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MOOSE

Search Result 19,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Study on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and structural parameter effects of heat pipe with fins based on MOOSE platform

  • Xiaoquan Chen;Peng Du;Rui Tian;Zhuoyao Li;Hongkun Lian;Kun Zhuang;Sipeng Wang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55 no.1
    • /
    • pp.364-372
    • /
    • 2023
  • The space reactor is the primary energy supply for future space vehicles and space stations. The radiator is one of the essential parts of a space reactor. Therefore, the research on radiators can improve the heat dissipation power, reduce the quality of radiators, and make the space reactor smaller. Based on MOOSE multi-physics numerical calculation platform, a simulation program for the combination of heat pipe and fin at the end of heat pipe radiator is developed. It is verified that the calculation result of this program is accurate and the calculation speed is fast. Analyze the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of the combination with heat pipe and fin, and obtain its internal temperature field. Based on the calculation results, the influence of structural parameters on the heat dissipation power is analyzed. The results show that when the fin width is 0.25 m, fin thickness is 0.002 m, condensing section length is 0.5425 m and heat pipe radius is 0.014 m, the power-mass ratio is the highest. When the temperature is 700K-900K, the heat dissipation power increases 41.12% for every 100K increase in the operating temperature. Smaller fin width and thinner fin thickness can improve the power-mass ratio and reduce the radiator quality.

An Improvement in Adaptive Estimation for a Tracking System with Additive Measurement Impulse noise (충격성 잡음이 혼입되는 추적계통의 적응 추정 개선)

  • 윤현보;박희창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12 no.5
    • /
    • pp.519-526
    • /
    • 1987
  • An adaptive estimation system which operates propoerly in the environments corrupted by additive impulse noise in addition to the white Gaussian noise has been proposed. A feed forward loop is inserted into the adaptive estimator proposed by R. L. Moose for a system with an unknown measurement bias by which the improved adaptive estimator is processed successfully without the sum of the time varying weights being zero even when the measurement system is added impulue noise. Successfully processed adaptive estimator has been obtained under the large impulse noise in addition to randomly varying unknown biases condition by giving sufficient large value to the elements of discrete vector on the computer simulation.

  • PDF

향정신약물의 효능 검색

  • 이순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Pharmacology
    • /
    • 1993.04a
    • /
    • pp.78-78
    • /
    • 1993
  • 1) 측좌핵파괴 후 muricide를 비롯하여 startle, struggle등의 정동행동의 변화가 뇌손상 초기에는 현저히 발현되나 muricide를 제외하고 기간경과와 함께 점차 감소한다. 2) 봉선핵파괴 동물은 muricide, moose-eating behavior 등의 극심한 정동행동의 변화를 유발한다. 3) 측자핵파괴로 유발된 muricide는 1-DOPA, nomifensine, desipramine 등에 의하여 현저히 억제되었으나 HPD 에는 감수성이 낮았다. 봉선핵파괴로 유발된 muricide는 L-5-HTP, 4) 봉선핵파괴로 유발된 muricide는 L-5-HTP, clomipramine, nomifensine 등에 의하여 현저하게 억제되었다.

  • PDF

Analyses of Replica Placement Schemes in Distributed File Systems (대용량 분산 파일 시스템의 복제 배치 기법 분석)

  • Choi, Dae-Soon;Kim, Jee-Hong;Eom, Young-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2.06a
    • /
    • pp.373-375
    • /
    • 2012
  • 정보의 양이 늘어나고 그 크기가 커짐에 따라 많은 분야에서 대규모 분산 파일 시스템을 제안하고 사용하고 있다. 현재 제안된 분산 파일 시스템은 대부분 확장가능하며 장애에 견딜 수 있고 신뢰성이 있는 시스템을 기본으로 하여 구성되었다. 따라서 분산 파일 시스템은 장애에 효과적으로 견질 수 있고 높은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서 데이터의 복제를 만들어 서로 다른 스토리지에 배치한다. 본 논문에서는 대규모 분산 파일 시스템의 복제 배치 기법에 관하여 비교 분석 하였다. 먼저 분산 파일 시스템의 동작 구조를 확인하고 분산 파일 시스템에서 보편적으로 중요시 되는 특성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복제 배치 기법이 효과적인 분산 파일 시스템 구성 시 고려해야 할 것들을 부하 분산, 디스크 분산, 장애 분산으로 나누었다. 이 세 가지 요소를 기준으로 하여 분산 파일 시스템인 GFS, HDFS, Ceph, MooseFS의 복제 배치 기법을 분석하고 각각의 특성 파악하였다.

Radiosensitivity and Dobe-Survival Characteristics of Crypt Cells of Mouse Jejunum (마우스공장 소낭선세포의 방사선 감수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Huh, Seung-Jae;Park, Charn-Il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v.3 no.1
    • /
    • pp.9-12
    • /
    • 1985
  • To determine the radiosensitivity and dose-survival characteristics of jejunal crypt cells, experimental study was done using total 40 mice. Single irradiation of 1,000 rad to 1,600rad was delivered to whole bodies of mice, using a cesium 137 animal irradiator. The number of regenerating crypts per jejunal circumference was counted, by using a jejunal crypt cell assay technique, and dose response curve was measured. The average number of jejunal crypt Per circumference in control group was $140\pm10$. Mean lethal dose$(D_0)$ of moose jejunal crypt cell was 135rad.

  • PDF

An Analysis and Comparison of Open Source Based Distributed File System for Cloud Environment (클라우드 환경의 오픈소스 기반 분산 파일 시스템 분석 및 비교)

  • Kim, Keonwoo;Kim, Jeehong;Eom, Young I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04a
    • /
    • pp.182-184
    • /
    • 2012
  • 클라우드 컴퓨팅이 많은 관심을 받고 발전하면서 여러 IT선도업체에서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 개발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 이러한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는 대부분의 데이터를 서버에 저장한다. 이러한 이유로 클라우드 환경에서 사용되는 파일 시스템은 기존의 파일 시스템 보다 많은 데이터를 저장하게 된다. 이에 따라 많은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서 클라우드 환경에서는 분산 파일 시스템 기술을 활용하고 있다. 또한 분산 파일 시스템은 네트워크상의 여러 스토리지 서버에 데이터가 분산되어 저장되기 때문에 데이터의 관리뿐만 아니라 성능, 장애 허용, 보안 등의 요구사항을 만족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XtreemFS, Ceph, GlusterFS, MooseFS 등의 분산 파일 시스템들을 기능적 측면에서 살펴보고, 각 분산 파일 시스템을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기능적 평가요소 측면에서 비교하고 평가한다.

Performance Evaluation of Open Source Based Distributed File System for Cloud Storage (클라우드 스토리지를 위한 오픈 소스 기반 분산 파일 시스템의 성능 평가)

  • Lee, Seho;Kim, Ji-Hong;Eom, Yong I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04a
    • /
    • pp.185-187
    • /
    • 2012
  • 최근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은 기존의 서버, 데스크톱 컴퓨팅 환경을 빠르게 변화시키며, 차세대 인터넷 서비스의 핵심 분야로 부각되고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 중 특히 저비용, 안정성, 확장성, 무결성 그리고 보안성을 가지고 있는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가 각광 받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클라우드 스토리지 기반 기술인 분산 파일 시스템에 관해서 살펴보고, 오픈소스 기반의 분산 파일 시스템인 MooseFS, XtreemFS, GlusterFS, Ceph 등을 이용하여 시스템 구축 및 성능 측정을 수행 하였다. 수행결과 Postmark에서는 GlusterFS, MD5SUM에서는 XtreemFS가 가장 좋은 성능을 보여주었다.

Chunk Placement Scheme on Distributed File System Using Deduplication File System (중복제거 파일 시스템을 적용한 분산 파일 시스템에서의 청크 배치 기법)

  • Kim, Keonwoo;Kim, Jeehong;Eom, Young I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3.05a
    • /
    • pp.68-70
    • /
    • 2013
  • 대량의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해서 클라우드 스토리지 시스템에서는 분산 파일 시스템 기술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데이터가 증가함에 따라 분산 파일 시스템을 이용함에도 스토리지 확장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분산 파일 시스템의 스토리지 확장 비용을 줄이기 위해서 우리는 중복제거 파일 시스템을 적용한 분산 파일 시스템에서의 청크 배치 기법을 제안한다. 오픈 소스 기반의 분산 파일 시스템인 MooseFS 에 중복제거 파일 시스템인 lessfs 를 적용함으로써 스토리지의 가용공간을 늘릴 수 있으며, 이는 스토리지 확장 비용을 줄이는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동일한 청크는 같은 청크 서버에 배치 시킴으로써 중복제거 기회를 높인다. 실험을 통해서 제안 시스템의 중복제거량과 성능에 대해서 평가한다.

Analysis of chunk server load balancing and suggest an efficient technique on Distributed FileSystem (분산 파일시스템 청크서버 로드밸런싱 기법 비교분석 및 제안)

  • Choi, Kyu-Pile;Lee, Se-Ho;Eom, Young-I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3.11a
    • /
    • pp.115-117
    • /
    • 2013
  • 빅데이터 시대가 도래하고 네트워크가 발달함에 따라 다수의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통신하며 사용하는 데이터량이 급증하고 있다. 과도한 데이터 부하를 해결하는 방법 중 여러 서버로 부하를 분산하는 기법을 로드밸런싱이라고 하며 이 기법에 따라 데이터가 서버에 분산되는 방식이 달라진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사용중인 다양한 로드밸런싱 기법에 대해 분석하고 보다 효율적인 기법을 제안한다. 그리고 오픈소스 기반의 분산 파일 시스템 중 하나인 Moose File System에 제안한 기법을 적용한 경우의 효과에 대해 논의한다.

Simple Assessment of Taxonomic Status and Genetic Diversity of Korean Long-Tailed Goral (Naemorhedus caudatus) Based on Partial Mitochondrial Cytochrome b Gene Using Non-Invasive Fecal Samples

  • Kim, Baek-Jun
    • Proceedings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of the Republic of Korea
    • /
    • v.2 no.1
    • /
    • pp.32-41
    • /
    • 2021
  • South Korea presently harbors less than 800 long-tailed gorals (Naemorhedus caudatus), an endangered species. I report for the first time on the taxonomic status and genetic diversity of the Korean species using non-invasive fecal sampling based on mitochondrial cytochrome b gene sequence analyses. To determine the taxonomic status of this species, I reconstructed a consensus neighbor-joining tree and generated a minimum spanning network combining haplotype sequences obtained from feces with a new goral-specific primer set developed using known sequences of the Korean goral and related species (e.g., Russian goral, Chinese goral, Himalayan goral, Japanese serow, etc.). I also examined the genetic diversity of this species. The Korean goral showed only three different haplotypes. The phylogenetic tree and parsimony haplotype network revealed a single cluster of Korean and Russian gorals, separate from related species. Generally, the Korean goral has a relatively low genetic diversity compared with that of other ungulate species (e.g., moose and red deer). I preliminarily showcased the application of non-invasive fecal sampling to the study of genetic characteristics, including the taxonomic status and genetic diversity of gorals, based on mitochondrial DNA. More phylogenetic studies are necessary to ensure the conservation of goral populations throughout South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