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hwang

검색결과 259건 처리시간 0.024초

Quantitative Analysis and Enantiomeric Separation of Ephedra Alkaloids in Ma Huang Related Products by HPLC-DAD and UPLC-MS/MS

  • Kyoung-Moon Han;Jinwoo Hwang;Sun Hee Lee;Boreum Park;Hyungil Kim;Sun Young Baek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28권4호
    • /
    • pp.168-180
    • /
    • 2022
  • Ephedra is a genus of the Ephedraceae family and is found in temperate regions, such as Central Asia and Europe. Among the various ephedra species, Ma Huang (Ephedra herb) is derived from the aerial parts of Ephedra sinica S tapf, Ephedra equisetina Bunge, and Ephedra intermedia Schrenk & C.A. Mey. Ma Huang contains various ephedra alkaloids, including (-)-ephedrine, (+)-pseudoephedrine, (-)-norephedrine, (+)-norpseudoephedrine, (-)-methylephedrine, and (+)-methylpseudoephedrine, which are found naturally as single enantiomers, although they can be prepared as racemates. Although the use of Ma Huang in foods is prohibited in Korea, products containing Ma Huang can be imported, and so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uitable analytical technique for the detection of Ma Huang in foods. Herein, we report the development of analytical methods for the detection of ephedra alkaloids in products containing Ma Huang. Following sample purification by solid phase extraction, quantitative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ultra-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triple quadrupole mass spectrometry (UPLC-MS/MS). Additionally, the enantiomers were successfully separated using HPLC-DAD. We successfully analyzed various food samples, where the ephedra alkaloids were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determined, and the enantiomers were separated. It is expected that these methods may contribute toward preventing the distribution of illegal products containing Ma Huang.

새로운 광 폴리머를 이용한 광배향 VA-LCD의 전기 광학 특성 (Electro-optical characteristics of photo-aligned VA-LCD using a new photo-polymer)

  • 황정연;서대식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0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디스플레이 광소자 분야
    • /
    • pp.181-184
    • /
    • 2000
  • A new photo-alignment material, copoly (PM4Ch-ChMA), copoly (poly (4-methacryloyloxy) chalcone-chalconemethacryl) was synthesized and the electro-optical (EO) characteristics for the photo-aligned vertically aligned (VA)-LC display (LCD) were investigated. The monodomain alignment of the NLC for the photo-aligned VA-LCD by linearly polarized UV exposure on the photo-dimerized copoly (PM4Ch-ChMA) surfaces was observed. Excellent voltage-transmittance characteristics for the photo-aligned VA-LCD by UV exposure for 1 min. on the copoly (PM4Ch-ChMA) surfaces were achieved. The response time of the photo-aligned VA-LCD by UV exposure on for 1 min. the copoly (PM4Ch-ChMA) surfaces was about 39.3 ms. The response time for the photo-aligned VA-LCD decreased with increasing UV exposure time.

  • PDF

사출금형용 고탄소강(HP4MA)의 레이저열처리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Laser Surface Treatment Characteristics of High Carbon Steel(HP4MA) for Injection Mold)

  • 황현태;최흥원;김종도
    • 한국생산제조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646-652
    • /
    • 2011
  • Recently, lots of automobile part manufacturers try to increase glass fiber content of their plastic parts to improve strength and impact-resistance. For this reason, injection mold requires high hardness and wear-resistant. Laser surface treatment is used to improve characteristics of wear and to enhance the fatigue resistance for injection mold. In this paper, high carbon steel (HP4MA) for injection mold material was heat-treated to harden surface by using high power diode laser (HPDL). To find the process parameters for laser surface treatment of HP4MA, many experiments are carried out as changing the parameters of surface temperature and travel speed of laser. From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s, it has been shown that the maximum average hardness is approximately 711~739 Hv when the temperature and the travel of laser are $1,050^{\circ}C$ and 2 mm/sec.

소프트웨어 재공학과 유지보수 지원을 위한 툴의 개발 (Development of the Tool for Software Re-engineering and Maintenance)

  • 김행곤;황선명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1권3호
    • /
    • pp.299-310
    • /
    • 1994
  • 소프트웨어 재공학 툴은 소프트웨어 유지보수 생산성과 그작업의 품질 향상에 기 여한다. 재공학은 프로그램의 구성요소에 대한 기능 변경이 아닌 행위 변경(객체의 이 름과 정의, 재구성프로세스 논리)을 일반적으로 관리한다. 본 논문은 객체 지향 프로 그램언어(C++)로 작성된 원시 코드의 유지 보수를 위한 소프트웨어 재공학 툴인 InMaC++(Interactive Maintenance for C++)의 개발에 대해 서술한다. InMaC++ 는 원시 코드와 다이어그램(설계정보) 형태 모두를 표현할 수 있고 편집 기능이 가능 하며 원시 코드에서 다이어그램으로 다이어그램에서 원시 코드로의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들 변형을 통해 기존 코드의 유지보수와 재공학이 가능하다. 특히 시스템의 검색기능은 그래픽 인터페이스로 구현되었으며 InMaC++는 객체 지향 프로그램의 메 소트, 속성, 클래스등의 구성 요소를 기반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 하고 있으며, 이 모 델은 구현과 사용의 편리성과 툴의 구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4가지의 객체 클래스와 3가지 관계를 정의하고 이들 객체 클래스의 검색을 위해 시스템 제공 단순 질의어가 제공한다.

  • PDF

POLYPROPYLENE/CLAY NANOCOMPOSITES FOR AUTOMOTIVE APPLICATIONS

  • HONG C. H.;LEE Y. B.;JHO J. Y.;NAM B. U.;HWANG T. W.
    • International Journal of Automotive Technology
    • /
    • 제6권6호
    • /
    • pp.665-670
    • /
    • 2005
  • Nanocomposites of polypropylene with organically modified clays were compounded on a twin-screw extruder by two-step melt compounding of three components, i.e., polypropylene, maleic anhydride grafted polypropylene (PP-g-MA), and organically modified clay. The effect of PP-g-MA compatibilizers, including PH-200, Epolene-43, Polybond-3002, Polybond-3200, with a wide range of maleic anhydride (MA) content and molecular weight was examined. Morphologies of nanocomposites and their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stiffness, strength, and impact resistance were investigated. X-ray diffraction patterns showed that the dispersion morphology of clay particles seemed to be determined in the first compounding step and the further dispersion of clays didn't occur in the second compounding step. As the ratio of PP-g-MA to clay increased, the clay particles were dispersed more uniformly in the matrix resin. As the dispersibility of clays was enhanced, the reinforcement effect of the clays increased, however impact resistance decreased.

철원분지 화성암류의 SHRIMP 연령측정과 화산작용 시기 (SHRIMP Age Datings and Volcanism Times of the Igneous Rocks in the Cheolwon Basin, Korea)

  • 황상구;안유미;이기욱
    • 암석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31-241
    • /
    • 2011
  • 경기육괴 북서부에 위치하는 철원분지 철원층군은 경상분지 유천층군에 대비되어 왔지만 이의 연령은 이보다 상당히 오래되었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 연구에서는 철원분지 화성암류에 대해 SHRIMP U-Pb 저어콘 연령을 측정하였다. 저어콘에서 구한 평균연령은 유문암이 $115.0{\pm}1.1Ma$, 화강반암이 $111.24{\pm}0.85Ma$$109.1{\pm}1.1Ma$를 보여준다. 그리고 지장봉응회암의 최소연령은 113 Ma를 보여준다. 유문암의 연령은 동막골응회암의 분출 직후에 칼데라 함몰을 지시하는 환상암맥의 관입시기를 한정하고, 지장봉응회암의 최소연령은 아마도 철원분지에서 마지막 화산작용을 의미한다. 따라서 철원분지의 화산암류는 압티안 후기에 분출되었으며 철원층군은 경상분지 신동층군에 대비된다. 그리고 철원분지에서 심성작용은 화산작용이 끝나면서 111.2~109.1 Ma 시기에 일어났다. 지장봉응회암의 저어콘들로부터 측정한 연령분포는 철원분지 주변의 백악기, 쥬라기, 트라이아스기, 신원생대, 고원생대와 시생대 근원암에서 유래된 외래 저어콘의 존재를 지시한다. 그러나 시생대 연령은, 지표에 노출되지 않지만, 아마도 지하에 시생대 암층이 존재함을 암시해준다. 이와 같은 다양한 연령분포에 의하면 지장봉응회암이 분출시킨 화구는 연대가 다른 여러 암층이 층서적으로 겹치고 관입암이 교차하는 지역에 위치한다.

진한 염소나트륨의 전극반응에 관한 연구 (A Study of Electrode Reaction of Concentrated $NaClO_3$ Solution)

  • 황금소
    • 대한화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44-250
    • /
    • 1974
  • Galvanostatic double pulse 방법으로 백금전극을 사용해서 염소산이온의 전극반응기구를 조사하였다. double current pulse(음극펄스를 먼저 주고 다음에 양극펄스를 주었을 때)를 주었을 때 전류밀도 20∼25ma/$cm^2$ 범위에서 염소산이온의 전극반응기구가 다음과 같이 가정되었다. 더 높은 전류밀도 40∼90ma/$cm^2$ 범위에서, 염소산이온의 전극반응기구는 다음과 같이 가정되었다.$CIO_3^-\;{\longrightarrow^{I}_{n_{1c}}\;CIO_2^-\;{\longrightarrow^{II}_{n_{2a}}\;CIO^-\;{\longrightarrow^{I'}_{n_{1a}}\;CIO_2^-\;{\longrightarrow^{II'}_{n_{2a}}\;CIO_4^-$ 더 높은 전류밀도 40~90ma/$cm^2$ 범위에서, 염소산 이온의 전극 반응 기구는 다음과 같이 가정되었다.$CIO_3^-\;{\longrightarrow^{III}_{n_c}}\;CIO^-\;{\longrightarrow^{I'}_{n_{1a}}\;CIO_2^-\;{\longrightarrow^{II'}_{n_{2a}}\;CIO_4^-$ 혹은 $CIO_3^-\;{\longrightarrow_{n_c}}\;CIO^-\;{\longrightarrow_{n_a}}\;CIO_4^-$

  • PDF

청송 구암산 칼데라 화산암류의 SHRIMP U-Pb 연령측정과 화산과정 (SHRIMP U-Pb Dating and Volcanic Processes of the Volcanic Rocks in the Guamsan Caldera, Cheongsong, Korea)

  • 황상구;조인화;이기욱
    • 자원환경지질
    • /
    • 제50권6호
    • /
    • pp.467-476
    • /
    • 2017
  • 구암산 칼데라는 청송 남동부에 나타나며, 이 칼데라에 직접적으로 관련되는 지질은 규질 화산암류이고 화산각력암, 구암산응회암과 함몰후 관입암으로 구분할 수 있다. SHRIMP를 이용하여 저어콘 U-Pb 연령측정을 실시함으로서 화산암류의 분출시기, 관입시기와 칼데라 형성시기를 확실하게 하였다. 측정결과에 의하면 구암산응회암은 하부 회류응회암이 $63.77{\pm}0.94Ma$, 상부 회류응회암이 $60.1{\pm}1.8Ma$의 분출시기, 함몰후 관입체의 환상 유문암맥은 $60.65{\pm}0.95Ma$의 관입시기를 나타낸다. 이 자료에 의하면 구암산 칼데라는 구암산응회암의 상부 회류응회암 분출 직후, 환상암맥 관입 직전의 60.65~60.1 Ma 무렵에 형성되었음을 암시해준다. 구암산 칼데라 지역에서는 63.77~60.1 Ma 기간에 회류분출-칼데라함몰-환상관입으로 연결되는 하나의 완벽한 칼데라윤회를 거치는 화산과정을 나타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