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SSB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1초

학령전기 아동의 심적 표상 : 부모에 대한 심적 표상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MENTAL REPRESENTATION OF PRESCHOOL CHILDREN:ASSOCIATION WITH PARENTAL MENTAL REPRESENTATION)

  • 이경숙;이혜란;신의진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0권1호
    • /
    • pp.21-33
    • /
    • 1999
  • 자기보고 능력이 부족하다고 알려진 학령전기 아동의 임상 평가는 외부관찰자의 보고에 의존하는 점이 많고 아동 자신의 내적인 경험, 생각, 감정에 대한 직접적인 평가가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놀이 상황에서 학령전기 아동의 내적 마음의 표상을 알아보기 위해 개발된 MacArthur Story-Stem Battery(MSSB)를 사용하여 정상 아동의 내적 마음의 표상의 발달에 대한 연구를 시행하여 학령전기 아동의 임상 평가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만 3세부터 7세까지의 정상 아동 55명(남아 32명, 여아 23명)에서 MSSB, 언어평가(Peabody Picture Vocabulary Test-Revised), 지능평가를 시행하고 비디오로 녹화하여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정서적인 갈등 상황을 설정한 놀이에서 아동들은 비전형적 부정적 반응, 보상/죄의식, 처벌, 개인적 상해 등의 부정적인 정신적 표상이 흔히 표현되었다. 2) 부모에 대한 정신적 표상은 긍정적 표상, 훈육적 표상, 부정적 표상의 순으로 표현되었다. 3) MSSB 내용 주제요인 분석 결과, 비전형적 부정적 반응, 공격성, 개인적 상해, 배제로 묶이는 공격적 주제, 애정, 제휴, 죄의식/보상으로 묶이는 친사회적 주제, 처벌과 불복종으로 묶이는 반항적 주제 세 가지로 나타났다. 4) 부모에 대한 정신적 표상과 MSSB 내용 주제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부모에 대한 긍정적 표상은 친사회적 주제와(r=0.40), 부정적 표상은 공격적 주제와(r=0.52) 그리고 훈육적 표상은 반항적 주제와(r=0.75)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5) 부모에 대한 정신적 표상과 MSSB 정서 반응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부모에 대한 긍정적 정신적 표상과 불안 사이에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r=-0.43)를 보였다. 6) MSSB 내용 주제와 정서 반응사이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공격적 주제(r=0.28)와 반항적 주제(r=0.29)는 고통의 감정 반응과 유의미한 양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친사회적 주제는 근심(r=-0.29), 불안(r=-0.43)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 의하면 정서적인 갈등을 야기하는 놀이 상황에서 학령전기 아동들은 부정적인 정신적 표상을 흔히 보였으며 부모들은 자신들을 도와주는 긍정적인 표상으로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또한 공격적 주제를 많이 보이는 아동들은 부정적인 정서 반응과 부모에 대해 부정적인 정신적 표상을 많이 나타냄을 알 수 있다.

  • PDF

한국 5세 아동의 이야기 완성과제에 대한 나레이티브 반응 경향성 (Profiles of Story Stem Narrative Reponses in 5 Year-Old Korean Children)

  • 이영;민현숙
    • 아동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193-210
    • /
    • 2010
  • This study explored the common response profiles in the narrative stories of typically developing 5 year-old Korean Children. Fourteen story stems from the MacArthur Story Stem Battery (MSSB, Bretherton, Oppenheim, & the MacArthur Story Stem Network, 1990) were administered to 156(85 boys and 71 girls) children recruited from 8 Kindergartens in the Seoul and Gyung-gi areas. The children's responses were aggregated into 5 dimensions, based on content themes and performance scores which included emotions expressed and narrative coherence using the MacArthur Narrative Coding System (Robinson, Mantz-Simmions, Macfie, & MacArthur Narrative Working Group, 2004).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cluster analysis. 5 response profiles emerged over the course of this research : Prosocial, Anxiety, Dysregulated aggression, Anxious/Avoidance, and Avoidance profiles. When 14 story stems were grouped into 3 story contexts (stories included interpersonal conflicts, moral conflicts, and empathy) and were analyzed separately according to the story contexts, 3 common profiles (a Prosocial profile, a Constrained profile and an Anxiety profile) emerged across the story contexts, however, there were additional, unique profiles for each of the story contexts.

유아의 나레이티브 표상과 적대적 귀인 편향 (The Preschoolers' Narrative Representations and Hostile Attributional Bias)

  • 이미경;이영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75-87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schoolers' hostile attributional bias and the narrative representation profiles. Forty five 4-year-old preschoolers (24 boys, 21 girls) participated in this study. In order to measure the children's narrative responses, MacArthur Story Stem Battery (MSSB) was used, and "a cartoon-based social perception task" was used to obtain preschoolers' hostile attributional bia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cluster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rate of hostile attributional style of the subjects was 28.89%. Second, four profiles regarding the narrative representations of 4-year olds were found including: Prosocial (33.3%), Constrained (42.2%), Anxious/Restricted (6.7%), and Dysregulated (17.8%). Third, the rate of preschoolers' hostile attributional style differed by the preschoolers' narrative representation profile. Children with a Prosocial profile showed a less hostile attributional style than children with an Anxious/Restricted profile and Dysregulated profile. In conclusion, preschoolers' hostile attributional bias is related to the narrative representation profile.

심한 정신적 외상 경험을 한 학령 전기 아동의 정신적 표상에 대한 예비연구 (PRELIMINARY STUDY OF MENTAL REPRESENTATIONS OF PRESCHOOL CHILDREN EXPERIENCING SINGLE, SEVERE TRAUMA)

  • 엄소용;송원영;오경자;최의겸;심은지;신의진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5권1호
    • /
    • pp.61-74
    • /
    • 2004
  • 연구목적:아동기에 경험한 심각한 정신적 외상은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Posttraumatic Stress Disorder;PTSD) 증상을 야기할 뿐 아니라, 전반적인 심리 발달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특히 정신적 외상은 학령전기 아동의 정신적 표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향후 인격형성에 문제를 일으킬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한차례의 심한 정신적 외상을 경험한 9명의 학령전기 아동들의 심리적 표상이 어떻게 형성되어 있는지를 조사하여 이들의 정신적 문제를 진단적 범주 차원을 넘어 내면의 심리적 차원의 이해를 높이고자 하였다. 방 법:유치원 점심시간에 침입한 정신질환자에게 칼로 심한 신체적 상해를 입은 동일한 한 차례의 심한 정신적 외상을 경험한 만 $3{\sim}5$세 아동 9명(남아 6명, 여아 3명)을 대상으로, 사고 발생 1개월 경과 후 신체적 상해를 치료한 시점에서 심리적 평가를 시행하였다. 평가는 부모 면담, 아동에 대한 정신의학적 면담 및 관찰, 아동에 대한 심리평가(지능검사, House-Tree-Person test;HTP, MacArthur Stem Story Battery;MSSB) 등이 포괄적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정신적 표상을 반영하는 MSSB, HTP 검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 과:9명의 아동은 모두 진단(5명이 PTSD 진단에 해당됨)과 상관없이 보편적으로 외상 경험과 관련되어 보이는 높은 불안감, 우울감, 위축과 회피 등의 감정 반응을 주로 나타내었는데, 이런 반응들은 부모 보고에 의한 평가에서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특히 병원 치료에 대한 공포, 사고에 대한 재현, 공격적 주제, 양육자와의 이별 등의 내용이 아동의 그림이나 이야기 속에서 자주 나타났으며 이런 내용은 직접적 질문이나 대화에서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결 론:본 연구에서 한번의 심각한 외상 경험을 한 학령 전기 아동들은 PTSD 진단 여부와 관계없이, 전반적 정신적 표상으로 외상과 관련된 부정적 정서 경험과 사고 내용을 보였다. 따라서 향 후 심한 정신적 충격을 받은 학령전기 아동들의 경우 PTSD 증상 뿐 아니라 사고로 야기된 부정적 정신적 표상에 대한 평가와 개입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 PDF

위탁 아동과 일반 아동의 정신적 표상 비교 (The Comparative Study on Mental Representation between Foster-care and Typical Children)

  • 고민정;이경숙;김윤미;최인애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9권3호
    • /
    • pp.507-528
    • /
    • 2013
  • 본 연구는 맥아더 이야기 꾸미기 검사(MSSB)를 통하여 위탁 아동의 정신적 표상 및 역기능적 정서조절을 살펴보고, 일반 아동과 비교하여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에 소재한 가정위탁지원센터를 통해 가정위탁을 받고 있는 만 5-8세 위탁 아동 25명(남아 11명, 여아 14명)과 서울과 경기도에 거주하고 있는 만 5-8세 일반 아동 25명(남아 11명, 여아14명)으로 총 50명 이었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위탁 아동이 일반 아동보다 역기능적인 인지적 표상이 많았는데 위탁 아동은 일반 아동보다 공감적 관계 주제는 더 적게 보였고, 비조직화된 공격성 주제는 더 많이 보였다. 둘째, 위탁 아동과 일반 아동 간의 내적 표상 일관성을 비교한 결과 위탁 아동은 일반 아동에 비해 내적 표상 일관성이 더 낮았다. 셋째, 위탁 아동과 일반 아동의 내적 표상에서 역기능적 정서조절을 비교한 결과, 7세 미만의 위탁 아동은 일반 아동에 비해 정서조절을 실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인간 갈등, 도덕적 주제, 회피 전략, 분열 코드 주제와 역기능적 정서조절 중 과장표현에서는 위탁 아동과 일반 아동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위탁 아동이 직접 느끼고 경험하는 내적 표상의 주요한 주제와 역기능적 정서조절에 대한 개별 놀이평가형태의 질적 연구 분석을 실시하여 위탁 아동의 정신적 표상을 심도 있게 이해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PDF

유아의 서술적 표상에 나타난 어머니상과 유아의 자아개념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s Narrative Representations of Mothers and Their self-concept)

  • 심성경;김나림;공미자;변길희;박주희
    • 아동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297-309
    • /
    • 2005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s narrative representation of mother and their self-concept. Subjects were 120 children of 5 years 01d(60 boys and 60 girls) at three nursery centers located in Daejon city. The children's narrative representation of their mother was examined using the tool of Ryu & Lee(200l) based upon MSSB made by Bretherton et al(1990). And the children's self-concept was examined using the tool of Lim(1995) based upon 'I feel${\cdots}$Me feel' made by Bently & Yeatts(1974). The data were analysed by frequency, two independent t-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with SPSS program. The young children's narrative representation of mother was positive. And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young children's narrative representations of mothers and their self-concept.

  • PDF

3-4세 유아의 애착 행동과 어머니에 대한 표상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Behaviors and Narrative Representations about Mothers by 3 and 4 year-old Children)

  • 신혜원;이영
    • 아동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89-110
    • /
    • 2005
  • Subjects were 66 3- to 4-year-old-Children of unemployed mothers from upper middle class families. Attachment behaviors were measured with the Preschool Strange Situation(Cassidy and Marvin, 1992) and classified as secure, avoidant, dependent, or disorganized. Narrative representations of mothers by Children were obtained by video taped interviews using the MacArthur Story-Stem Battery and coded by the MacArthur Narrative Working Group(1997) system.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and t test. Results were that children in the secure group showed more positive representations of their mothers, more prosocial story themes, had higher scores in theme coherence and showed more positive emotional expression than those in the insecure group. The attachment behaviors of the 4 groups(A, B, C, D) were closely correlated with the attachment representations shown in MSSB.

  • PDF

유아의 어머니에 대한 나레이티브 표상 발달 (The Development of Preschoolers' Narrative Representations of Mothers)

  • 민성혜;신혜원;이영
    • 아동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153-170
    • /
    • 2004
  • This study explored age and sex differences in preschoolers' narrative representations of their mothers. Subjects were 120 3-, 4-, 5- and 6-year-old children, with 15 boys and 15 girls in each age group. Using the MacArthur Story Stem Battery(Bretherton et al., 1990), observations were made to obtain children's narrative representations of their mothers. content themes and emotional responses. Boys' representations were more negative and less positive than girls' regardless of their age. Boys talked about more aggressive themes and showed more anxiety and less joy. Five and 6-year-old children had less negative and disciplinary representations of their mothers than 3- and 4-year-olds. Six-year-olds showed less prosocial themes than 3- and 5-years, and fewer aggressive themes than 3-and 4-year while they showed less joy, distress and concern responses than 3-years.

  • PDF

애착의 평가 (THE MEASUREMENT OF ATTACHMENT)

  • 이경숙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5권1호
    • /
    • pp.28-39
    • /
    • 2004
  • 본 글에서는 애착유형과 정도를 측정하는 심리학적 평가도구들에 대해 발달연령적 접근으로 살펴보았으며 각 도구들의 신뢰성, 타당성과 관련된 연구들을 고찰하였다. 영유아기의 애착평가도구로는 낯선상황절차(SSP), 애착Q-Set(AQS)을, 유아/아동기 도구로는 $3{\sim}4$세 유아용 애착평가도구인 Cassidy-Marvin의 애착유형체계, Crittenden의 PAA, Main과 Cassidy의 애착유형평가와 인형놀이기법을 이용한 MSSB와 애착유형별 가족그림분석을 소개하였다. 아동/청소년기 도구로는 부모와 또래와의 애착을 재는 자기보고식 질문지인 IPPA를, 청소년기/성인기 도구로는 성인애착면접(AAI)과 성인들간의 낭만적 애착을 재는 ASQ를 소개하였다.

  • PDF

유아의 나레이티브 반응 프로파일 유형별 어머니-유아의 정서적 가용성 (The Level of Mother-Child Emotional Availability by Narrative Responses Profile Types of Their Preschool Children)

  • 민현숙;이영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8권8호
    • /
    • pp.1-12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and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child emotional availability and preschoolers' story stem narrative response. Eighty two 4-year-old preschoolers and their mot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is study used the following translated evaluation tools: Emotional Availability Scales(EA, 3rd edition) designed by Biringen and colleagues(1998) to examine the quality of the emotional relationship between mother and her child, and the MacArthur Story Stem Battery(MSSB) developed by Bretherton and colleagues with the MacArthur Narrative Group(1990) to measure preschoolers' narrative responses. The following statistical analyses were preformed descriptive, cluster analysis, and One-way ANOVA.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4 clusters of the narrative responses of 4-year-old preschoolers were prosocial story tellers, avoidant/dysregulated story tellers, constrained story tellers, and anxious story tellers. Second, the preschoolers in the prosocial cluster showed a high level of mother-child emotional availability and the preschoolers in the avoidant/dysregulated cluster showed a low level of mother-child emotional availa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