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R images

검색결과 754건 처리시간 0.031초

반얼굴 연축 환자에서 삼차원 중첩 자기공명 혈관 조영술 기법의 유용성-초기 보고 (The Usefulness of the 3-D Overlapped Reconstruction MR Angiographic Technique in Patients with Hemifacial Spasm - A Preliminary Study)

  • 이윤미;박선원;편해욱;윤명관;김은영;서창해;임명관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11권1호
    • /
    • pp.33-38
    • /
    • 2007
  • 목적: 반얼굴 연축 환자에서 새로운 삼차원 중첩 자기공명 혈관 조영술 기법(3-D overlapped reconstruction MR angiographic technique, 3-D ORMRA) 을 기존의 MRA 원천영상과 비교하여 그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수술로 반얼굴 연축이 증명된 총 2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환자에서 전향적으로 기존의 MRA 원천영상과 3-D fast imaging employing steady state acquisition (FIESTA) 영상을 얻었다. 이 후 작업대 (workstation)에서 3-D MRA 영상을 만들고 GE A/W 4.2 add/sub software를 이용하여 이를 FIESTA영상과 겹쳐 3-D ORMRA영상을 얻었다. 그리고 나서 기존의 MRA 원천영상과 3-D ORMRA영상에서 각 각 얼굴신경의 신경근출구부와 병적 압박혈관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기존의 MRA원천영상에서는 27명중 25명의 환자에서 얼굴 신경근출구부에서의 병적 압박혈관을 구별 할 수 있었고, 3-D ORMRA영상에서는 모든 환자에서 병적 압박혈관을 구별 할 수 있었으며, 이는 수술소견과 일치하였다. 무엇보다 3-D ORMRA영상에서 얼굴 신경근출구부와 병적 압박혈관 사이의 공간적인 관계를 좀 더 분명하게 볼 수 있었다. 결론: 3-D ORMRA 기법은 기존의 MRA 영상기법과 비교하여, 반얼굴 연축 환자에서 매우 유용하고 더 정확한 정보를 주는 방법이다.

  • PDF

Thromboembolic Events after Coil Embolization of Cerebral Aneurysms : Prospective Study with Diffusion-Weighted Magnetic Resonance Imaging Follow-up

  • Chung, Seok-Won;Baik, Seung-Kug;Kim, Yong-Sun;Park, Jae-Chan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43권6호
    • /
    • pp.275-280
    • /
    • 2008
  • Objective : In order to assess the incidence of thromboembolic events and their clinical presentations, the present study prospectively examined routine brain magnetic resonance images (MRI) taken within 48 hours after a coil embolization of cerebral aneurysms. Methods : From January 2006 to January 2008, 163 cases of coil embolization of cerebral aneurysm were performed along with routine brain MRI, including diffusion-weighted magnetic resonance (DW-MR) imaging, within 48 hours after the embolization of the aneurysm to detect the silent thromboembolic events regardless of any neurological changes. If any neurological changes were observed, an immediate brain MRI follow-up was performed. High-signal-intensity lesions in the DW-MR images were considered as acute thromboembolic events and the number and locations of the lesions were also recorded. Results : Among the 163 coil embolization cases, 98(60.1%) showed high-signal intensities in the DW-MR imaging follow-up, 66 cases (67.0%) involved the eloquent area and only 6cases (6.0%) showed focal neurological symptoms correlated to the DW-MR findings. The incidence of DW-MR lesions was higher in older patients (${\geq}60$ yrs) when compared to younger patients (<60 yrs) (p=0.002, odd's ratio=1.043). The older patients also showed a higher incidence of abnormal DW-MR signals in aneurysm-unrelated lesions (p=0.0003, odd's ratio=5.078). Conclusion : The incidence of symptomatic thromboembolic attacks after coil embolization of the cerebral aneurysm was found to be lower than that reported in previous studies. While DW-MR imaging revealed a higher number of thromboembolic events, most of these were clinically silent and transient and showed favorable clinical outcomes. However, the incidence of DW-MR abnormalities was higher in older patients, along with unpredictable thromboembolic events on DW-MR images. Thus, in order to provide adequate and timely treatment and to minimize neurological sequelae, a routine DW-MR follow-up after coil embolization of cerebral aneurysms might be helpful, especially in older patients.

머리 MR영상에서 자동화된 뇌영역 추출 (Automated Brain Region Extraction Method in Head MR Image Sets)

  • Cho, Dong-Uk;Kim, Tae-Woo;Shin, Seung-Soo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권3호
    • /
    • pp.1-15
    • /
    • 2002
  • 본 논문은 인간 뇌의 가시화 및 해석을 위하여 단일 채널 MR영상에서 자동화된 뇌영역 추출 방법을 제안한다. 이 방법은 쌍곡선 적합을 이용한 자동 문턱치화와 3차원 형태 학적 연산에 의하여 뇌 마스크 볼륨을 생성한다. 쌍곡선 적합은 MR영상의 히스토그램에 곡선을 적합할 때 오차를 줄일 수 있으며, 침식, 연결부위 레이블링, 최대특징 연산, 팽창 등 3차원 형태학적 연산은 문턱치화된 뇌 마스크로부터 생성된 정육각형 볼륨 마스크에 적용된다. 제안한 방법은 SPGR, T1, T2, PD MR영상 세트에서 뇌영역을 자동 추출할 수 있으며, 가장자리 슬라이스에도 적용 가능하고, 영상이 뇌 전체를 포함하지 않아도 된다. 실험에서 20 세트의 MR영상에 적용하여 수동 방법과 비교하여 0.97 이상의 유사도를 보였다.

  • PDF

MRI Content-Adaptive Finite Element Mesh Generation Toolbox

  • Lee W.H.;Kim T.S.;Cho M.H.;Lee S.Y.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10-116
    • /
    • 2006
  • Finite element method (FEM) provides several advantages over other numerical methods such as boundary element method, since it allows truly volumetric analysis and incorporation of realistic electrical conductivity values. Finite element mesh generation is the first requirement in such in FEM to represent the volumetric domain of interest with numerous finite elements accurately. However, conventional mesh generators and approaches offered by commercial packages do not generate meshes that are content-adaptive to the contents of given images. In this paper, we present software that has been implemented to generate content-adaptive finite element meshes (cMESHes) based on the contents of MR images. The software offers various computational tools for cMESH generation from multi-slice MR images. The software named as the Content-adaptive FE Mesh Generation Toolbox runs under the commercially available technical computation software called Matlab. The major routines in the toolbox include anisotropic filtering of MR images, feature map generation, content-adaptive node generation, Delaunay tessellation, and MRI segmentation for the head conductivity modeling. The presented tools should be useful to researchers who wish to generate efficient mesh models from a set of MR images. The toolbox is available upon request made to the Functional and Metabolic Imaging Center or Bio-imaging Laboratory at Kyung Hee University in Korea.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한 양전자방출단층촬영의 부분용적효과 보정 및 임상적용 (MR-based Partial Volume Correction Using Hoffman Brain Phantom Data and Clinical Application)

  • 김동현;이상호;정해조;윤미진;이종두;김희중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14권3호
    • /
    • pp.203-210
    • /
    • 2003
  • 양전자방출단층촬영장치는 인체나 실험 동물 생체 내에서 일어나는 생화학적, 생리학적 과정을 정량 분석할 수 있는 장점으로 인해 핵의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지속적인 핵의학기기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PET은 여전히 분해능이 낮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로인해 부분용적효과가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호프만 팬텀 PET영상을 대상으로 MR 영상을 이용해 부분용적효과를 보정한 뒤 복원된 픽셀값이 백질과 회백질간의 글루코즈 흡수비율인 1:3에 근접하는 정도를 알아보고 실제 정상인 환자의 PET 영상을 같은 방법으로 보정하여 임상적용의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먼저 호프만 팬텀의 MR 영상과 PET영상을 registration한 뒤, MR영상을 이용해 백질과 회백질 부위를 추출하여 binary image를 만들었다. 각각의 binary image를 4, 8, 12, 16 mm의 다양한 FWHM 해상도 값으로 convolution과정을 거친 뒤 회백질 부위와 백질 부위를 다시 결합하여 MR 영상과 registration된 PET영상에서 나누고, 이를 다시 뇌 전체 영역을 나타내는 binary image와 곱하여 해부학적으로 정확한 뇌 영역을 갖도록 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MR 영상에서 회백질과 백질 부위에 관심영역을 얻은 뒤, 이를 보정 이전의 영상과 4, 8, 12, 16 mm의 FWHM으로 각각 보정된 영상들에 적용하여 관심 영역내 평균 픽셀 값을 얻고 이를 이용하여 회백질과 백질 간의 평균 픽셀 값 비율을 구하였다. 또한 같은 방법으로 정상인의 PET영상을 보정하였다. 호프만 팬텀의 실험결과, 회백질과 백질 간의 보정 후 비율이 보정 이전의 비율에 비해 증가하였으며, 각각의 FWHM 조건에서도 비율 차이를 나타내었다. 정상인의 경우 역시 보정 이전에 비해 보정 이후 백질과 회백질간의 비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각각의 FWHM 경우 나타난 회백질과 백질 간의 비율의 증가는 호프만 팬텀실험에 비해 약간 더 낮게 나타났다. 실험을 통해 보정 이후 호프만 팬텀의 경우 실제 백질과 회백질간의 비율인 1:3의 비율에 근접하였으며, 임상적용의 경우 보정 이 후 그 비율이 호프만 팬텀의 실험결과에 미치지는 못하지만 적절한 보정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각각의 FWHM 값으로 보정된 결과에서 나타난 비율의 증가폭 결과를 통해 4 mm에서 16 m의 FWHM 적용에 따른 부분용적효과의 보정 정도를 알 수 있었으며, 실제 임상적용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PDF

SLAP Ⅱ 병변의 진단을 위한 관절 조영 자기 공명 영상에서 견관절 위치에 따른 비교 (Optimal Shoulder Position for Visualization of SLAP Ⅱ lesion on MR-Arthrography)

  • 이영수;신동배;박수진;김진용;김희상;하두회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3권2호
    • /
    • pp.95-101
    • /
    • 2000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icacy of oblique coronal MR images, oblique axial images of neutral, internal rotation and external rotation positions in the diagnosis of SLAP Ⅱ lesion. Materials and Methods: MR arthrography of the glenohumeral joint was evaluated retrospectively in 16 patients(16 shoulders) who underwent arthroscopic surgery(mean age; 38 years old, Male; 13, Female; 3). Oblique coronal fat-suppressed Tl-weighted spin echo images were performed with each shoulder in the neutral position of the arm and oblique axial images were performed in neutral, internal and external rotations of the arm respectively. The preoperative findings of MR were classified as definite tear, possible tear and no tear. Arthroscopic findings were correlated with MR findings of several different position of the arm. Results: Arthroscopic surgery revealed 8 SLAP Ⅱ lesion, 2 SLAP I lesion, and 6 normal superior labrum respectively. The accuracy of diagnosis in the 8 SLAP Ⅱ lesion were high on oblique axial image in external rotation which were interpreted as 8 definite tear, to compare with oblique axial images in neutral position which were interpreted as 4 definite tear, 3 possible tear, 1 no tear. The 6 normal superior labrum lesion were interpreted as no tear in all three position. The 2 SLAP I lesion were interpreted as 1 definite tear, 1 no tear on oblique axial image in neutral position and 1 definite tear, 1 possible tear on oblique axial image in external rotation.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axial MR images in external rotation of the arm combined with oblique coronal images have proved to be effective to detect SLAP Ⅱ lesion, and should be considered in imaging protocol for MR arthrography of the SLAP Ⅱ lesion.

  • PDF

Experimental Cats Model for Research of the Blood Ocular Barrier

  • Park Byung-Rae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555-559
    • /
    • 2005
  • Evaluate the triolein emulsion could disrupt the barriers and to suggest as an experimental model in blood-ocular barrier studies. Triolein emulsion was infused into the carotid artery in the experimental group ten cats. Normal saline was used in another the control group ten cats. Pre contrast and postcontrast T1-weighted MR images were obtained at 30 minutes and 3 hours after embolization. Signal intensities were evaluated in the anterior, posterior chamber and in the vitreus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Postembolization 30 minutes MR images were not different from those of the control group. Postembolization 3 hour MR images demonstrated delayed contrast enhancement in the anterior chamber of the ipsilateral and contralateral eyeballs and in the posterior chamber of the ipsilateral eyeball. Delayed contrast enhancement of the posterior chamber of the ipsilateral eyeball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d significant contrast enhancement in the posterior chamber with infusion of triolein emulsion and can be a model in blood-aqueous barrier studies.

  • PDF

구조적인 기법을 이용한 머리 MR 단층 영상의 조직 분류 및 가시화 (Segmentation and Visualization of Head MR Image Based on Structural Approach)

  • 권오봉;김민기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83-290
    • /
    • 1999
  • Mr(Magnetic Resonance ) 영상은 인체 기관의 상태에 관한 많은 정보를 가지고 있어 이것을 분석하여 가시화하면 의료 진단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MR 영상의 가시화는 영상의 획득, 전처리, 조직 분류, 보간, 렌더링의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 단계 중 Mr 영상의 불완전성 때문에 현재 조직 분류 및 보간이 문제로 되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머리 MR 영상을 대상으로 조직 분류 및 보간에 대한 기법을 제안하고 제안된 기법을 바탕으로 뇌를 3차원 가시화한다. 조직 분류 기법에서는 뇌조직 성분 구성 등 임상 실험에 의해 밝혀진 뇌에 대한 구조적인 지식을 단계적으로 이용한다. 보간 기법은 오목 윤곽선에 사용할 수 있게 동적 탄성 보간기법을 개선하였다. 제안한 구조적인 분류 기법 및 보간 기법을 다른 기법과 비교 평가한다.

  • PDF

Electron Microscopy and MR Imaging Findings in Embolic Effects

  • Park Byung-Rae;Koo Bong-Oh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367-373
    • /
    • 2004
  • Evaluated the hyperacute embolic effects of triolein and oleic acid in cat brains by using MR image and electron microscopy. In fat embolism, free fatty acid is more toxic than neutral fat in terms of tissue damage. T2-Weighted imaging, diffusion-weighted imaging, and contrast-enhanced T1-weighted imaging were performed in cat brains after the injection of triolein (group 1, n=8) or oleic acid (group 2, n=10) into the internal carotid artery. MR image were quantitatively assessed by comparing the lesions with their counterparts on T2-weighted images, apparent diffusion coefficient (ADC) maps, and contrast-enhanced T1-weighted images. Electron microscopic findings in group 1 were compared with those in group 2. Qualitatively, MR images revealed two types of lesions. Type 1 lesions were hyperintense on diffusion-weighted images and hypointense of ADC maps. Type 2 lesions were isointense or mildly hyperintense on diffusion-weighted images and isointense on ADC maps. Quantitatively, the signal intensity rations of type 1 lesions in group 2 specimens were significantly higher on T2-weighted images (P=.013)/(P=.027) and lower on ADC maps compared with those of group 1. Electron microscopy of type 1 lesions in both groups revealed more prominent widening of the perivascular space and swelling of the neural cells in groups 1. MR and electron microscopic data on cerebral fat embolism induced by either triolein or oleic acid revealed characteristics suggestive of both vasogenic and cytotoxic edema in the hyperacute stage. Tissue damage appeared more severe in the oleic acid group than in the triolein group.

  • PDF

뇌 MR영상의 뷰잉 변환 특성을 이용한 3차원 가시화를 위한 영상 보간 (3D Visualization of MR Images Using Interpolation of Viewing Transformed Images)

  • 송미영;조형제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상)
    • /
    • pp.485-488
    • /
    • 2002
  • 본 논문은 의학 연구 및 교육, 환자 치료를 위해 보다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의료 영상 중에 가장 많이 사용하는 의료 영상인 뇌 MR 영상의 횡단면만을 가지고 3차원으로 가시화한다. 3차원으로 재구성하는데 있어서 원 영상의 모형을 자연스러운 표현을 위해서는 층 영상과 층 영상간의 보간 영상이 필요하므로 이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서 제안한다. 그리고 3차원 재구성에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기 위해 각 영상에서 머리와 뇌 영역의 윤곽선 정보를 추출하고 가시화의 시간을 줄이기 위해 윤곽선 정보에서 특징점을 추출하여 이를 기반으로 하여 3차원으로 재구성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