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kgeolli fermentation

검색결과 114건 처리시간 0.02초

전통막걸리에서 분리한 효모균주를 이용한 막걸리 발효과정 중의 물성 및 미생물 군집의 변화 (Variations of Properties and Microbial Community during Fermentation of Makgeollies by Isolated Yeasts from Traditional Makgeollies)

  • 전명제;장민경;이솔지;박성환;김미향;손재학;이한승;이동근;이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796-803
    • /
    • 2013
  • 전통막걸리들에서 순수분리한 효모균주 5종을 이용하여 각각 막걸리를 제조하면서 발효 시일에 따른 막걸리의 물성 변화와 PCR-DGGE를 이용하여 미생물 군집구조 변화를 조사하였다. 막걸리의 pH는 0일째 pH 6에서 발효 2일째 pH 3 정도의 큰 감소를 보였고 이후 큰 변화가 없었다. 발효일별로는 차이를 보였지만(ANOVA, p<0.001) 균주별로는 차이가 없었다(p=0.60). 산도는 0.19~1.04% 범위였으며 발효 2일째부터 증가하였고 발효일자별(p<0.001) 및 균주별(p=0.006) 모두 차이가 있었다. C 균주의 산도 증가가 가장 컸으며 S 균주의 산도 증가가 가장 적었다. 아미노태 질소는 S 균주가 8일째 0.442%로 높은 값을 보였지만 다른 균주들은 모두 0.150% 이하를 나타내었다. 발효일자별(p=0.4558) 및 균주별(p=0.3513) 모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당도는 빵효모균주인 C가 발효 4일 째부터 다른 균주들에 비해 높았고 발효일자별(p<0.0001) 및 균주별(p=0.007)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알코올 함량은 모든 효모균주에서 발효 2일째 10%의 급격한 증가를 보였으며 그 이후에 큰 차이가 없었다. 발효일자별(p<0.0001)로는 차이를 보였지만 균주별로는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1464). DGGE 밴드로 검출된 우점세균은 산성물질을 생산하며 기능성을 보이는 Lactobacillus fermentum와 Pediococcus pentosaceus였고, 우점진균은 Saccharomyces cerevisiae였는데 이는 효모균주 첨가에 의한 결과로 판단된다.

전통발효유 타락을 이용한 젤리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lly using the Tarak, Traditional Fermented Milk)

  • 이경연;이지원;한영숙;윤현근;고성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599-603
    • /
    • 2013
  • Tarak is our own traditional fermented milk made through lactic acid fermentation by using makgeolli as inoculum for milk or using already made tarak as inoculum but it is hardly known to people as its related studies are also insufficient.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nufacture jelly by using tarak and analyze its quality characteristics for the diversification of consumption promotion and demand of traditional fermented milk tarak. Tarak jelly that was made according to the percentage of adding tarak showed a tendency that the content of crue protein, crude fat and crude ash except for moisture water meaningfully increased as the amount of tarak added increased (P<0.05). In the case of pH, it declines as the amount of tarak added was high. The chromaticity measurement result of tarak jelly was 54.32 in the case of control group for L, and it increased as the amount of tarak added increased. In the case of a, it decreased as tarak was added, whereas b meaningfully increased. There was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samples in the case of chewiness, fracturability and adhesiveness (p<0.05). The sensory test result showed that there was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samples in their appearance and taste but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case of overall preference, scent and texture.

「임원십육지」의 조리법에 기초하여 재현한 건락의 대사체 분석과 관능평가 (Analysis of Metabolite and Sensory Evaluation on Kunrak, for Reproduced Manufacturing from Old Literature of 「Imwonsibyukji」)

  • 정진경;박선현;한영숙;임상동;이명기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489-497
    • /
    • 2016
  • Kunrak, a type of Korea traditional cheese, is made using Tarak, a yogurt produced with makgeolli as the fermentation source. Kunrak is produced by removing whey from Tarak, followed by drying process for safe storage and consumption over a longer period. In this study, we produced kunrak based on the method described in "Imwonsibyukji". Prepared Kunrak was ripening for 96 hours at 20, 30, and $40^{\circ}C$. In order to study characteristics of Kunrak, physiochemical properties (pH, acidity, water contents) and contents of metabolites (organic acids, sugars, amino acids, and fatty acids) were analyzed. During ripening, water contents decreased. The main organic acids in Kunrak were citric acid and lactic acid, and the main free sugar was lactose. Main amino acids were glutamate and phenylalanine, and main fatty acid was saturated capric acid. At later ripening, all metabolites increased immediately after preparation. The sensory evaluation score of overall preference was highest for Kunrak, which was ripening at $40^{\circ}C$ for 96 hours. This study was aimed to assay metabolites of Kunrak under various ripening conditions. The results provide basic data to produce conditions for standardized manufacturing of Kunrak.

전통발효유 타락을 이용한 푸딩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Pudding Using Tarak, Traditional Fermented Milk)

  • 고성희;이경연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90-99
    • /
    • 2014
  • 타락은 우유에 막걸리를 접종원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미리 제조된 타락을 접종원으로 이용하여 젖산발효 시킨 우리 고유의 전통발효유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통 타락을 제조하고, 타락의 첨가 비율에 따른 타락푸딩의 품질특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타락의 첨가비율에 따라 제조한 타락푸딩의 수분, 조단백질, 조지방, 조회분 함량의 분석결과 수분의 함량을 제외한 조단백질, 조지방, 조회분의 함량이 타락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p<0.05). pH의 경우 타락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저하하였고, 산도의 경우에는 pH와 반대로 타락의 첨가가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높아졌다. 당도의 경우 대조군에 비해 TP 1, 2, 3가 더 높았고 이들 보다 TP 4는 가장 높은 당도로 유의차를 보여줬다(p<0.05). 타락푸딩의 색도 측정 결과 L 값의 경우 대조군의 측정치가 38.80이였는데, 타락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타락푸딩의 L값이 증가하였고, a 값은 감소, b 값의 경우에는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텍스쳐 측정 시 fracturability를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대조군에 비해 타락 첨가군이 hardness, springiness와 cohesiveness, chewiness, adhesiveness에서 시료 간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p<0.05). 관능검사 결과 대조군에 비해 타락 첨가군인 TP 2, TP 3, TP 4가 맛, 향,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높게 평가되었고, 이들 시료간의 통계적인 유의적 차는 없었다. 수치적 결과로 맛은 TP 4가 가장 높았고, 외형과 조직감은 TP 2가 높게 평가되었으나 풍미와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TP 3가 가장 높았다. 이는 타락 특유의 신맛과 향으로 인해 푸딩 제조 시 타락 100% 첨가 TP 4보다 75% 첨가 TP 3가 바람직한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