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19.19.11.168

Analysis on Creative Time and Space Production in Korean Cinema - Focusing on the Film -  

Kim, Seong-Hoon (한서대학교 영화영상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In cinema, a montage can be defined as temporalization. In reverse, it is evident that this method results in the spatialization of time. In movies, you are free to go to the past or future, see separated times together, and separate the same time into different ones. Therefore, in one aspect, time is turned into space, and on the other hand, space is turned into time. In conclusion, space in cinema inevitably expresses time. The movie the creative arrangement of time and space played a big role in making a movie that simply overlaps a story from high school to the present attract over seven million audiences. Director Kang Hyung-cheol used his unique film production language to transform boring into cheerfulness and stale to delight, and he helped the audience heal their wounds from their youth. He said, "The most important aspect of movie production is creating visual stories, and the background of such visual story is time and space." This paper aims at analyzing the creative time and space production of the director in the film .
Keywords
Sunny; Montage; Cinematic Time; Cinematic Space; Creative Time and Space Production;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정재형, 정재형교수의 영화강의, 영화언어, p.17, 1995.
2 Erwin Panofsky, style and Medium in the Motion Picture, Critique, I , New York, 1947(1).
3 Danniel Talbot Simon and Schuster, Film, an Anthology, New York, 1959. 채록
4 아리스토텔레스, 이상섭 역, 시학, 문학과 지성사, p.39, 2005.
5 손현석, 박덕춘, "영화<써니>의 대중소통 방식,"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37, pp.161-173, 2011.
6 최병근, "<써니>를 통해본 복고 이미지와 환각적 기호로서의 향수에 관한 연구," 영화연구, Vol.50, pp.543-562, 2011.
7 이안나, 영화 <써니>를 통해본 복고영화 제작의 가능성,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8 태지호, "문화적 기억으로서 향수 영화가 제시하는 재현 방식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57권, pp.417-440, 2013.
9 Keith Cohen, Film and Fiction , London, Yale University Press, pp.61-63, 1979.
10 Keith Cohen, Film and Fiction, London, Yale University Press, p.63, 1979.
11 John L Fell, Film, An Introduction, New York, Praeger Publishing, pp.73-81, 1975.
12 John L Fell, Film, An Introduction, New York, Praeger Publishing, p.77, 1975.
13 <써니>언론시사 후 간담회, 성동구 왕십리 CGV, 2011.04.18.
14 정재형, 정재형교수의 영화강의, 영화언어, p.16, 1995.
15 한승룡, "써니 플래시백에 대한 연구," 예술문화, Vol.8, pp.177-190, 2012.
16 김성훈, "영화의 시간 이미지 연출에 관한 연구," 영화연구, 제14권, p.321, 1998.
17 Ralph Stephenson and J. R. Debrix, The Cinema as Art, London, Penguin Books Ltd., pp.103-139, 1976.
18 E. Cassirer, 최명관 역, 인간이란 무엇인가, 서광사, p.76, 1988.
19 윤나라, 장이모우 영화에서 나타나는 상징적 공간 연출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35, 2008.
20 박진배, 영화디자인으로 보기 1, 디자인하우스, p.12, 2003.
21 윤나라, 장이모우 영화에서 나타나는 상징적 공간 연출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38, 2008.
22 윤나라, 장이모우 영화에서 나타나는 상징적 공간 연출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49, 2008.
23 윤나라, 장이모우 영화에서 나타나는 상징적 공간 연출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17, 2008.
24 박지훈, 영화제작 매스터북, 책과 길, p.660, 2005.
25 김성훈, "영화의 시간 이미지 연출에 관한 연구," 영화연구, 제14권, p.337,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