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T. BONGHWA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18초

서울시 근교에 위치한 도시숲 군집구조 분석 (Community Analysis of Urban Forest around city of Seoul)

  • 노유미;강희준;이상돈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599-604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도시 숲에 속해 있는 불암산, 대모산, 봉화산 3개 산을 대상으로 군집분석을 하였다. 불암산 군집분석 결과 소나무(Pinus densiflora)-신갈나무(Quercus mongolica), 서어나무(Carpinus laxiflora)-리기다소나무(Pinus rigida), 굴참나무(Quercus variabilis)-팥배나무(Sorbus alnifolia)로 나왔으며 대모산의 군집은 리기다소나무-일본잎깔나무(Larix leptolepis), 현사시나무(Populus tomentiglandulosa)-물박달나무(Betula davurica Pall)로 구분되었다. 봉화산의 군집분석 결과 소나무-팥배나무와 상수리나무(Quercus acutissima)-벚나무(Prunus serrulata)로 구분되었다. 불암산, 대모산, 봉화산의 지역별 유사도에서는 불암산과 대모산의 유사도 지수가 0.634로 높게 나와 비슷한 식생들이 분포하고 있으며 다른 지역보다 대모산 지역의 우점도가 0.166으로 다수의 종이 우점한다. 또한 종다양도 분석결과 대모산이 가장 안정된 상태를 이루고 있으며 종다양도, 최대종다양도, 균재도는 불암산, 봉화산, 대모산 지역으로 갈수록 높아지고 우점도는 불암산, 봉화산, 대모산 지역으로 갈수록 낮아진다.

A Flora of Vascular Plants in Mt. Munsusan, Bonghwa

  • Lee, Hye Jeong;Byeon, Jun Gi;Heo, Tae Im;Kim, Ji Dong;Park, Byeong Joo;Lee, Dong Hyuk;Lee, Jun Woo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633-660
    • /
    • 202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lucidate the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and their usefulness of Mt. Munsusan (1,205 m) in Bonghwa County, North Gyeongsang Province, South Korea. The vascular plants that were investigated in 2 years (2019 ~ 2020) with 15 times consisted a total of 571 taxa; 94 families, 310 genera, 496 species, 4 subspecies, 63 varieties and 8 formas. For the Korean endemic plants, 17 taxa were recorded and 3 taxa of Vulnerable Species (VU) and 9 taxa of Least Concerned species (LC) categorized by the Korean Forest Service as rare plants were investigated in this region. Furthermore, IV, III degrees of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designated by the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included 8 taxa and 27 taxa, respectively. Among them, edible, medicinal, ornamental, feed/composting, industrial plants were 391 taxa, 359 taxa, 301 taxa, 241 taxa, 217 taxa, respectively. In addition, 25 taxa of naturalized plants were observed.

DMZ에 인접한 봉화산 일대의 관속식물 분포 연구 (The Floristic Study of Mt. Bonghwa (Yanggu-gun, Gangwon-do) Area Adjacent to the Korean Demilitarized Zone)

  • 김상준;신현탁;안종빈;윤정원;정수영;이준우;허태임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554-574
    • /
    • 2018
  • 본 연구는 강원도 양구군 DMZ 접경지역에 위치한 봉화산(874.9m)의 관속식물을 밝히고 보전이 필요한 주요 식물과 자원 식물들의 분포를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2015년 5월부터 2017년 4월까지 총 10차례에 걸쳐 조사된 관속식물은 93과 309속 358종 4아종 58변종 5품종으로 총 525종이 파악되었다. 그중 산림청에서 지정한 희귀식물은 개느삼, 삼지구엽초, 쇠채 등 총 12분류군, 한국 특산식물은 진범, 요강나물, 고려엉겅퀴 등 총 17분류군이 확인되었고,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V등급에 해당하는 삼지구엽초, 개느삼 등을 포함하여 총 80분류군이 분석되었다. 외래식물은 31분류군으로 파악되었으며 귀화율과 도시화지수는 각각 5.8%, 7.25%로 나타났다. 조사된 525분류군의 유용도는 식용자원으로 분류되는 식물 213분류군(40.9%), 목축및 사료 자원으로 이용되는 식물 196분류군(37.2%), 약용식물 172분류군(32.6%), 관상용 50분류군(9.5%), 목재용, 염료용, 섬유용으로 이용되는 식물이 각각23분류군(4.3%), 10분류군(1.9%), 6분류군(1.1%)으로 분석되었다.

희귀 식물 꼬리진달래의 형태적 변이 (Studies on Morphological Variation Among Provenances of a Rare Rhododendron micranthum in Korea)

  • 김남영;김흥식;김영설;박완근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5권1호
    • /
    • pp.55-59
    • /
    • 2006
  • 본 연구는 희귀식물 꼬리진달래의 형태적 변이를 분석하여 종내 변이를 구명하며, 나아가 조경수로써 우량한 개체의 선발과 유전자원을 보호하며 꼬리진달래의 보호, 관리함에 있어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꼬리진달래의 형태적 특성을 고찰하기 위하여 6개 산지를 선정하고, 18가지 형질들을 조사한 결과, 꽃잎의 형질에서는 월악산의 것이 큰 경향을 나타낸 반면에 봉화의 것이 가장 작은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잎의 형질에서는 연하리의 형질이 가장 큰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봉화의 것이 가장 작게 나타났다. 형태적 특성들에 대한 주성분분석 결과, 제 1주성분의 기여도가 전체변이의 41.6%, 고유값이 1이상인 제 3주성분까지의 기여도는 전체변이의 81.5%였다. 제 1주성분은 꽃잎 길이(PL), 엽 길이(LL) 폭(LW), 암술머리 길이(SL) 특성이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제 2주성분의 기여율은 21.1%로서 엽병 길이(PTL), 약 길이(AL) 특성이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또한, 제 3주성분의 기여율은 22.6%로서, 소화경 길이(FPL), 수술대 길이(FL) 특성이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주성분 1, 2, 3의 주요특성들은 꼬리진달래 산지간 형질 분류에 중요한 정보를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조사 분석된 산지의 형태적 특성들을 기초로 하여 유집분석을 실시한 결과를 종합하여 살펴볼 때, 크게 3개의 그룹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제 1그룹은 영월군 직동리이며, 제 2그룹은 충청북도 월악산, 영윌군 연하리, 제 3그룹은 태백, 봉화, 삼척 지역이 속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도시숲 조성 및 관리를 위한 도시숲 유형화 및 적용방안 (Classification of Urban Forest Types and its Application Methods for Forests Creation and Management)

  • 이동근;김은영;송원경;박찬;최혜영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101-109
    • /
    • 2009
  • There are increasing needs about creation and sustainable management of urban forest for environmental conservation and recreational service for citizen. However, it is difficult for local governments to create or manage urban forest in recreational or conservational wa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urban forest types by considering its geographical feature, biological and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in order to suggest a guide to local governments about effective creation or management of urban forest. In this study, we extracted common characteristics of the selected five indicators. Factors about urban forest are divided into two groups. Factors were named according to the variables as 'Urban Forest Naturalness', and 'High Accessibility and Disturbed by Human.' In addition, we classified urban forests into four types in this study. The type I of urban forest is a large forest and has high naturalness such as Mt. Bukhan and Mt. Gwanak. The type II is fragmented to large forests by developmental projects. The type III is flat and has high accessibility such as forest behind Seonjeongneung. The type IV is located near residential area such as Mt. Ansan, Mt. Inwang and Mt. Bonghwa. It is possible to set up recreational area for citizens and ecological networks for species by the research of the urban forest type. The results of the study, classification of urban forest types and its application, contribute to provide a guide for local governments to create or manage urban forests effectively.

장군봉(봉화군) 일대의 관속식물상 (A Flora of Vascular Plants of Mt. Janggunbong (Bonghwa-gun))

  • 남보미;정선;김재영;오병운;정규영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67-478
    • /
    • 2016
  • 본 연구는 경북 봉화군에 위치하는 장군봉(1,136 m)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을 밝히고 그들의 유용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2006년 5월부터 2015년 9월까지 총 15회에 걸쳐 조사된 식물은 총 82과 279속 397종 2아종 55변종 8품종 총 462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이 중 한국특산식물은 10분류군,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 중 멸종위기종 1분류군, 취약종 5분류군, 약관심종 7분류군, 환경부 지정 식물구계학적 특정 식물 중 Ⅳ등급이 8분류군, Ⅲ등급이 14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이들을 유용성에 따라 구분했을 경우 식용 352종류, 목초용 107종류, 약용 71종류, 관상용 18종류, 목재용 8종류, 염료용 5종류, 공업용 3종류, 섬유용 2종류의 순으로 나타났고, 이 외에 용도를 알 수 없는 식물이 111종류로 확인되었으며, 귀화식물은 28분류군으로 파악되었다.

아마란스의 생육기간에 따른 건물생산성 및 종실 수량 (Effect of Growing Period on the Dry Matter Productivity and Grain Yield of Amaranth (Amarnathus caudatus))

  • 남효훈;이중환;손창기;서영진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24-31
    • /
    • 2018
  • 기호성 잡곡작물로 주목 받고 있는 아마란스의 경북지역 내 재배가능성과 재배요인을 구명하기 위하여 파종기와 수확기를 달리하여 건물생산성과 수량을 조사하였다. 생육특성과 건물생산성은 생육기 온도가 가장 높았던 5월 10일 파종이 가장 높았던 반면 수량은 4월 10일 파종이 많았다. 파종기에 따라 경북지역 아마란스의 종실수량은 96~243kg의 범위를 보였다. 각 파종기별 적정 생육일수는 4월 10일 파종이 120일, 5월 10일과 6월 10일 파종은 110일일 때 수량이 가장 많았다. 생육기 평균기온(MT)과 수량(Y) 간에는 각각 $Y=-16.362MT^2+670.04MT-6639.1$ ($R^2=0.629$)의 2차 함수관계를 보이고 최적온도는 $20.6^{\circ}C$, 최적 생육일수는 파종기에 따라 104~119일로 추정되었다.

차세대염기서열방법을 이용한 경북 봉화군 장군봉 소나무림의 토양 박테리아 군집 구성 (Soil Bacterial Community in Red Pine Forest of Mt. Janggunbong, Bonghwa-Gun, Gyeongbuk, Korea, Using Next Generation Sequencing)

  • 이병주;어수형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6권2호
    • /
    • pp.121-129
    • /
    • 2017
  • 토양미생물은 산림 생태계 구성 요소로써 산림 내 물질 순환 및 식물 생장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국내 산림과학분야에서는 토양 균류 일부 종에 대한 연구가 주로 실시되어졌으며, 박테리아를 포함한 미생물 군집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16S rRNA gene 영역에 대한 차세대염기서열분석법을 통해, 장군봉 천연 소나무림 토양 내 존재하는 박테리아 군집 구성을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phylum 수준에서 Proteobacteria, Acidobacteria, Actinobacteria, Planctomycetes 등이 나타나, 전형적인 토양 박테리아 군집 구성을 보였다. 또한, 부영양 환경을 선호하는 Proteobacteria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는데, 다른 인공림과 비교하여 장군봉 천연 소나무림 토양 유기물량이 상대적으로 풍부한 것이 원인으로 생각된다. 한편, 토양 내 질소 순환에 기여를 하는 뿌리혹박테리아 분류군을 살펴본 결과, Burkholderia, Bradyrhizobium, Rhizobium 속이 주로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토양 물리 화학적 특성과 박테리아 군집 구성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토양 내 pH가 박테리아 군집 구성과 관련된 주요 토양 특성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봉화군 갈방산 일대의 식물 분포 연구 (The Flora of Mt. Galbangsan in Bonghwa-gun)

  • 변준기;이동혁;허태임;이준우;박병주;김영수;김현탁;신승택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5-45
    • /
    • 2018
  • 경상북도 봉화군에 위치한 갈방산(712m)은 백두대간 옥석산(1,244m)에서 분기한 문수지맥의 산지 가운데 하나다. 본 연구는 갈방산 일대 관속식물의 분포상을 파악하고자 2017년 5월부터 2018년 9월까지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 92과 265속 373종 4아종 44변종 5품종으로 총 426분류군의 관속식물이 조사지에서 확인되었다. 이는 경상북도 관속식물 1,684분류군(Korea National Arboretum, 2016)의 25.3%, 한반도 관속식물 4,499분류군(Korea National Arboretum, 2018; Http://www.nature.go.kr/kpni/)의 9.5%에 해당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갈방산 일대의 주요 식물 가운데 한국특산식물은 11분류군(키버들, 병꽃나무, 처녀치마 등)이 확인되었고,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은 VU등급(세잎승마) 1분류군, LC등급(도깨비부채, 태백제비꽃) 2분류군으로 총 3분류군의 희귀식물이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V등급 1분류군, IV등급 2분류군, III등급 10분류군, II등급 16분류군, I 등급 23분류군이 확인되었고, 외래식물은 총 22분류군으로 도시화지수(%) 6.3%, 귀화율은 5.2%에 해당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조사된 식물의 유용성 분석 결과, 식용식물 345분류군(81%), 섬유용식물 4분류군(0.9%), 약용식물 85분류군(20.0%), 관상용식물 18분류군(4.2%), 목초용식물 109분류군(25.6%) 목재용식물 15분류군(3.5%) 등으로 확인되었다. 요컨대 갈방산 일대의 식물 현황을 제시함으로써 본 연구 결과물이 갈방산 일대의 희귀특산식물과 유용식물의 보전 및 활용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될 것이라 기대한다.

  • PDF

원주시 도심 거점산림과 잔존산림의 식생구조 비교 연구 (Comparison of the Vegetation Structure between Base Mountain and Residual Mountain in the Urban Area, Wonju)

  • 조우;한봉호;최진우;노태환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767-786
    • /
    • 2011
  • 본 연구는 원주시 도심지에 위치한 도심외부 거점산림인 봉화산과 도심내부 단절된 잔존산림인 학성공원, 일산공원, 무실공원을 조사분석하여 식생구조 특성을 비교하였다. 원주시 도시림 현존식생은 도심외부 거점산림은 신갈나무림과 아까시나무림이, 도심내부 단절된 잔존산림은 상수리나무림과 아까시나무림이 넓게 분포하였고 두 지역 모두 숲가꾸기 일환으로 숲관리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DCA에 의하여 분류된 군집의 상대우점치와 흉고직경급별 분포 분석결과 추정되는 천이경향은 소나무군집으로 유지되는 군집(군집 B), 참나무류군집으로 유지되는 군집(군집 A, D, d), 외래식생군집으로 유지되는 군집(군집 C, E, F, e, f, g)으로 구분되었다. 도심외부 거점산림과 도심내부 단절된 잔존산림 모두 생태적 천이가 중단된 상태이었다. 하지만 외래식생군집으로 유지되는 군집의 생태적 천이 잠재성은 아교목층과 관목층에 출현하는 참나무류의 상대우점치와 흉고직경급별 분포 분석 결과 도심외부 거점산림이 도심내부 단절된 잔존산림 보다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종수 및 개체수와 종다양도 분석결과는 숲가꾸기 사업 시행에 따른 아교목층과 관목층의 감소, 시행 후 시간의 흐름에 따라 천이 초기 수종이 다양하게 출현하였다. 자연림과 인공림 간 종다양도 비교는 도심외부 거점산림과 도심내부 단절된 잔존산림 모두 간벌, 하예작업 등에 의한 인위적 교란의 영향으로 뚜렷한 경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유사도지수는 도심외부 거점산림 6개 군집은 17.76~52.22%이었고 도심내부 단절된 잔존산림 4개 군집은 13.34~37.01%로 도심내부 단절된 잔존산림 간의 유사도지수가 낮았다. 귀화식물 중 서양등골나물과 미국자리공은 도심내부 단절된 잔존산림에서 더 많이 출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