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kgeolli

검색결과 228건 처리시간 0.039초

Saccharomyces cerevisiae C-2로 제조한 구기자-맥문동 막걸리의 저장 중 품질특성의 변화 (Changes of Quality Characteristics during Storage of Gugija-Liriope tuber Makgeolli Made by Saccharomyces cerevisiae C-2)

  • 백승예;남윤규;주정일;이종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22-125
    • /
    • 2011
  •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shelf-life of Gugija-Liriope tuber raw makgeolli. After we prepared Gugija-Liriope tuber raw makgeolli by using Gugija, Liriope tuber, nuruk, cooked rice and Saccharomyces cerevisiae C-2, changes of its quality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y were investigated during the storage at $4^{\circ}C$ and $20^{\circ}C$. Ethanol contents was decreased from 8.3% to 7.2% for storage of 9 days at $4^{\circ}C$ and 6 days storage at $20^{\circ}C$, respectively. Antihypertensive 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 inhibitory activity of Gugija-Liriope tuber makgeolli was increased from 63.1% to 66.0% after storage for 9 days at $4^{\circ}C$. Total acceptability of 9 days storage makgeolli at $4^{\circ}C$ was still good. In conclusion, shelf-life of Gugija-Liriope tuber raw makgeolli was 9 days at $4^{\circ}C$ in this respect of ethanol contents, antihypertensive action and total acceptability.

Physicochemical and Microbial Properties of the Korean Traditional Rice Wine, Makgeolli, Supplemented with Banana during Fermentation

  • Kim, Eunkyung;Chang, Yoon Hyuk;Ko, Jae Youn;Jeong, Yoonhwa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8권3호
    • /
    • pp.203-209
    • /
    • 2013
  •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physicochemical and microbial properties of the Korean traditional rice wine Makgeolli, supplemented with banana during 6 day fermentation. The alcohol contents of the control and banana Makgeolli were 17.0 and 16.5%, respectively. The pH values decreased while total acidity, total soluble solids, and color values increased throughout the fermentation process. An increase in microorganism counts throughout the 6-day fermentation period was noted in all samples. The major free sugar and organic acid detected in all samples were glucose and succinic acid, respectively. There were 39 volatile compounds detected in the control and banana Makgeolli. The major ester detected was ethyl acetate (20.037 and 22.604% for the control and banana Makgeolli, respectively). The major alcohol compounds detected were 3-methylbutanol (20.933%) and 3-methyl-1-butanol (34.325%) in the control. 2-mtehyl-1-propanol (22.289%) and 3-methyl-1-butanol (39.851%) were the highest alcohol compounds detected in the banana Makgeolli.

균질 처리가 막걸리 고형분의 현탁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omogenization on Suspension Stability of Makgeolli)

  • 신제영;강창수;최한석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23권2호
    • /
    • pp.33-41
    • /
    • 2021
  • The effect of homogenization treatment on the suspension stability of makgeolli was evaluated. The non-soluble solids of makgeolli that were not homogenized were precipitated at 1.0-68 mm after 10 minutes of standing and 2.0-70.5 mm after 30 minutes of standing. On the other hand, in the makgeolli homogenized with a blender for more than 20 seconds, no precipitated non-soluble solids were observed during the initial 10 minutes, and when it was left still for 30 minutes, it showed precipitation of 2.0 mm (control 58.0 mm). The makgeolli treated with a high-pressure homogenizer did not show any sedimentation until 30 minutes of standing. In the sensory evaluation, the high-pressure homogenized makgeolli had a score of 3.93, whereas non-treated had a score of 2.80, which was improved by 40% by homogenization.

막걸리와 막걸리 침전물이 간 독성 및 혈청 지질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akgeolli and Makgeolli precipitate on Hepatotoxicity and Serum Lipid Content in Rats)

  • 김보경;강민숙;전명정;이상현;김미향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82-289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막걸리 원액의 간 조직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해 에탄올을 대조군으로 하여 막걸리를 투여한 실험동물의 간 지표 효소 활성을 비교 분석하였고, 다음으로 실험동물에 사염화탄소로 간 손상을 일으킨 후 알코올 이외의 성분에 의한 막걸리 효능을 검토하기 위해 알코올 성분을 제거하고 얻은 침전물을 투여하여 혈청 중의 효소활성 및 지질농도분석을 통하여 간 손상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실험기간 중의 건강상태를 나타내는 지표라 할 수 있는 실험 동물의 체중 증가량은 에탄올 투여군은 대조군 및 막걸리 투여군에 비하여 전체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한편 장기 무게에서는 간 조직의 중량이 에탄올 투여에 의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결과가 나타났으나 막걸리 투여에 의한 감소는 보이지 않았다. 혈청 AST 및 ALT의 경우 막걸리 투여에 의해 오히려 그 활성이 감소하였으나, 에탄올 투여에 의해 그 활성이 증가하여 알코올 자체가 간 조직의 병변에 영향을 준 것으로 추측된다. 혈중 콜레스테롤 함량은 에탄올 투여군에서 혈중 콜레스테롤 함량이 증가하였고, 막걸리 투여군인 MG3군은 동량의 에탄올 투여군에 비해서 콜레스테롤 함량이 감소하는 결과가 나타나, 막걸리 중의 알코올 이외의 성분에 의해 콜레스테롤 증가를 감소시켰음을 알 수 있었다. 혈청 중 HDL-cholesterol 함량은 막걸리 투여로 인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여 막걸리가 혈중 HDL-chloesterol을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염화탄소에 의해 유도된 간 독성에 막걸리 침전물이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정상군의 AST 및 ALT활성에 비해 사염화탄소에 의하여 간 독성이 유발된 $CCl_4$군의 혈중 AST 활성이 증가되었고, 생막걸리 침전물을 투여한 경우, AST 및 ALT 활성이 정상군의 수준까지 회복되지는 못하였으나, 사염화탄소 투여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사염화탄소 투여에 의해 증가한 혈중 콜레스테롤 함량은 생막걸리 침전물 투여에 의해 정상군 수준으로 감소하였으나, 가열막걸리의 침전물을 투여한 경우 정상군 수준으로 회복되지 못하였다. HDL-cholesterol은 생막걸리 침전물 투여에 의해 사염화탄소 투여군 보다 증가하였다. 중성지질의 경우 사염화탄소 투여에 의해 증가되었으나 생막걸리 침전물 투여로 인해 감소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 사염화탄소 투여로 상승된 혈청 지질은 막걸리 침전물을 투여한 경우 저하되었으며, 특히 가열막걸리보다 생막걸리 침전물을 투여했을 때 지질대사 개선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박 첨가량을 달리한 머핀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ffin added with Makgeolli Lees)

  • 윤춘식;김현아;김용식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98-211
    • /
    • 2015
  • 본 연구는 주박의 다양한 영양성분을 활용하고자 머핀에 첨가하여 그 품질 특성을 평가하여 건강에 도움이 되고, 기호에도 부합한 식사대용이 가능한 저 열량 머핀의 개발을 하고자 하였다. 일반성분 분석을 측정한 결과, 주박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조단백과 회분, 수분, 조섬유의 함량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조지방의 함량은 감소하였다. 머핀의 부피, 무게, 비용적, 굽기손실률, 높이를 측정한 결과 주박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머핀의 부피, 높이, 무게는 많아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굽기손실률은 작아졌다. 주박을 비율별로 첨가하고 머핀의 경도(hardness), 씹힘성(chewiness), 검성(gmminess), 응집성(cohesivenesss)을 측정한 결과, 머핀의 경도와 씹힘성은 주박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아졌으며, 검성은 시료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기는 하였으나, 시료 간에 뚜렷한 경향을 보이지는 않았다. 머핀의 응집성은 주박만 10 g 첨가한 MLM10의 응집은 0.78로 시료 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대조군의 응집성은 다른 시료들에 비해 응집성이 현저하게 낮았다. L값(명도)은 주박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머핀의 명도가 유의적으로 낮아졌고, a값(적색도)은 높아졌으며, b값(황색도)도 낮아짐을 알 수 있었다. 주박을 첨가하여 머핀의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머핀의 팽창도, 기공의 균일함이나 크기에서도 버터를 첨가한 대조군보다 좋게 평가되어 주박을 첨가하여 머핀을 만들어도 먹기에 좋게 평가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머핀을 제조할 때 주박을 첨가하여도 기호도가 높게 평가되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고, 지방을 대신하여 주박을 첨가하여 머핀을 제조하여도 소비자의 기호에 부합하는 머핀의 개발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마늘 첨가 막걸리의 품질특성 및 항알레르기 효과 (Quality Properties and Anti-allergic Effect of Makgeolli Added with Garlic)

  • 고유진;강상동;강상태;류충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11호
    • /
    • pp.1592-1598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기능성 및 생리활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마늘의 활용방안을 제시하고 마늘 생산 농가의 안정적인 소득과 수급조절 및 건강 기능 증진을 위하여 마늘을 이용한 마늘 첨가 막걸리를 개발하고 품질특성 및 항알레르기 효과를 확인하였다. 사용된 마늘의 수분함량은 62.44%, 총당 15.31%, 회분 1.12%, pH 6.4, 총산은 1.03%로 마늘 첨가 막걸리의 총당, 환원당 함량, 총산 및 아미노산도는 다소 높게 나타났고 알코올 함량에 있어서 대조구에 비해 1%정도로 높게 나타났다. 주요 유기산은 lactic, citric, malic, oxalic 및 succinic acid로 나타났으며 이 중 lactic acid 함량이 203.2%로 대조구에 비해 약 16배 정도로 높게 나타났다. 마늘 첨가 막걸리의 total polyphenol 함량, DPPH 자유라디칼 소거 활성 및 total thiosulfate는 대조구 막걸리에 비해 다소 높게 나타났다. 이는 마늘에 함유되어 있는 유기 황 화합물 등에 의해 함량이 높게 나타난 것으로 사료된다. MTT 분석 결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아 마늘 첨가 막걸리의 세포 독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알레르기 유발 및 예방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histamine 유리량을 측정한 결과 마늘 첨가 막걸리와 대조구 막걸리 모두 histamine 유리억제효과를 보였으며 마늘 첨가 막걸리에서 보다 높은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관능검사 결과 색에 대한 기호도는 특유의 색을 유지하여 대조구에 비해 다소 낮게 나타났지만, 맛, 향 및 전체적인 기호도는 대조구 막걸리에 비해 마늘 첨가 막걸리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마늘 첨가 막걸리는 국내 막걸리 시장의 다양성을 증대시키고 우수한 기능성으로 막걸리 시장의 활성화를 이어 갈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한국의 전통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 저장성 연구 및 향기성분 분석, 제성기술 확립 등 연구가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시판 생막걸리의 이화학 성분과 관능적 특성 분석 (Analysis of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Sensory Properties in Makgeolli)

  • 김재운;강지은;최한석;김찬우;정석태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491-499
    • /
    • 2017
  • 본 연구에서 시판 생막걸리의 이화학 성분과 관능적 특성을 살펴보고, 특히 휘발성 성분과 향미 묘사용어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이화학 성분은 우리술 품평회에서 입상한 생막걸리의 알코올, 환원당 함량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색도가 낮게 나타났다(p<0.05). 또한 휘발성 성분에서 입상한 생막걸리의 ethyl myristate의 함량이 2.4배 낮게 나타났다(p<0.05). 전체 15종 생막걸리의 묘사용어는 총 24개(외관2개, 향 10개, 맛 8개, 질감 4개)의 용어가 개발되었다. 입상주의 관능적 특성은 단내, 배향, 요구르트향, 알코올향, 알코올 향미, 탄산감이 주로 발현되었으며, 구수한 향/향미, 누룩향은 적게 나타났다. 생막걸리에 함유된 휘발성 성분과 묘사 용어 중 향에 관한 항목과의 상관분석 결과, ethyl lactate가 복분자향(r=0.840), 배향(r=0.723)과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1). 본 연구에서 도출된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이화학 특성과 관능적 특성(단내, 복분자향, 배향, 요구르트향 등)이 생막걸리의 품질특성에 잘 반영된다면 막걸리의 소비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누룩으로부터 오르니틴 생성능을 갖는 Pediococcus 속 균주의 분리 및 오르니틴 함유 막걸리의 3T3-L1 세포의 중성지질 축적 억제 효과 (Isolation of Pediococcus Strain from Nuruk and Anti-Lipid Accumulation Effect of Ornithine-Containing Makgeolli on 3T3-L1 Cells)

  • 육진선;오석흥;김수곤;이요셉;문은경;차연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9호
    • /
    • pp.1264-1269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누룩에서 ornithine 생성능을 보유하고 있는 Pediococcus 속 균주를 동정하고, ornithine 생성 유산균인 Pediococcus pentosaceus TNO-4를 이용하여 막걸리를 제조하였다. Ornithine의 전구물질인 arginine과 Pediococcus pentosaceus TNO-4를 첨가하여 제조한 ornithine 함유 막걸리의 ornithine 함량을 측정하고 세포 수준에서의 지방구 형성 억제 효과를 통한 항비만 효과를 평가하였다. Ornithine 막걸리의 ornithine 함량은 일반 막걸리에 비하여 3배 증가되었으며, 세포 실험 결과 0.05 mg/mL 농도의 ornithine 막걸리를 3T3-L1 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독성이 없는 수준에서 유의적으로 지방구 형성을 억제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기능성 물질이 강화된 우리나라 전통술인 막걸리를 통하여 지질축적 억제를 통한 항비만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더 나아가서 기능성이 부각된 막걸리의 개발을 통하여 막걸리 시장에 새로운 판로를 개척할 수 있고, 누룩에서 분리된 ornithine 생성능을 가진 유산균은 막걸리 이외에 여러 가지 발효식품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시중 유통 막걸리의 유기산 조성과 생리활성 (Composition of Organic Acids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Commercial Makgeolli)

  • 이상진;김지혜;정용우;박선영;신우창;박천석;홍성렬;김계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206-212
    • /
    • 2011
  • 막걸리는 고려시대 이후 제조된 우리나라 전통술이다. 본 연구는 막걸리의 유기산 분석과 생리 기능활성을 평가하고자 수행하였다. 막걸리의 유기산 분석 결과, 막걸리는 유기산 중에서 유산균에 의한 대사 산물인 lactic acid를 가장 많이 함유하고 있었으며 시판 막걸리에 따라 다양한 유기산 조성을 나타내고 있었다. 막걸리의 항비만 효과를 전지방세포인 3T3-L1 세포주를 사용하여 평가한 결과, 대조군 대비 막걸리는 전지방세포 분화를 저해하였으며, 특히 $100{\mu}g/mL$의 농도에서 40-70% 수준으로 분화를 억제하였다. 또한 혈관신생 억제 효과와 항염증 활성을 관찰하기 위하여, 각각 CAM assay와 LPS를 처리하여 염증반응을 유발한 murine macrophage RAW264.7 세포주에서 NO를 정량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 막걸리는 50% 이상의 혈관신생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농도의존적으로 NO의 생성량을 유의적 수준으로 저해하였다. 이런 결과를 종합할 때, 막걸리는 항비만, 혈관신생 억제, 그리고 항염증 활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막걸리의 누룩미생물 균총의 2차 대사산물의 효과에 기인한다고 생각된다.

시판 막걸리의 이화학적 특성과 젖산균 함량 및 생리기능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ctic Acid Bacteria Content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ies of Korean Commercial Makgeolli)

  • 김영헌;민진홍;강민구;김재호;안병학;김하근;이종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325-332
    • /
    • 2012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막걸리의 우수성을 발굴하고자 60종의 시판 생 막걸리와 저온살균 막걸리를 수집하여 이들의 주요 이화학적 성질과 젖산균 및 항고혈압활성 등의 생리기능성을 조사하였다. 생 막걸리의 에탄올 함량은 3.6%~9.6% 이었고 이들의 잔당 함량은 0.20%에서 4.52%, 아미노태질소 함량은 3.50~101.9 mg%로 다양하였다. 저온살균 막걸리의 경우 에탄올 함량은 4.0%~7.0%로 생 막걸리와 비슷하였으나 잔당함량은 0.98%~7.57%로 생 막걸리보다 높았다. 또한 시판 생 막걸리의 젖산균 생균수는 평균 $2.0{\times}10^8$ CFU/mL 이었다. 여러가지 생리기능성 중 시판 EDS-14 생 막걸리와 PWR-12 저온살균 막걸리의 항고혈압성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저해활성이 각각 89.0%와 87.0%로 매우 높았으나 여타의 생리기능성은 30% 미만으로 낮았다. 또한 ${\beta}$-Glucan 함량은 생 막걸리와 저온살균 막걸리가 각각 건조고형물 g당 평균 14.1%와 14.6%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