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R images

검색결과 803건 처리시간 0.028초

퇴행성 척추와 감염성 척추염의 감별에 있어서 확산강조영상의 유용성 (The Usefulness of Diffusion-weighted MR Imaging for Differentiation between Degenerative Spines and Infectious Spondylitis)

  • 박원규;변우목;최준혁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6권2호
    • /
    • pp.152-157
    • /
    • 2002
  • 목적 : 척추종판 주위 골수를 주로 침범하는 Medic I형 퇴행성 척추와 감염성 척추염은 고식적 자기공명영상에서 유사한 신호강도를 보여 간혹 감별이 어려운 경우가 있다. 퇴행성 척추와 감염성 척추염의 감별에 있어 확산강조 자기공명영상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CT 유도하 조직검사 혹은 임상 적으로 진단이 가능하였던 감염성 척추염 14예와 Medic I형 퇴행성 척추 8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전 예에서 스핀 에코와 확산강조 척추 자기공명 영상을 시행하였다 확산강조 영상은 PSIF(reversed fast imaging with steady-state precession) 기법에 의래 시행되었다. 퇴행성 척추와 감염성 척추염의 스핀 에코와 확산강조영상에서 침범골수의 신호강도를 비교하였다. 결과: T1-강조영상에서는 Medic I형의 퇴행성 척추와 감염성 척추염 모두에서 저신호강도를 보였다. T2-강조영상에서는 Medic I형의 퇴행성 척추는 모두 고신호강도를 보였고, 감염성 척추염은 11예에서는 고신호강도를, 3예에서는 불균질한 혼합신호강도를 보였다. 확산강조영상에서는 Modic I형의 퇴행성 척추는 전 예에서 정상 척추에 비해 저신호 강도로 보였으나, 감염성 척추염은 11예서는 고신호강도로, 3예서는 저신호강도로 보였다. 퇴행성 척추의 경우 저신호강도 주위로 고신호강도를 동반하였다. 결론: 결론적으로 확산강조 자기공명영상은 Medic I형 퇴행성 척추와 감염성 척추염의 감별에 도움을 준다. 확산강조 영상에서 고신호강도를 보이는 경우는 감염성 척추염을 시사하는 소견이며, 주위 고신호강도를 가지는 저신호강도는 Medic I형 퇴행성 척추를 시사한다 총담관 확장의 원인을 찾는데 있어서 MRCP는 총담관 원위부 협착 및 만성 췌장염, 역동적 MRCP를 이용한 생리적 총담관의 확장, 조영증강 MRI 를 통한 담관염 및 담관 외 병소의 발견 등에 있어서 도움이 되는 것으로 생각된다.여를 요구하게 되었다. 자녀양육에 대한 책임인식 공유와 자녀와의 많은 시간공유 등 보다 적극적인 참여가 현대 사회의 이상적이고 바람직한 아버지상으로 요구되었으며 아버지의 역할에 대한 문화적 관심과 사회적 기대가 높아지게 된 것이다. 이러한 사실을 인지하여 아버지는 바람직한 자녀의 인성발달 및 여러 영역에 걸친 발달을 위하여 항상 애정과 관심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할 것이다. 자녀양육은 더 이상 어머니 혼자의 역할이 아닌 부모 둘 다의 몫이며 교임이므로 부모들은 좋은 가정을 만들고 좋은 부모가 되기 위해서 끊임없이 자신을 갈고 닦으며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서 이들 4개 지표로서 전체의 927%를 설명할 수 있다. 7. 자치구별 평가는 모든 음식점에서 식재료 보관시설(냉장, 냉동), 불량부정식품 사용여부, 남은 반찬의 폐기, 식당상태 등에서는 비교적 양호하였으나, 주방의 청결상태, 식재료 창고의 관리 및 주방 근무직원의 위생상태는 열악하였다. 평가 지표 14개의 총 평가결과가 가장 우수한 자치구는 동작구였으며, 다음으로 서대문구, 금천구, 성동구, 마포구의 순서이었다. 나머지 20개 자치구는 모두 보통이상으로 평가되었다. 8. 음식점 업태 별로 주방과 식당의 청결도 평가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은 주방의 내부설비(바닥, 벽면, 천장, 환풍기, 기구 등) 또는 주방종업원의 근무 환경(주방의 환기설비, 설치 및 쾌적한 환경상태유지)이었다. 그러나

  • PDF

재구성 방법(점 확산함수 적용 유무)에 따른 PET/MR 영상 평가 (Comparison of PET/MR image quality with and without point spread function algorithm according to reconstruction type)

  • 박찬록;문일상;노경운
    • 핵의학기술
    • /
    • 제22권1호
    • /
    • pp.43-45
    • /
    • 2018
  • NEMA IEC body phantom으로 PET/MR 스캐너를 이용해 MR 영상 기반의 감쇠보정 된 PET 영상을 얻고, 반복재구성 기반의 점 확산 함수(PSF)에 적용 유무에 따라 PET 영상을 Contrast recovery 와 SNR 의 평가 인자를 적용해 평가하였다. 또한, 동일한 재구성 방법에 따라 본원의 내원한 환자의 영상도 평가하였다. 데이터는 임상환자 와 팬텀 실험 모두 PSF를 적용해 재구성한 영상이 모두 영상의 질이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MR 기반으로 얻어진 PET 영상 평가가 추후에도 계속해서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Late Onset Postpartum Seizure and Magnetic Resonance Image Findings

  • Hwang, Sung-Nam;Park, Jae-Sung;Park, Seung-Won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37권6호
    • /
    • pp.453-455
    • /
    • 2005
  • Two young women were brought to the Emergency room with generalized tonic and clonic seizures. Seizure developed seven and ten days after delivery respectively without the clinical signs of pre-eclampsia throughout the pregnancies. Magnetic resonance(MR) image of the brain showed characteristically symmetrical abnormal signals in the parietal and occipital regions. After several days of medical treatment, they were discharged without neurologic sequelae and follow-up MR images taken three months after discharge showed complete disappearance of the previous abnormal signals.

의료 영상의 3차원 공간색인을 위한 비정상 영역의 정보 추출 (Information Extraction for 3D Spatial Indexing in Abnormal Region of Medical Images)

  • 조경은;송미영;조형제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상)
    • /
    • pp.206-209
    • /
    • 2002
  • 의료 영상 처리 시스템에서는 영상들의 검색이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그에 대한 해결 방법으로는 의료 영상 처리 시스템에 지능적인 내용 기반의 영상 검색 방법을 도입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의료 영상에 적합한 분할 방법을 사용하여 뇌의 MR 영상에 대하여 내용기반 검색을 하기 위한 영상 특징 색인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색인화 방법은 뇌 MR 영상에서 뇌영역을 분할하고 특징들을 추출한 후 이 정보를 가지고 대상 영상의 그룹핑 정보를 유추하고, 각 대상 영상에서의 비정상 후보 영역 위치를 찾아내어 3차원 공간 색인을 하는 방법이다.

  • PDF

확산강조영상에서 신호대 잡음비, 현성 확산 계수 변화에 따른 골다공증 평가 (Assessment of Osteoporosis Based on Changes in SNR and ADC Values on MR Diffusion Weighted Images)

  • 조재환;김영수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21권1호
    • /
    • pp.70-77
    • /
    • 2010
  • 골다공증 환자를 대상으로 이중 에너지 X선 흡수(DEXA) 방법을 이용한 골밀도 영상에서는 T-score를 측정하고 자기공명영상 기법 중 확산강조영상에서는 신호대 잡음비와 현성 확산 계수를 측정한 다음 T-score변화에 따라 신호대 잡음비와 현성 확산 계수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알아보았다. 골다공증이 없는 건강한 사람 30명과 2009년 1월부터 2009년 12월까지 허리 통증으로 내원한 환자 중 단순 방사선 촬영에서 골다공증 소견이 보이는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DEXA)를 이용하여 척추 L1-L4부위의 T-score를 측정 후 각각의 척추에 대해서 골감소증, 골다공증으로 분류하였다. 1.5T MR scanner를 이용하여 b value를 $400\;s/mm^2$으로 획득한 확산강조영상에서는 L1-L4 네 부위에서 신호 강도(signal intensity)측정을 하였고 현성 확산 계수(apparent diffusion coefficient; ADC) map 영상에서는 현성 확산 계수를 측정하였다. 정량적 분석방법으로 관심영역의 T-score와 신호대 잡음비(signal to noise ratio)와 ADC를 구하고 평균화 하여 관심영역에서 T-score변화에 따른 신호대 잡음비와 현성확산계수의 변화를 비교하였고 T-score에 의해 골감소증, 골다공증으로 분류하여 그룹별로 신호대 잡음비와 현성확산계수의 변화도 비교하였다. 정성적인 분석방법은 육안적으로 건강한 그룹과 골감소증, 골다공증그룹의 T1강조 시상면 영상에서 요추체중 L4 부위에서의 신호강도 차이를 알아보았다. 정량적 분석에서 골감소증 그룹과 골다공증그룹은 T-score가 감소함에 따라 확산강조영상에서의 신호대 잡음비가 감소하여 나타났으며 골다공증 그룹에서 신호대 잡음비가 가장 크게 감소하였다. ADC map영상에서는 골감소증그룹과 골다공증 그룹은 T-score가 감소함에 따라 현성 확산 계수는 감소해서 나타났고 건강한 그룹과 골감소증 및 골다공증 그룹의 경우 현성 확산 계수 차이는 골다공증 그룹에서 현성 확산 계수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정성적 분석에서는 건강한 그룹과 골감소증 및 골다공증 그룹에서 L4 부위의 신호강도는 건강한 그룹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고 골다공증그룹에서 높게 나타났다. 골다공증이 진행 될수록 신호대 잡음비와 현성 확산계수는 감소하고 T1강조 영상에서는 신호강도가 증가 하는 결과를 얻었고 자기공명검사가 골다공증 진단에 유용함을 알 수 있었다.

Spinal Intradural Extramedullary Cavernoma Presenting with Intracranial Superficial Hemosiderosis

  • Jin, Yong-Jun;Chung, Sang-Bong;Kim, Ki-Jeong;Kim, Hyun-Jib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49권6호
    • /
    • pp.377-380
    • /
    • 2011
  • A case of intradural extramedullary cavernous angioma is presented with headache, dizziness, and bilateral sensorineural hearing loss caused by an intracranial superficial hemosiderosis. It was incidentally found in a patient with a 3-month history of sustained headache, dizziness and a 3-year history of hearing difficulty. The neurological examination was unremarkable in the lower extremity. MR images showed an intracranial superficial hemosiderosis mostly in the cerebellar region. Myelography and MR images of the thoracolumbar spine revealed an intradural extramedullary mass, which was pathologically proven to be a cavernous angioma. T12 total laminoplastic laminotomy and total tumor removal were performed without any neurologic deficits. The patient's symptoms, including headache and dizziness, have been absent for three years. Intradural extramedullary cavernous angioma can present with an intracranial superficial hemosiderosis as a result of chronic subarachnoid hemorrhage.

두뇌 자기공명영상에서의 corpus callosum의 자동인식 알고리즘 (Algorithm for automatic recognition of corpus callosum from saggital brain MR images)

  • 허신;이철희
    • 대한의용생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의용생체공학회 199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62-63
    • /
    • 1998
  • In this paper, a new method to find the corpus callosum from sagittal brain MR images is proposed, which uses the statistical characteristics and shape information of corpus callosum. First, we extract regions satisfying the statistical characteristics of the corpus callosum and then find a region matching the shape information. In order to match the shape information, a new directed window region growing algorithm is proposed instead of using conventional contour matching algorithms. Using the proposed algorithm, we adaptively relax the statistical requirement until we find a region matching the shape information. Experiments show very promising results.

  • PDF

Intracranial Dissemination from Spinal Cord Anaplastic Astrocytoma

  • Jeong, Seong-Man;Chung, Yong-Gu;Lee, Jang-Bo;Shin, Il-Young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47권1호
    • /
    • pp.68-70
    • /
    • 2010
  • We report a case of intracranial dissemination developing approximately 4 months after partial removal of a spinal cord anplastic astrocytoma in a 22-year-old male. He presented with paraplegia on initial admission at a local hospital. Spinal magnetic resonance (MR) images disclosed multiple intramedullary lesions at the T3-11. The tumor was partially removed. The final histologic diagnosis was anaplastic astrocytoma. Four months after the operation, he was admitted with the symptoms of headache and deterioration of consciousness. MR images showed enhanced lesions in the anterior horn of the left lateral ventricle, and septum pellucidum. He underwent computed tomography-guided stereotactic biopsy and histological appearance was consistent with anaplastic astrocytoma. The clinical course indicates that the tumor originated in the spinal cord and extended into the subarachnoid space, first the spinal canal and later intracran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