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RSA. Nasal carriage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7초

어린이집 소아에서의 황색포도알균의 비강 보균율에 관한 연구 (Nasal Carriage of Staphylococcus aureus from Healthy Children Attending Day Care Center)

  • 김영민;오지은;김소희;이진아;최은화;이환종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7권1호
    • /
    • pp.9-15
    • /
    • 2010
  • 목 적 : 국내 어린이집을 다니는 소아를 대상으로 황색포도알균의 비강 내 보균율과 이런 보균율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들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2008년 9월에서 10월까지 서울 지역에 위치한 7개 어린이집의 소아 중 서면 동의를 받은 428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인구학적 자료 및 의료기관 관련 위험 요인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또한 어린이집의 소아들의 비강을 도찰하여 얻은 검체를 증균 및 선택배지에 접종한 후 생화학적 검사를 통해 황색포도알균을 동정 및 분리하였고 디스크 확산법을 통해 메티실린 감수성을 결정하였다. 결 과:대상 환아의 평균 연령은 55개월 이었으며 남녀비는 1.1:1.0이었고 최근 1년 이내에 입원력 및 수술력이 있는 환아는 각각 9.2%, 3.6%였고 항생제 사용력은 약 40%에서 확인되었다. 전체 428명의 소아 중 163명에서 비강 내 황색포도알균이 분리되어 황색포도알균의 비강 내 보균율은 38.1%였으며 분리된 균주의 24.5%는 메티실린 내성 균주였다.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황색포도알균의 비강 내 보균율도 증가 추세를 보였다. 비강 내 MRSA 보균이 9.3%의 소아에서 확인되었으며 이들 대부분이 의료기관 관련 위험요소가 없는 소아였다. 결 론:국내 소아의 약 38% 및 9%가 비강 내 황색포도알균 및 MRSA 보균자임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분리된 MRSA의 95%가 CA-MRSA 균주였다. 향후 비강내 황색포도알균의 보균율의 변화 및 CA-MRSA 보균율의 변화에 대해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겠다.

신생아황달 환아에서의 메티실린내성 황색포도알균 보균율에 관한 연구 (Carriage Rates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n Neonates with Neonatal Jaundice)

  • 나동천;서재민;이정현;이원욱;김은령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8권2호
    • /
    • pp.143-153
    • /
    • 2011
  • 목 적 : 황색포도알균의 보균율은 신생아에서 가장 높다고 알려져 있고, 황색포도알균의 보균은 곧 그 균주에 의한 감염증으로 이어질 위험이 높아진다. 본 연구에서는 신생아황달로 입원한 환아에서의 황색포도알균과 MRSA의 보균율을 조사하였고, 신생아황달의 대부분이 모유황달이나 생리적황달임을 감안하여 이를 통해 간접적으로 건강한 신생아의 황색포도알균 및 MRSA 보균율을 추정하고자 하였다. 방 법: 2006년 1월부터 2010년 12월까지 성애병원과 광명성애병원 신생아집중치료실에 황달로 입원한 환아 54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입원 첫날 멸균된 면봉으로 비강과 서혜부를 도찰하여 얻은 검체를 세균배양을 통해 황색포도알균을 동정하고 다시 항생제감수성 검사를 통해 메티실린내성 여부를 판정한 결과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 과:총 545명의 환아가 본 연구에 포함되었고, 이중 318명의 비강과 서혜부에서 황색포도알균이 분리되어 보균율은 58.3%였고 214명의 환아에서는 MRSA가 분리되어 MRSA 보균율은39.3%였다. 또한 분리된 MRSA를 항생제 감수성 결과를 토대로 분석하였을 때, CA-MRSA로 추정되는 균주는 65.7% (142/216), HA-MRSA로 추정되는 균주는 34.3% (74/216)였다. 결 론: 39.3%의 MRSA 보균율로 미루어볼 때, 외부에서 전원되는 신생아를 대상으로 한 MRSA 감시배양검사는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MRSA 균주 중 CA-MRSA 가능성 균주가 65.7%로 높게 나와 이미 지역내산부인과 및 분만실 등에 CA-MRSA 균주가 정착해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되며 이에 대한 지속적이고도 정기적인 MRSA 감시배양검사도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Nasal Carriage of 200 Patients with Nasal Bone Fracture in Korea

  • Lee, Jun Wook;Kim, Young Joon;Kim, Hoon;Nam, Sang Hyun;Shin, Bo Moon;Choi, Young Woong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40권5호
    • /
    • pp.536-541
    • /
    • 2013
  • Background Pathogens in the nasal cavity during nasal surgery could lead to a systemic infectious condition, such as bacteremia, nosocomial infection, or toxic shock syndrome. However, there is no research about the prevalence of nasal carriage in patients with nasal bone fracture. Methods This was a prospective, double-blind, randomized study about the rate of nasal carriage in 200 patients with nasal bone fracture in Korea. Nasal secretions were taken from both the middle nasal meatus and colonized. All analyses were carried out using SPSS software. Results Pathogens were identified in 178 of the 200 cases. Coagulase-negative staphylococci (CNS) were the most cultured bacteria in 127 (66.84%) of the 190 total patients after excluding 10 cases of contaminated samples, and methicillin-resistant coagulase-negative staphylococci (MRCNS) were found in 48 (25.26%). Staphylococcus aureus was the second most identified pathogen, found in 36 (18.95%), followed by 7 cases (3.68%)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The prevalence rate of MRSA in the females was higher than that in the males (RR=4.70; 95% CI, 1.09-20.18), but other demographic factors had no effect on the prevalence rate of MRSA and MRCNS. Conclusions The prevalence rate of these pathogens in patients with nasal bone fracture in Korea was similar to other reports. However, few studies have addressed the prevalence rate of CNS and MRCNS in accordance with risk factors or the change in prevalence according to specific prophylaxis against infectious complications. Additional research is needed on the potential connections between clinical factors and microbiological data.

The Epidemiological Survey of Nasal Colonization of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n Patients and Doctors

  • Seong Hee Kyung;Bae Young Soon;Kim Yong Ho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309-315
    • /
    • 2004
  •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is one of the most common nosocomial pathogens. Many hospitals are facing the problems which they have to use expensive antibiotics and suffer from long term hospital study of patients due to MRSA. This study is to survey MRSA nasal colonization of patients and doctors, and to investigate the mode of transmission of MRSA by pulsed field gel electrophoresis (PFGE) and then use these data to prevent further spread of cross infection and reduce nosocomial infection.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1 patients with MRSA infection at an university hospital in Busan from Sept. 1997 to Aug. 1998. Bacterial genotypes of MRSA strains isolated from nares and wound of patients (14 cases) and nares of doctors (8 cases) were analyzed by PFGE. Nasal cultures of 20 I patients for detecting nasal colonization of MRSA were performed and incidence rate of nasal colonization was 40% (80/201). Among 201 patients MRSA were acquired from hospital in 140 (70%) patients and were acquired from community 61 (30%) patients. Among 14 pairs of MRSA from colonized or infected sites and anterior nares, DNA patterns of 10 pairs (71.4%) were equal. 86% (12/14) MRSA strains isolated from patients and 12.5% (1/8) MRSA strains isolated from doctors show same pattern. DNA patterns were changed in some doctors after nasal oint. Treatment. It could be inferred that the most sources of MRSA in hospital are the endemically existing MRSA. Therefore, we believe that it would be necessary to control MRSA nasal colonization of the patients and the related medical teams to reduce the medical cost and to improve the efficacy of medical cares.

  • PDF

일개 병원 신생아실 근무 의료인에서 시행한 비강 내 MRSA 집락의 특성 및 전파예방에 관한 보고 (Characteristics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Nasal Colonization Among Neonatal Unit Staff and Infection Control Measures)

  • 김동환;김선미;박지영;조은영;최창희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6권2호
    • /
    • pp.131-141
    • /
    • 2009
  • 목 적: 본 연구는 2명의 정상 신생아에서 다제 감수성을 보이는 MRSA 균주에 의한 피부 고름집이 연속적으로 발생하여 병원 내 신생아실 근무 의료인을 대상으로 MRSA 집락의 특성, 그리고 전파 예방에 대해 알고자 시행하였다. 방 법: 2007년 2월부터 2008년 10월까지 삼육서울병원 신생아실에 근무하는 의료인과 신생아실 물품들을 대상으로 2-4개월 간격으로 의료인 10명의 비강과 손에서 총 7회(비강 45례, 손 44례)에 걸쳐 세균배양 검사 및 항생제 감수성 검사, 신생아실 내 물품을 대상으로 총 8회의 세균배양 검사 그리고 4개월 간격으로 총 6회의 낙하균 검사를 시행하였다. 비강 세균배양 검사에서 MRSA 균주가 동정되었을 경우, 탈집락 요법으로 7일간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80 mg/400 mg twice daily) 경구 투여, 혹은 2% mupirocin 연고를 도포하여, 치료 종료 후 2주 후 비강 세균배양 재검사를 시행하여 MRSA가 동정되지 않은 경우를 단기 치료에 성공한 것으로 보고, MRSA가 동정된 경우를 치료에 실패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결 과: MRSA 탈집락요법 2주 후 92%에서 탈집락이 관찰되었으나 대부분에서 2개월에서 16개월 사이에 재 집락이 관찰되었으며 2-4개월 간격으로 시행한 신생아실 근무 의료인의 비강 세균배양 검사 시 마다 16.7%에서 50%의 MRSA 보균이 관찰되었다. 비강 내 MRSA 균주는 초기 다제 감수성을 보이다가 다제 내성 균주 증가 양상이 관찰되었다. 물품 배양검사에서 드레싱 운반차 50%, 컴퓨터 키보드 43.8%, 신생아 침대 25%, 목욕대야 25%, 그리고 전화대야서 18.8%에서 균이 동정되었다. 낙하균 검사에서 연구 초기에 비해 후기에 유의하게 낙하균 감소가 관찰되었다(P <0.05). 결 론: 병원 내 지역 사회 연관 MRSA 유행 시에 선별검사를 통한 보균자의 조기치료가 단기적으로 보았을 때는 항생제의 경구 복용과 비강 도포 모두에서 효과가 좋았으나 장기적으로 보았을 때 유의하게 보균율의 차이가 없었으며 순응도 감소 및 항생제 내성의 증가가 관찰되어 보균자의 조기 치료만으로는 MRSA의 지속적 전파를 차단할 수 없으며, 교육을 통한 손 소독 강화, 주기적인 감시체제를 통한 경각심, 그리고 신생아실 내 손소독제의 사용, 환경 소독 등의 고식적인 방법 들이 더욱 중요하리라 생각된다.

  • PDF

Experimental therapy on induced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nfection in canine model

  • Pak, Son-il;Han, Hong-ryul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383-389
    • /
    • 1999
  • A randomized experimental study was done to evaluate short course therapeutic efficacies of two types of mupirocin ointment (Bactroban Nasal and Bactroban) in the elimination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nasal colonization (16 dogs) and wound infection (3 dogs or 18 wound sites) in dogs. In each model, dogs being assigned to TR-1 treatment group was given ointment twice a day for two consecutive days, and those that assigned to TR-2 treatment group was given the same dose for three days. Neither TR-1 nor TR-2 regimen was effective to clear nasal carriage completely with a clearing rate of 62.5% and 87.5%, respectively. Whereas, for 2 days at least twice daily application of mupirocin for wound infection was quite enough to eliminate MRSA, with a clearing rate of 83.3~100% by 4 weeks follow-up. No apparent side effects were observed in each model, and in no case was it necessary to discontinue the treatment. Further controlled studies on the elimination of nasal colonization are required to establish cost-effective and efficient regimen on companion animals.

  • PDF

인천시내 일부 종합병원 종사자와 대학생의 비강내 Staphylococcus aureus의 보균상태 및 향균제에 대한 감수성 (Studies of Nasal Carriage and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of Test Staphylococcus aureus in College Students and General Hospital Personnel in Incheon City)

  • 정경석;이희주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71-76
    • /
    • 1993
  • Nasal carrige of Staphylococcus was studied in relation to its significance as a source of the Staphylococci that caused hospital-acquired infection. Due to the trend of the increasing r esistance of S. aureus to many antimicrobial agents,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sensitivity to antibiotics of this infectious microorganisms. 50 persons from general hospital and 50 college students were the object of this study.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3 0 Strains of S. aureus were isolated. The rate of S. aureus nasal carrying were 26% in college students and 34% in hospital personnel. S. aureus which showed resistance to penicillin were 90%, tetracyclin 43%, erythromycin 37% and oxacillin 17%. The number of penicillin resistance of S. aureus were 11 (84%) in college students and 16 (94%) in hospital personnel. The number of strains of penicillin resistant S. aureus which produced 13-1actamase were 9 (82%) in college student and 14 (88%) in hospital personnel. Methicillin-resistant S. aureus (MRSA) which showed resistance to erythromycin and penicillin G were 100%, tetracyline, cephalothin and clindamycin were over 40% respectively, gentamicin 20%, SAM 20% and chloramphenicol 0%.

  • PDF

신생아 비강에서 분리된 황색포도구균의 병원성 인자와 관련 유전자 (Associated-Genes and Virulence Factors of Staphylococcus aureus Isolated from Nasal Cavity of Neonates)

  • 김영부;문지영;박재홍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6권1호
    • /
    • pp.24-32
    • /
    • 2003
  • 목 적 : 황색포도구균(S. aureus)은 건강인의 비강이나 피부에 정상 세균총으로 존재하지만, 병원 내 감염과 항생제 내성이 문제가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신생아의 비강에서 S. aureus을 분리하여 항생제 감수성의 양상과 내성 관련 유전자를 검출하여 내성의 정도와 내성 관련 유전자의 상관관계를 규명해 보고자 하였으며, 병원성 인자의 검출을 실시하고, arbitrarily-primed polymerase chain reaction(AP-PCR)법에 의한 유전자형별을 통하여 역학적 해석을 시도하였다. 방 법 : 2001년 2월에서 5월 사이에 부산대학교병원 신생아 중환자실 및 신생아실에 입원한 28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비강에서 총 120회의 nasal swab을 실시하여 51주의 S. aureus를 분리하였다. 분리균에 대한 항생제 감수성 검사, coagulase 검사과형별, plasmid DNA의 양상, mec 관련 유전자의 분포, 장독소의 유전자 및 TSST-1 독소의 유전자 보유 상태, AP-PCR법으로 유전자 형별을 조사하였다. 결 과 : 1) Methicillin 내성이 23주, vancomycin 내성이 6주였고, 3가지 이상의 약제에 대한 내성이 절반 이상을 차지하였다. 2) 42주가 coagulase 양성이었고, 이중 mecA 및 femA 유전 자를 보유한 12주를 대상으로 한 형별 검사에서 8종(coagulase I-VIII형)으로 분류되었다. 3) mecA 유전자가 22주에서, mecR1 유전자가 18주, mecI 유전자가 1주, femA 유전자가 17주에서 발견되었으며, 이들을 4가지의 유전자형으로 분류하였을 때 mecA형이 14주, mecR1형 10주, mecA-mecR1형 7주, mecA-mecR1-mecI형이 1주였다. mecA 및 mecA 관련 유전자와 항생제 다제내성과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4) 16주가 mecA와 femA를 모두 보유하였으며, 이들의 plasmid 양상은 I형이 7주, II형이 6주 그리고 III형이 2주였다. Oxacillin 및 vancomycin에 내성을 보이는 II형과 III형에서는 35.5kb의 plasmid DNA를 보유하였다. 5) 장독소 A, B, D, 및 E의 유전자는 51주 전부에서 검출되지 않았으나 장독소 C의 유전자는 64.7%, TSST-1 유전자는 80.4%가 양성이었다. 6) Coagulase 양성이며 mecA 및 femA 유전자를 보유한 MRSA 12균주에 대한 유전자 형별 검사에서 I형에서 X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으며, II형 2주, X형 2주가 동일 유전자형이었고, 나머지는 다른 유전자형이었다. 결 론 : 입원 중인 신생아의 비강 내 S. aureus의 상재률이 아주 높았으며, 이들의 항생제 내성률, 특히 vancomycin의 내성률이 높아 이들에 의한 원내 감염에 대한 특별한 관리가 필요하며, 이들의 병원성 인자 및 관련 유전자에 대한 분석은 원내 감염에 대한 적절한 대책과 효과적인 치료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