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Usefulness of Diffusion-weighted MR Imaging for Differentiation between Degenerative Spines and Infectious Spondylitis

퇴행성 척추와 감염성 척추염의 감별에 있어서 확산강조영상의 유용성

  • 박원규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교실) ;
  • 변우목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교실) ;
  • 최준혁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병리학교실)
  • Published : 2002.12.01

Abstract

Purpose : The differential diagnosis between Modic type I degenerative spine and infectious spondylitis sometimes is difficult, because the affected bone marrows in both disease show similar signal intensity on conventional MR imaging. We evaluate the usefulness of diffusion-wighted MR imaging for differential diagnosis between Modic type I degenerative spine and infectious spondylitis. Materials and methods : The spin-echo and diffusion-weighted MR images of eight patients with Modic type I degenerative spines and 14 patients with infectious spondylitis diagnosed by clinical findings or CT-guided biopsies we re analyzed. The diffusion-weighted imaging sequence was based on reversed fast imaging with steady-state precession (PSIF). Signal intensity changes of the vertebral bone marrow on conventional spin-echo and diffusion-weighted MR imaging were compared between degenerative spine and infectious spondylitis. Results : On T1-weighte d images, the affeted bone marrow in both disease showed hypointense signals. On T 2-weighted images, all of type I degenerative spine and 11 of infectious spondylitis showed hyperintensity, and three of infectious spondylitis showed heterogeneo us mixed signal intensity. On diffusion-weighted MR images, all of type I degenerative spine were hypointense with peripheral high signal intensity to normal vertebral body, but infectious spondylitis was hyperintense (n = 11) and hypointense (n=3). Conclusion : Diffusion-weighted MR imaging is useful to differentiate Modic type I degenerative spine from infectious spondylitis. On diffusion-weighted images, the high singal intensity of bone marrow suggests infectious spondylitis, whereas the low signal intensity of bone marrow with peripheral focal high signal intensity suggests type I degenerative spine.

목적 : 척추종판 주위 골수를 주로 침범하는 Medic I형 퇴행성 척추와 감염성 척추염은 고식적 자기공명영상에서 유사한 신호강도를 보여 간혹 감별이 어려운 경우가 있다. 퇴행성 척추와 감염성 척추염의 감별에 있어 확산강조 자기공명영상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CT 유도하 조직검사 혹은 임상 적으로 진단이 가능하였던 감염성 척추염 14예와 Medic I형 퇴행성 척추 8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전 예에서 스핀 에코와 확산강조 척추 자기공명 영상을 시행하였다 확산강조 영상은 PSIF(reversed fast imaging with steady-state precession) 기법에 의래 시행되었다. 퇴행성 척추와 감염성 척추염의 스핀 에코와 확산강조영상에서 침범골수의 신호강도를 비교하였다. 결과: T1-강조영상에서는 Medic I형의 퇴행성 척추와 감염성 척추염 모두에서 저신호강도를 보였다. T2-강조영상에서는 Medic I형의 퇴행성 척추는 모두 고신호강도를 보였고, 감염성 척추염은 11예에서는 고신호강도를, 3예에서는 불균질한 혼합신호강도를 보였다. 확산강조영상에서는 Modic I형의 퇴행성 척추는 전 예에서 정상 척추에 비해 저신호 강도로 보였으나, 감염성 척추염은 11예서는 고신호강도로, 3예서는 저신호강도로 보였다. 퇴행성 척추의 경우 저신호강도 주위로 고신호강도를 동반하였다. 결론: 결론적으로 확산강조 자기공명영상은 Medic I형 퇴행성 척추와 감염성 척추염의 감별에 도움을 준다. 확산강조 영상에서 고신호강도를 보이는 경우는 감염성 척추염을 시사하는 소견이며, 주위 고신호강도를 가지는 저신호강도는 Medic I형 퇴행성 척추를 시사한다 총담관 확장의 원인을 찾는데 있어서 MRCP는 총담관 원위부 협착 및 만성 췌장염, 역동적 MRCP를 이용한 생리적 총담관의 확장, 조영증강 MRI 를 통한 담관염 및 담관 외 병소의 발견 등에 있어서 도움이 되는 것으로 생각된다.여를 요구하게 되었다. 자녀양육에 대한 책임인식 공유와 자녀와의 많은 시간공유 등 보다 적극적인 참여가 현대 사회의 이상적이고 바람직한 아버지상으로 요구되었으며 아버지의 역할에 대한 문화적 관심과 사회적 기대가 높아지게 된 것이다. 이러한 사실을 인지하여 아버지는 바람직한 자녀의 인성발달 및 여러 영역에 걸친 발달을 위하여 항상 애정과 관심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할 것이다. 자녀양육은 더 이상 어머니 혼자의 역할이 아닌 부모 둘 다의 몫이며 교임이므로 부모들은 좋은 가정을 만들고 좋은 부모가 되기 위해서 끊임없이 자신을 갈고 닦으며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서 이들 4개 지표로서 전체의 927%를 설명할 수 있다. 7. 자치구별 평가는 모든 음식점에서 식재료 보관시설(냉장, 냉동), 불량부정식품 사용여부, 남은 반찬의 폐기, 식당상태 등에서는 비교적 양호하였으나, 주방의 청결상태, 식재료 창고의 관리 및 주방 근무직원의 위생상태는 열악하였다. 평가 지표 14개의 총 평가결과가 가장 우수한 자치구는 동작구였으며, 다음으로 서대문구, 금천구, 성동구, 마포구의 순서이었다. 나머지 20개 자치구는 모두 보통이상으로 평가되었다. 8. 음식점 업태 별로 주방과 식당의 청결도 평가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은 주방의 내부설비(바닥, 벽면, 천장, 환풍기, 기구 등) 또는 주방종업원의 근무 환경(주방의 환기설비, 설치 및 쾌적한 환경상태유지)이었다. 그러나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