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jor courses system

검색결과 143건 처리시간 0.024초

디지털 보존 관련 학술연구 및 교과 주제분석 (Analysis on Topics of Digital Preservation Researches and Courses)

  • 정의연;최상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25-43
    • /
    • 2019
  • 디지털 자원의 급속한 증가에 따라 디지털 보존 및 디지털 큐레이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 연구는 디지털 보존과 디지털 큐레이션과 관련된 국외논문과 미국, 영국, 아일랜드, 캐나다, 뉴질랜드의 대학 기록관리 과정의 교과를 대상으로 제목 키워드 프로파일링 기법 및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논문 및 교과의 핵심 주제영역을 도출하고 논문 및 교과의 내용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논문 및 교과의 핵심 주제영역은 논문은 아카이브 시스템 영역, 교과는 큐레이션 교육 및 업무 영역이 주요 영역으로 나타났다. 논문 및 교과 내용분석에 있어서는 논문에서는 전략설계, 교과에서는 기록관리업무가 주요 내용으로 나타났으며 공통적으로 디지털 자원의 포맷이 중요한 이슈로 출현하였다.

전문대학 식품영양과의 3년제 학제 개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organization into the Three-Year Period of Education of the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in Junior College)

  • 김재근;오현미;이영순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4-21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necessity for the extension of education and the desirable educational period of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in junior college. Questionnaire was answered by the students, professors, dietitians, and the graduates. The result is summarized as follows: 52.1% of the subjects recognized that 2 year-period of education is too short, and professor group felt significantly shorter than any other groups. Both groups of professors(45.7%) and dietitians(43.5%) had more significantly recognized the necessity for the extended period of education than the groups of students(23.0%) and the graduates(21.5%) As the causes of the necessity for the extended period of education, 48.6% of the subjects answered 2 year-period of education is too short to study and practice on the major, and professor group highly recognized that the students need more time to study and practice for the major than time to prepare for the dietitian's certificates(p<0.001). Both Groups of professors(77.8%) and the graduates(65.1%) had significantly higher answer than groups of dietitians(56.1%) and the students(56.5%) to the question that 3 year-period of education is proper(p<0.001). Therefore the educational system should be reorganized into the three year-period of education as soon as possible for the effectiveness of the education of the dietitians, for the higher acquisition of dietitian's certificate, for the increase of field education, for the development of the student's creativeness and for the various courses after the graduation.

미용교육과정 인식과 직무활용도 및 직무만족도 관련 연구 (A Study on Cognition, Job Utilization and Satisfaction in Beauty Education)

  • 유수연;리순화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8호
    • /
    • pp.239-249
    • /
    • 2020
  • 본 연구는 미용전공 졸업생 205명을 대상으로 미용교육과정 인식이 현장활용성, 직무활용도,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전공별 각 요인들의 차이를 분석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피부는 실습, 기타 전공은 기술적인 면, 실기 테크닉 및 현장감 있는 교육에 대한 요구가 가장 많았고, 모든 전공이 이론<실습 형태의 교육과정, 실습 위주 수업을 요구하였다. 미용교육과정 인식 및 현장활용성이 낮게 나타났고 자격증 교육과정, 직무활용도 및 직무만족도 인식이 낮게 나타났다. 미용교육과정 인식이 현장활용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나타냈고(p<0.001), 교육내용은 직무활용도 하위요인과 직무만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나타냈다(p<0.001). 결론적으로 모든 전공에서 현장활용성, 직무활용도 및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실기교육 보완, 실습 비율 증가 등 교육과정 내용을 개선할 필요성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국내 학부 보건관리학과의 교육과정 분석연구: 취득면허·자격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Curriculum Analysis on Health Management Schools in Republic of Korea: Focusing on Relationship with Licence and Certification)

  • 이유리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23-34
    • /
    • 2018
  • Background: This study aims to conduct curriculum analysis on health management schools focusing on relationship with licence and certification in Republic of Korea. Methods: Possible employment field, licence and certification as well as curriculum were collected from the home page of 30 health management schools. The subjects and credits of curriculum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Main subjects by areas were drew using categorization and ranking within qualitative methods.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for checking relationship between main subject and possible employment field, licence and certification. Results: First, major employment fields after graduation were public health officer, general hospital and clinic, and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Possible licence and certificate were hospital administrator, medical recorder, health education specialist, and medical insurance specialist. Second, total graduate credits were 133.9 including 79.0 for major education, 30.5 for of general education, and 30.5 for elective courses. Third, main subjects were reviewed by areas including basic medicine, health management, hospital business & management, medical records & information, insurance billing & assessment, healthcare marketing & tourism, and health education. There were highest number of subjects on health education area among 8 categories. By subjects, many health management schools open health law, medical terminology, introduction to public health, and biostatistics. Relationship between main subjects and possible employment field, licence and certification in health management schools was strong.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review curriculum and for improving educational quality in health management schools. Also, development of curriculum standards for courses in health administration and introduction of accreditation system can be considered.

향기와 조명을 사용한 불면증 완화 시스템 구성의 사례를 통한 공학 교육 실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actical Engineering Eduaction through the Composition of the System for the Mitigation of Insomnia Using Aromatic Substance and Lighting)

  • 정성주;이진유;서정은;장은영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43-50
    • /
    • 2019
  • 대학 졸업 인증 기준으로 전자공학 전공에서 졸업작품 구성과 구성 결과에 대한 논문 작성에 관련된 일련의 교과과정을 3학기 동안 진행한 향기와 조명을 사용한 불면증 완화 시스템 구성 결과를 통해 이루어진 공학 교육의 실천 방법에 대한 구체적 예를 제시한다. 시스템 구성 과정에서 발생한 문제들의 해결 방법과 의사 전달 및 결정 방법을 팀 단위로 체득하면서 이루어진 학습 성취 과정의 체계적 구성을 제안한다. 또한 공학 지식 습득과 함께 이루어진 전공 과정의 성취 만족도를 조사 분석하였고, 교과과정의 학습성과 성취도 측정 결과에 대한 공학문제 수준설명(Level Descriptor)도 만족함을 확인하였다.

소형연료전지 자동차의 부하특성에 따른 시스템 설계에 관한 기초연구 (Fundamental Study on System Design as Load Character of the capacity Small Fuel Cell Vehicle)

  • 김홍건;강영우;김유신
    • 한국공작기계학회논문집
    • /
    • 제13권5호
    • /
    • pp.75-80
    • /
    • 2004
  • Feasibility of the small capacity fuel cell powered vehicle is carried out for system design with loading characteristics. The major design concepts which include battery, driving motor, and fuel cell module are analyzed and discussed for the future development. A load characteristics program is developed in order to calculate the traction power of fuel cell vehicle according to the driving courses specified. Further, the small capacity fuel cell vehicle is analyzed to determine the capacity of stack as a function of the velocity for an appropriate power required.

수학강좌의 강의평가에 대한 문제점 연구 (The Study for Problems of course evaluations in mathematics education)

  • 문권배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4권4호
    • /
    • pp.909-922
    • /
    • 2010
  • 대학교육에서 시행되는 강의평가가 절대점수 위주로 평가되고 있어, 그 문제점이 심각하다. 이 논문은 수학과 관련된 교과내용학, 교과교육학, 교양수학, 교양강좌에 대한 강의평가의 문제점을 실용교양강좌와 비교하면서 그 문제점을 찾고자 한다. 대학교육의 강의평가에서 특히 교양수학을 담당하는 교수들의 불이익이 상당하기에, 수학교육계에서 수학강좌에 대한 현 강의평가의 문제점을 본 사례연구를 통해 대 내외에 알려 적절한 보정작업을 요구할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공학교육혁신을 위한 트랙제 교육과정 운영 방안 연구 (Study on Operation Strategy of Track-Based Curriculum for Innovative Engineering Education Industry)

  • 유윤섭;유동상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논문지
    • /
    • 제4권2호
    • /
    • pp.33-37
    • /
    • 2012
  • 한경대학교는 산업대 체제에서 일반대 체제로의 전환에 따라서 기존의 교육과정을 혁신적으로 개선한 트랙제 교육과정 제도를 도입하기로 결정하고 트랙제 교육과정 운영방안 연구를 위한 TF 구성 및 교내 구성원들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는 등 트랙제 제도 도입을 위한 체계적인 준비를 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2012년 봄학기부터 트랙제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트랙제란 학문이나 특정 분야의 심층성과 전문성을 증대하고자 학과 내 커리큘럼을 세부 전공으로 나누고 학생들이 이를 이수할 경우에 해당 학과/기관에서 각각의 전문성을 보증해 주는 제도이다. 트랙은 기본적으로 특정 교육 대상, 교육 대상의 주로 활동하게 될 직무(직책), 교육의 수준, 교육과정 요구주체(기업 등)가 요구하는 내용으로 맞춤화된 교과목들의 집합이다. 본 논문에서는 트랙제 교육과정 제도의 성공적인 운영을 위한 구체적인 운영방안을 소개하고 트랙제를 운영하는 통합학과 중의 하나인 전기전자제어공학과의 운영을 통해서 발생한 문제점을 제시하고 해결방안을 제시한다.

  • PDF

우주와 생명의 기원에 대한 신학 전공 대학생의 관점 변화 (Perceptual Change of Undergraduate Students Majored in Theology about the Origins of Universe and Life)

  • 안유민;정재훈;최승언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17-329
    • /
    • 2009
  • 본 연구는 신학 전공 대학생들과 과학 교육 전공 대학생들과의 비교를 통하여 신학 전공 대학생들의 우주와 생명의 기원에 관련된 관점과 과학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며, 신학 전공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개설한 현대 과학의 이해와 관련된 과목을 한 학기 수강한 이후에 일어나는 관점의 변화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신학 전공 대학생 26명과 과학교육 전공 대학생 19명이 설문에 참여하였다. 신학 전공 대학생들의 경우, 수강 전 젊은 지구 창조론과 오랜 지구 창조론을 합하여 42%, 유신론적 진화론을 지지하는 응답자는 42%로 나타났으며 생물학적 진화론을 지지하는 응답자는 단 한 명도 없었다. 이에 반해, 과학교육을 전공하는 대학생들 대부분의 진화론을 지지하고 있었으며 극단적인 입장의 창조론을 지지하는 응답자는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창조론을 지지하는 대부분의 응답자는 과학이 창조주의 업적을 기술하는 도구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았고, 과학적 진화론을 지지하는 응답자는 과학이 자연 세계에 대한 논리적이고 기술적인 체계라는 견해를 가지고 있었다. 신학 전공 대학생들이 현대 과학에 대한 이해와 관련한 과목을 수강한 이후, 젊은 지구 창조론과 같은 극단적 관점을 지지하는 경우가 23%에서 4%로 감소하였으며, 유신론적 진화론의 관점은 다소 증가하였다. 이는 신학 전공 대학생들의 과학 관련 과목 수강이 신학 전공의 바탕에서 과학적 진화론을 이해하려는 실마리를 제공한다고 볼 수 있다.

병원간호사의 병원정보시스템 활용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Utilization of Clinical Nurses' Hospital Information System)

  • 김삼숙;주현옥;박인숙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440-447
    • /
    • 2008
  • Purpose: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utilization of clinical nurses' hospital information system. Method: Using a convenient sampling, 450 nurses from 9 secondary or tertiary university hospitals in B metropolitan city were selected. Results: The extent that nurses utilize the hospital information system was 3.22 point on average. The hospital information system utiliza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ersonal information utilization skill, information-oriented education, attitude toward computer, and support of the chief manager, while 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organizational atmosphere. The causal factors of influencing on the hospital information system utilization were personal information technology, education experience of the hospital information system, age, attitude toward computers, education level and support of the chief manager. The total eigenvalue of the variables was 38%. The major variables of influencing on the hospital information system utilization were the personal information technology and education experience of the hospital information system. Conclusions: Thus, nurse managers should provide training courses to improve personal information technology of nurses, and consistently promote them so that nurses can readily apply the hospital information system which have been recently introduced in various ways and thus improve the efficiency of nursin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