창수, 현대 실내공간에서의 비물질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13권 3호   과학기술학회마을
3 Theo van Doesburg, 'L' e'volution de I'architecture moderne en Hollande', L'architecture vivante, automne & hiver, paris, 1925
4 심문기, 테크놀로지와 건축미학, 발언, 2004
5 Le Cirbusier oeuvre complete, Vol.1, 1910-29, Les 'editions d'architecture, Zurich, 1964
6 전신영, 미스 반 데어 로에의 건축 작품에 나타난 외피의 표현성, 서울대 석사논문, 2000
7 임미나, 가벼운 느낌을 주는 건축디자인에 관한 연구, 서울대 석사논문, 1992
8 김옥현, 현대건축에 나타난 기술적 이미지의 표현양식에 관한 연구, 홍익대 석사논문, 1999
9 라도삼, 비트의 운명, 네트의 사회, 커뮤니케이션북, 1999
10 임석재, 우리 옛 건축과 서양 건축의 만남, 대원사, 1999
11 박경립, 전일적 세계관으로 본 한국 전통 건축의 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논문집 1986
12 유의준 외, 전통건축공간의 유기적 상호연계작용에 의한 구성 체계에 관한 연구(2), 대한건축학회논문집 5권 1호, 1989
13 이성관, 한국전통적 건축 공간 구성의 특질, 서울대 석론, 1975
14 윤영선, 노자사상의 유기적 원리를 통한 건축공간 구성 분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17권 2호, 1997
15 진고응, 노장신론, 최진석 옮김, 소나무, 1997
16 이현지, 노자의 도에 관한 연구, 영남대 석사논문, 2006
17 최승달, 노자의 무위에 대한 철학적 성찰, 성균관대 석사논문, 1997
18 김개천, 명묵의 건축, 안그라픽스, 2004
19 김지은, 노자의 공간 사상을 통한 전통 공간 연구, Journal of Oriental Culure & Design, 2010,
20 김선희, 리퀴드 스페이스에 대한 들뢰즈의 타자의 기하학적 해석,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2005.10   과학기술학회마을
21 송연주, 디지털 스페이스와 모호성의 관계에 관한 공간성 연구, 건국대 석사논문, 2001
22 Peter Zellner, 하이브리드 스페이스, 1999
23 정은봉, 디지털 건축의 비물질성에 관한 연구, 건국대, 2005
24 Jean Nouvel, Asthetik des Verschwindens : Jean Nouvel im Gesoulet and Paul Virilio, ARCH+, voi.108
25 정성규, 쿱 힘멜브라우의열린 건축의 작품특성에 관한 연구, 1999
26 박혜원. 한국 현대 건축에 나타난 미디어적 표현 특성에 관한 연구. 경북대 석사논문. 2002
27 김원갑, 건축과 해체, 세계사, 2000
28 이은정, 디지털 페러다임에 의한 유기체적 공간에 대한 연구, 홍익대 석사논문,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