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RSA infection

검색결과 144건 처리시간 0.025초

내과계 중환자실 입원환자의 비,인후 배양에서 메치실린내성 황색포도구균의 빈도 (The Methicillin - Resistant Rate of Staphylococcus Aureus Isolated from the Nares and Throat of Patients Admitted to Medical Intensive Care Unit)

  • 김희구;조재화;안인선;윤병갑;이금호;류정선;곽승민;이홍렬;김진주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9권2호
    • /
    • pp.151-156
    • /
    • 2005
  • 연구 배경 : 황색 포도상구균은 피부, 연조직 감염, 골 관절염, 폐렴, 균혈증, 식중독 등을 일으키는 병원균으로 이로 인한 치료를 하지 못했을 때 높은 이환율과 치환율을 보여주고 있다. 내과계 중환자실로 입원한 환자와 일반 병실로 입원한 환자간의 MRSA에 대한 보균율과 선별검사의 의의를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방 법 : 2004년 6월부터 9월까지 내과계 중환자실과 일반병실로 입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내원 24 시간 이내에 비공과 인후에서 배양 검사를 실시하여 양군을 서로 비교하였다. 결 과 : 대상환자는 중환자실 121명과 일반병실 84명이었다. 비공에서의 MRSA 보균율은 중환자실군에서 3명(2.5%), 일반 병실군에서 3명(3.6%)으로 양군에서 차이점은 보이지 않았다. 인후에서의 MRSA 보균율에서는 중환자실군과 일반 병실군에서 각각 2명(1.7%), 0명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입원 경로, 수술 경험, 이전 입원 경험에 대한 조사에서도 MRSA 양성군과 음성인 군에서 차이는 없었다. 결 론 : 내과계 중환자실 입원환자에서 MRSA 보균율은 3.3%였다. 내과계 중환자실로 입원한 환자와 일반 병실 환자에서 MRSA의 보균율에 있어 큰 차이가 없어 MRSA에 대한 선별 검사는 꼭 필요하리라 생각되지 않는다. 앞으로 MRSA 보균의 위험 인자가 있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MRSA 선별검사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병원내에서 분리된 메티실린내성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무화과잎 추출물의 항미생물효과 (Synergistic Antibacterial Activity of Fig (Ficus carica) Leaves Extract Against Clinical Isolates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 이영수;차정단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405-413
    • /
    • 2010
  • 무화과는 뽕나무 과에 속하며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과일 중 하나이고, 국내에서는 주로 소화장애, 염증성궤양 그리고 가려움증 등에 사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무화과 잎을 메탄올로 추출한 후 임상진료실에서 분리된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RSA)에 대한 항균활성을 보았다. 그 결과 분리된 MRSA 1-20에서 최소억제농도 (MIC)는 2.5 mg/mL에서 20 mg/mL 농도로 측정되었으며, 최소살균농도(MBC)는 5 mg/mL에서 20 mg/mL 농도로 관찰되었다. Oxacillin이나 ampicillin과 병용투여 시 4-8배 이상의 MIC/MBC농도가 감소되었으며, FICI 값도 0.0375-0.5이하로 병용효과를 나타내었다. 더불어 메탄올추출물 단독 사용시 보다 항생제와 병용투여 시 빠른 사멸효과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무화과 잎이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에 항균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으며,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감염에 천연 치료제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신규 Carbapenem 유도체 CRB 529 및 CRB 550의 생체내 항균효과와 약물동태의 비교 (Comparison of in Vivo Antibacterial Activities and Pharmacokinetics of New Carbapenem Derivatives, CRB 529 and CRB 550, in Mice and Rats)

  • 김준겸;민관기;이주몽;이홍우;김정우
    • 약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360-366
    • /
    • 1995
  • 1-$\beta$-Methyl carbapenem-2-substituted pyrroudine derivatives. CRB 529 and CRB 550, were synthesized as investigational carbapenem derivatives.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in vitro antibacterial activities of the compounds against G(+) and G(-) bacteria were almost the same or more effective than those of imipenem (IPM) and meropenem (MEPM), and also showed better in vivo efficacy than MEPM and inlipeneni/cilastatin (IPM/CS) against representative G(-) organisms, P. aeruginosa and MRSA organisms, S. aureus. The antibacterial activities, pharmacokinetics and protective efficacy of IPM/CS and CRB 529 and CRB 550 wereconducted after subcutaneous or intravenous administration to mice and rats. The pharmacokinetic parameters of CRB 529 and CRB 550 in mice were as follows: the observed maximal serum concentrations (C$_{max}$) following I.V. administration were 87.5 and 101 $\mu\textrm{g}$/ml for CRB 529 and CRB 550, respectively, and 63.6 $\mu\textrm{g}$/ml for IPM/CS. The half-lives (t$_{1/2}$) were 14.0 and 12.0 n-dn for CRB 529 and CRB 550, respectively, and 14.8 min for IPM/CS. In rats, $C_{max}$ after I.V. administration were 74.0 and 91.8 $\mu\textrm{g}$/ml for CRB 529 and CRB 550, respectively, and 41.2 $\mu\textrm{g}$/ml for IPM/CS. The tissue levels of CRB 529 and CRB 550 and IPM/CS after I.V. administration at a dose of 20 mg/kg decreased by the following order: lung, heart, kindney, liver and spleen for CRB 529, lddney, liver. lung, heart and spleen for CRB 550 and kidney, lung, liver, heart, spleen and brain for IPM/CS. In systemic infection, CRB 529 and CRB 550 showed excellent efficacies against P. aeruginosa and S. aureus (MRSA) at a dose of 5 mg/kg. The PD$_{50s}$ were 0.80, 0.36 mg/kg for CRB 529 and CRB 550, respectively, and 3.22 mg/kg for IPM/CS against P. aeruginosa. The corresponding values against S. aureus (MRSA) were 76.0, 55.3 mg/kg for CRB 529 and CRB 550, respectively, and 146 mg/kg for IPM/CS. In local infection, the antibacterial activities of CRB 529 and CRB 550 were more effective than those of IPM/CS against intrarenal infection with E. coli and P. aeruginosa and also showed as effective as IPM/CS against respiratory tract infection with E. coli and P. aeruginosa at a dose of 5 mg/kg.

  • PDF

신생아의 MRSA 균혈증에서 합병증 발생과 연관된 위험인자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complicated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bacteremia in neonates)

  • 이영진;김현진;변신연;박수은;박희주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3권2호
    • /
    • pp.173-177
    • /
    • 2010
  • 목 적 : MRSA는 대부분의 항생제에 강한 내성을 가지고 있어 감염시 극히 제한된 항생제로만 치료가 가능하며 종종 합병증을 동반한다. 저자들은 신생아에서 합병증이 동반된 MRSA 균혈증의 위험요소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2년 1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6년간 부산대학교 병원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아들 중 MRSA 균혈증으로 확인된 44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합병증은 수막염, 감염 심내막염, 폐렴, 폐공기낭종, 패혈성 관절염, 지속성 균혈증으로 정의하였다. 결 과 : 1) 총 44명의 환아 중 남자는 31명(70.5%), 여자는 13명(29.5%) 이었으며, 평균 재태 주수는 $33.2{\pm}4.9$주, 평균 출생체중은 $1,919{\pm}962.2g$, 인공호흡기 치료를 받은 환아는 21명(47%), 평균 치료기간은 $8.8{\pm}13.8$일이었다. 2) 합병증이 생긴 환아는 13명(29.5%), 합병증이 생기지 않은 환아는 31명(70.5%) 이었다. 3) 두 군간의 재태 주수, 출생 시 체중, 첫 수유시작 날짜, 인공호흡기 치료 유무와, 제대혈관도관 유무, 중심 정맥도관 유무, 기저 질환 유무, 반코마이신의 초기사용 여부, 수혈유무를 변수로 하여 합병증 발생과의 연관성을 조사하였고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와 수혈을 한 경우에서 합병증 발생이 유의하게 증가함을 보였다(P <0.05). 결 론 : 합병증이 동반된 MRSA 균혈증은 기저질환이 동반된 경우와 수혈을 한 경우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균 배양검사와 항생제 감수성 결과가 나오기 전 반코마이신을 초기에 사용한 경우 합병증을 동반한 MRSA 균혈증의 발생빈도와는 관계가 없었으며 더 정확한 결과를 위해서 대규모의 전향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Relation of Handwashing and Isolate of Bacteria from Mobile Phones of Healthcare Workers in a University Hospital

  • Choi, Min-Gyu;Kim, Sang-Ha;Park, Kyu-Ri;Kim, Young-Kwon;Kim, Jungho;Yu, Young-Bin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10-316
    • /
    • 2021
  • Mobile phones used by healthcare workers are not only an indicator of the contamination of healthcare associated bacteria, but can also be another source of infection. The number and time of handwashing, mobile phone operation time and disinfection were highly relation with the bacterial contamination on the surface of mobile phone. Healthcare associated bacteria isolated from the mobile phone surface were 28 MRCoNS (48.3%), 14 S. aureus (24.2%), 3 MRSA (5.2%), 5 A. baumannii (8.6%), 3 MRAB (5.2%), 3 Entrococcus spp. (5.1%), 2 Pantoea spp. (3.4%), 2 A. lowffii (3.4%), 1 E. cloacae (1.7%), 1 P. stutzeri (1.7%), and P. mirabillis (1.7%). For isolation according to department, 2 MRAB from the emergency room and 1 MRSA from intensive unit, the radiology team and the rehabilitation medical team, respectively were isolated. As a result of the relation of isolates from the department of patient contact (ER, RT, GW, CP, ICU, RMT), the bacterial isolation rate was 75% and the department of patient non-contact (MRT) was 10%.

Antimicrobial resistance of Staphylococcus aureus isolated from domestic and imported raw meat in Korea

  • Heo, Hee Jin;Ku, Bok Kyung;Bae, Dong Hwa;Park, Cheong Kyu;Lee, Young Ju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75-81
    • /
    • 2008
  • The rapid evolution of antibiotic resistance in Staphylococcus (S.) aureus is of considerable concern. Methicillin-resistant S. aureus (MRSA) strains are especially one of the greatest public concerns since the treatment of infections is more difficult when encountering resistance. In this study, we conducted a nationwide survey on the antimicrobial resistance of S. aureus isolated from raw meat samples collected from 16 countries, including Korea, and investigated the prevalence of MRSA as a possible source of human infection. Of 1,984 meat samples, S. aureus was isolated from 218 (11.0%) samples consisting of 23 (12.1%) from domestic meat and 195 (10.9%) from imported meat. The isolation rates of poultry meat, pork and beef were 12.8%, 7.0% and 10.0%, respectively. With regard to imported meat, the incidence varied from 4.8% to 16.6% from 13 countries, with the exception of Austria and Poland. In a resistance test to 20 antimicrobial agents, one hundred and eighty-four isolates (84.4%) were resistant to one or more antimicrobial agents tested. Especially, 17 (7.8%), 124 (56.9%) and 28 (12.8%) isolates showed a resistance to 3, 2 and 1 drugs, respectively. One isolate originating from domestic beef was resistant to 7 drugs. Another isolate originating from imported poultry meat showed resistance to oxacillin and methicillin by the disk diffusion test and minimal inhibition concentration methods, but showed negative for detection of the mecA gene.

화상 후 속발한 메티실린 내성 포도알균에 의한 독성 쇼크 증후군 1례 (A Case of Toxic Shock Syndrome Caused by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MRSA) Following a Burn Injury)

  • 최진형;최재홍;김대일;김재석;최은화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6권2호
    • /
    • pp.205-209
    • /
    • 2009
  • 독성 쇼크 증후군은 황색 포도알균 등에서 생성하는 독소에 의한 고열, 발진 및 쇼크에 병발하는 다발성 장기 부전이 발생하는 증후군이다. 저자들은 화상 후 속발한 독성 쇼크 증후군으로 진단한 환아를 vancomycin, 신선 냉동 혈장, 정맥내면역 글로불린 투여로 치료하고, 화상 부위에서 동정된 CAMRSA의 분자 생물학 및 유전적 특징을 분석하여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 PDF

Prevalence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n Iranian childre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Sarrafzadeh, Farhad;Sohrevardi, Seyed Mojtaba;Abousaidi, Hamid;Mirzaei, Hossein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64권8호
    • /
    • pp.415-421
    • /
    • 2021
  • Background: Antibiotic resistance is associated with longer hospitalizations, higher treatment costs, and increased morbidity and mortality rates.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prevalence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in Iranian children. Methods: International databases, including Web of Science, PubMed, Embase, and Scopus, and Iranian databases, including Scientific Information Database (www.sid.ir), Magiran, and Iranian Database for Medical Literature (idml.research.ac.ir), were systematically searched for articles published between January 2000 and August 2019. Sources of heterogeneity were determined using subgroup analysis and meta-regression. Results: Overall, 343 studies were identified; of them, 20 were included in the meta-analysis to estimate the pooled prevalence. The pooled prevalence of MRSA was 42% (95% confidence interval [CI], 29-55) among culture-positive cases of S. aureus, 51% (95% CI, 39-62) in hospitalized children, and 14% (95% CI, 0.05-27) in healthy children. Conclusion: The overall pooled prevalence of MRSA in children was 42%. Appropriate infection control measures and effective antibiotic therapy are needed.

복막 투석 환자에서 도관 관련 감염 및 복막염에 대한 Mupirocin과 도관 전환술(Catheter revision)의 효과 (The Effects of Catheter Revision and Mupirocin on Exit Site Infection/Peritonitis in CAPD Patients)

  • 박준범;김정미;최준혁;조규향;정항재;김영진;도준영;윤경우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6권2호
    • /
    • pp.347-356
    • /
    • 1999
  • 복막 투석은 혈액 투석 및 신 이식과 함께 말기 신 질환의 중요한 치료 방법의 하나로 성공적인 복막 투석을 위해서는 복막 투석에 따른 여러 합병증을 줄이는 것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도관 출구 감염이나 복막염 등 투석 관련 감염은 여전히 도관 제거로 인한 복막 투석의 중단을 유발하는 중요한 원인이 되고 있다. 영남대학 의과대학 부속병원에서 1993년 10월부터 1999년 2월까지 복막 투석을 시행 후 추적 가능한 13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도관 출구 감염과 복막염의 발생 빈도 및 원인 균주, 도관 제거의 빈도 및 원인 균주, 도관 전환술의 성적, 그리고 mupirocin ointment 사용 전과 사용 후의 도관 출구 감염의 빈도 차이 등을 후향 분석하였다. 복막 투석을 시행한 총 환자-투석기간은 2,401개월이었고 도관 출구 감염은 36명의 환자에서 105례 발생하여 발생 빈도는 1/22.8 환자-개월이었고 복막염은 67명의 환자에서 112례 발생하여 그 빈도는 1/21.4 환자-개윌로 나타났다. 대다수 출구 감염의 경우 일반적인 투약에 잘 반응하였으나 치료에 불응하여 도관 전환술을 시행한 7명 중 5명은 메티실린 저항성 포도상 구균(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2명은 Pseudomonas aeruginosa에 의한 감염이었다. revision후 3명에서 감염이 재발하였으나 한 명은 항생제에 바로 치유되었고 또 한 명은 second revision으로 치료하였으며 나머지 한 명은 MRSA에 의한 반복 감염이 지속되어 결국 도관 제거와 동시에 도관 재삽입을 시행하였다. 재발에 대한 치료 후 평균 추적기간 14.0개월 동안 더 이상의 출구 감염은 없었다. 1998년 10월부터 1999년 2월까지 mupirocin을 국소 도포 한 34명의 환자를 살펴보면, pre-mupirocin 기간의 총 투석기간은 687개월이었고 그 기간동안 도관 출구 감염이 54례 발생하여 발생 빈도는 1/12.7 환자-개월로 나타났으나 mupirocin 기간의 경우 총 투석기간 136개월 동안 4례 발생하여 그 빈도가 1/34.0 환자-개월로 유의하게(P<0.01) 감소하였다. 도관 출구 감염의 72.2%가 SA에 의한 것으로 조기에 적절한 항생제 치료를 함으로써 대부분 완치되었고 일부 약제에 잘 반응하지 않고 반복 감염되어 도관 탈락의 위험이 있는 경우에도 도관 전환술을 통하여 비교적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난치성 출구 감염을 치유할 수 있었다. 그리고 도관 출구 부위에 mupirocin을 간헐적으로 국소 도포 함으로써 포도상 구균(Staphylococcus aureus)에 의한 출구 감염을 예방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도관 전환술과 mupirocin의 장기적인 효과 및 부작용에 대해서는 보다 많은 환자군을 대상으로 하는 전향적 연구가 있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오존화 올리브 오일의 세균과 Candida alicans에 대한 항미생물 활성 효과 (Anti-microbial Activity Effects of Ozonized Olive Oil Against Bacteria and Candida albicans)

  • 정경태;김병우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23-230
    • /
    • 2019
  • 오존은 박테리아, 원생동물, 효모 및 진균과 같은 미생물을 사멸시킬 수 있는 기체 분자이다. 그러나 오존 가스는 대기 중에서 불안정하기 때문에 쉽게 사용할 수 없다. 최근에 오존을 쉽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식물성 오일을 활용하는 방법이 개발되었고, 활용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오존은 지방산의 C-C 이중 결합과 반응하여 오존화된 오일로 전환 될 수 있다. 이 반응에서 오존 처리된 오일의 지방산 내에서 오각형 고리 구조화합물인 오조나이드가 생성된다. 이 연구에서는 올리브 오일을 사용하여 오존 처리된 오일이 4 종류의 세균과 곰팡이에 대해 중요한 항미생물 활성을 갖는다는 가설을 연구하였다. 오존화 올리브 오일을 4 가지 피부 감염미생물 Staphylococcus aureus (ATCC 25922), Staphylococcus epidermidis (ATCC 12228), Pseudomonas aeruginosa (ATCC 27853), Candida albicans (ATCC 10231) 및 장내 세균인 Escherichia coli에 처리하였다. 항미생물 활성은 미국 국립 임상 실험 표준위원회 방법(National Clinical Laboratory Standards, USA)에 따른 disk 확산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최소억제농도(MIC)는 S. aureus에 대해 0.25 mg, S. epidermidis에 대해 0.5 mg, P. aeruginosa에 대해 3.0 mg 및 E. coli에 대해 1.0 mg로 나타나 오존화 올리브 오일은 그람음성균보다 그람양성균에 더 효과적이었다. 또한, S. aureus와 MRSA에 대한 항균활성을 비교하였을 때 MRSA에서 오존화된 올리브 오일이 S. aureus보다 더 민감하게 작용하였으며, 진균인 C. albicans는 한 시간 이내에 사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오존화 올리브 오일이 강력한 항미생물 물질로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