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LT-4 cells

검색결과 44건 처리시간 0.03초

원위치 중합효소 연쇄반응에서 증폭산물의 세포내 보존을 위한 방법들 (Methods of in situ PCR to Retain the Amplification Products Inside the Cells)

  • 이재영
    • 미생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294-298
    • /
    • 2001
  • 감염성 바이러스의 발생은 세계적인 현상으로 어린이는 물론 성인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는 실정이다. 1998년 -2000년 사이에 부산지역 바이러스성 전염병 유행예측사업의 과정에서 소화기계 바이러스가 탐색되었다. 의심되는 환자의 대변 및 뇌척수액, 인후가검물에서 세포배양, Latex 응집반응, 간접면역형광항체법, 전자현미경 관찰 등을 행하여 바이러스를 확인하였다. 총 검체 중에서 바이러스의 확인 율은 12.5% 이었다. 이 과정을 통하여 3 사례의 장 adenovirus 및, 23 사례의 echovirus, 31 사례의 coxsackievirus, 36 사례의 rotavirus, 45 사례의 small round structured virus (SRSV), 7 사례의 poliovirus가 확인되었다. 확인된 주요 혈청형으로는 장 adenovirus 41형 및 echovirus 6, 9, 11, 25, 30형, coxsackievirus B2, B3, B4, B6 형 등이 탐색되었다. 각 바이러스의 월별 발생별로는 SRSV는 12월에서 다음해 4월 사이, echovirus와 coxsackievirus는 4월에서 10월 사이에, rotavirus는 1월에서 4월 사이에 각각 분리 율이 높았다. 전자현미경 관찰에서는 30-80 nm의 작은 크기의 바이러스들이 확인되었다.

  • PDF

생약 추출물의 RAW 264.7 세포를 이용한 면역증강 효과 (Immune Enhancing Effect of Medicinal Herb Extracts on a RAW 264.7 Macrophage Cell Line)

  • 유아름;박호영;최인욱;박용곤;홍희도;최희돈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1호
    • /
    • pp.1521-1527
    • /
    • 2012
  • 본 연구에서 12종류의 생약재 중 대식세포를 활성화시켜 NO 생성능이 높은 감초, 건지황, 당귀, 도라지, 목천료 5종의 생약재를 선별하였다. 선별된 5종의 생약추출물의 성분을 실험한 결과 단백질, 다당 물질의 함유량이 감초(58.1%), 건지황(90.4%), 당귀(87.4%), 도라지(41.3%), 목천료(85.7%)로 대부분 고분자 물질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약추출물이 대식세포를 활성화시켜 면역을 증진시키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RAW 264.7세포와 T세포를 이용하여 면역활성능 관련 지표를 측정한 결과 5종의 생약재를 RAW 264.7 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면역 활성의 지표가 되는 NO, cytokine(TNF-${\alpha}$, IL-$1{\beta}$, IL-6, IL-10)의 생성이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증가되었고, Molt-4 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대조군에 비해 세포가 증식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고분자 물질인 단백질과 다당으로 이루어진 생약추출물을 섭취 시 외부로부터 침입한 항원이 들어오기 이전에 면역세포를 자극하여 활성을 증가시켜 면역매개물질을 생성하여 인체의 비특이적 면역반응을 증가시킴으로써 항원을 공격, 제거하는 등의 작용을 통해 자연 면역반응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유색감자 추출물의 항돌연변이 및 항암 활성 (Antimutagenic Effect and Cytotoxicity to Human Cancer Cell Lines of Colored Potato Extracts)

  • 박영은;정진철;조현묵;황영선;이현진;최수산나;이수진;박은선;고은아;김난솔;임정대;정명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75-84
    • /
    • 2008
  • 본 연구는 괴경 내부에 적색 및 보라색의 안토시아닌 색소를 함유한 유색감자의 추출물을 대상으로 S. typhimurium TA98과 TA100 균주의 돌연변이 유발여부를 확인하였고, 직접돌연변이원인 4-nitroquinoline-1-oxide(4-NQO)와 간접 돌연변이원인 bozo(a)pyrene(BaP)에 의해 유발될 수 있는 돌연변이에 대한 항돌연변이 활성과 6종의 인간 암세포주(전립선암세포주: LNCaP, 결장암 세포주: HCT-15와 SW-620, 위암 세포주: ACHN, 폐암 세포주: A549, 백혈병 세포주: MOLT-4F)를 대상으로 SRB 방법을 이용하여 항암활성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유색감자 중 괴경 내부에 보라색의 안토시아닌을 다량 함유한 자영 품종이 다른 품종에 비해 높은 수준의 항돌연변이활성 및 항암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자영 품종의 추출물은 다른 세포주 보다 전립선암 세포주에 대한 항암활성이 특이적으로 우수한 양상을 확인하였다. 자영 품종의 추출물은 $5\;{\mu}g/mL$ 이상의 농도에서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할 뿐 아니라, 전립선암 세포주 LNCaP와 PC-3에 대해 세포사멸을 유발하는 결과를 Cell Death Detection ELISA와 TUNEL Assay로 확인하였고, 세포사멸과 연관된 유전자의 발현분석을 western blot으로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괴경 내부에 안토시아닌을 함유한 유색감자는 괴경 내부의 색상이 백색인 일반감자에 비해 강한 항돌연변이활성 및 항암활성을 나타내므로 유색감자는 기능성이 증대된 식용감자로서의 이용가치가 충분하며, 유색감자를 이용한 기능성식품 소재개발 및 의료산업의 신규소재화가 가능하리라 판단된다.

팔진항암단의 항종양효과 및 기전연구 (Study of Paljinhangahm-dan on Anti-tumoral Effect and Mechanism)

  • 배남규;문석재;원진희;김동웅;문구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1143-1150
    • /
    • 2002
  • Recent evidence suggests that many Oriental Medicinal prescriptions are effective in cancer patients as a supportive care. Oriental Medicinal herbs have been investigated extensively and are known to have multiple pharmacological effect. These herbs contain a variety of ingredients which may act synergistically to inhibit tumor cell division, to increase tumor cell death (apoptosis), and to increase the proportion of immune cells within tumor. Paljinhangahm-dan (Paljin) has been used to treat for cancer patients in Oriental Medicine for decades. The effects of aqueous extract of Paljin on the induction of apoptotic cell death were investigated in human leukemia cell lines (HL-60, Jurkat, Molt-4 and U937). The viability of leukemia cells was markedly decreased by Paljin in a dose-dependent manner. Paljin induced the apoptotic death of leukemia cells, which was characterized by the ladder-pattern DNA fragmentation, and chromatin condensation of the nuclei. Paljin digested Bid protein but did not affect Bcl-2 protein level and also, induced mitochondrial dysfunction disrupted as shown as the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 It activated caspase-9 and caspase-3. thereby resulted in cleavage of poly(ADP) ribose polymerase(PARP).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aljin induces apoptosis of human leukemia cells via activation of intrinsic caspase cascades with mitochondrial dysfunction.

소 흉선 추출물의 암세포 증식 및 림프구에 미치는 영향 (Antitumor and Immunological Effects of Bovine Thymic Extract)

  • 정용자;홍기태;정현옥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1-22
    • /
    • 1992
  • Thymic extract showed antitumor effect to sarcoma mice with higher dose$(200{\mu}g/mouse/day$ i.p., 4weeks) but not with low dose$(5{\mu}g/mouse/day$ i.p., 6 weeks). Direct cytotoxicities were exhibited against sarcoma 180, L1210 and MOLT-4 by MTT assay. The spleen weight of mice were increased but the number of circulating lymphocytes were not increased after long-term(2 weeks) administration of thymic extract. Evaluating the mitogenesis by MTT assay. $\%$ absorbance of human lymphocytes was not increased by thymic extract. Cell cycle statistics of S phase and $G_2/M$ phase was not increased in the presence of that by PI staining. The formation of rosette was induced, irrespectively of exposure time short-term(l hour) and long-term(2 weeks). The population of mouse blood T-cell to bind Lyt2-antimonoclonal antibody and to $L_2T_4$ were increased after administration of thymic extract$(2-200{\mu}g/mouse/day)$. From the abov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thymic extract exerts antitumor activity by stimulating T cells to differeniate in vivo but not in vitro.

  • PDF

Immune-enhancement effect of JaSaengHwan

  • Shin, Hye-Young;Koo, Hyun-Na;Hong, Seung-Heon;An, Hyo-Jin;Kim, Hyung-Min;Shin, Tae-Yong
    • Advances in Traditional Medicine
    • /
    • 제3권1호
    • /
    • pp.34-39
    • /
    • 2003
  • We investigated the immune enhancement effects of JaSaengHwan (JSH). The forced swimming test (FST) has been used as a screening model for new immune enhancement agents. We found that JSH (0.1 mg/ml) significantly reduced the immobility time in the FST compared to the control. Also,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JSH on the proliferation of T cell and production of cytokines in human T-cell line, MOLT-4 cells and mouse peritoneal macrophages. JSH (1 mg/ml) significantly increased the cell proliferation by $46.78{\pm}6.41%$ (p<0.05) and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the interleukin (IL)-2, IL-4 and interferon $(IFN)-{\gamma}$ production compared with media control (about 2-fold for IL-2, 3-fold for IL-4 and 1.5-fold for $IFN-{\gamma}$, p<0.05) at 24 h. In addition, JSH increased the production of IL-12 on the mouse peritoneal macrophages (by 3.6-fold for IL-12, p<0.05). In conclusion, these data indicate that JSH may have an immune-enhancement effect.

산삼(山蔘), 장뇌삼(長腦蔘), 인삼(人蔘)의 면역증강(免疫增强)효과 비교연구 (The Immune-Enhancing Effect of Mountain Gown ginseng, Mountain Cultivated ginseng, and Panax ginseng)

  • 정대규;권순주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89-101
    • /
    • 2004
  • Objective : The present experiments were designed to study on the immune-enhancing effect of Mountain grown ginseng, Mountain cultivated ginseng, and Panax ginseng Method : In order to compare the immune-enhancing effect of moutain grown ginseng, moutain cultivated ginseng and Panax ginseng, the study was done through the forced swimming test (FST), measurement of T helper Th1, Th2 cytokines and fatigue related factors. Result : Moutain grown ginseng and panax ginseng decreased the immobility time in the FST compared to the control. Glucose, blood urea nitrogen (BUN), creatinine, lactate dehydrogenase (LDH) and Total-protein (T-protein) in serum were investigated. The serum achieved from ginseng administered mouse showed higher BUN, T-protein than the control. moutain grown ginseng administered group showed lower LDH than the control group. moutain grown ginseng administered mouse showed higher glucose than the control. Creatinine was same in either experimental or control group. Ginseng-induced cytokine production in human T-cell line, MOLT-4 cells and mouse peritoneal macrophages were compared. Moutain cultivated ginseng (10-4 dilution) and panax ginseng (10-3 dilution) were increased the interferon $IFN-{\gamma}$ production compared with media control (about 1.6-fold P<0.05) at 48 h. Moutain grown ginseng (10-4 dilution) was increased the $IFN-{\gamma}$ and interleukin IL-4 production compared with media control (about l.4-fold for $IFN-{\gamma}$ and 1.6-fold for IL-4 P<0.05) at 48 h. Moutain grown ginseng (10-3 dilution) and moutain cultivated ginseng (10-4 dilution) were increased the turmor necrosis factor $TNF-{\alpha}$ production compared with $rIFN-{\gamma}$ treated cells (about 1.9-fold for $TNF-{\alpha}$ P<0.05), respectively. Moutain cultivated ginseng (10-3 dilution) was increased the IL-12 production compared with $rIFN-{\gamma}$ treated cell (about 1.7-fold for IL-12 P<0.05). Conclusion : These data suggest that three different three kinds of ginseng act on immune responses in different aspects.

  • PDF

가시오갈피 열매 추출물의 생리활성 검정 (Screening of Biological Activities of Acanthopanax senticosus Fruits Extracts)

  • 임정대;정명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6권1호
    • /
    • pp.1-7
    • /
    • 2011
  • 기능성을 갖는 다양한 물질을 탐색하여 자원의 효율적인 이용, 즉 새로운 기능성을 함유한 생리활성 물질의 발굴 및 국민보건 증진을 목적으로 가시오갈피의 열매 추출물을 대상으로 항산화 활성, 활성산소 소거능, 항고혈압 활성 및 항암활성을 검증하여 가시오갈피 열매의 활용성 증진 및 신규 기능성 자원화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한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l. 가시오갈피 열애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검정하기 위해 Feton's reagent를 사용한 lipid peroxidation system을 사용하여 측정한 결과 추출물의 농도가 $10{\mu}g/mL$ 수준에서부터 뚜렷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였으며, 모든 농도에서 활성평가의 대조구인 ${\alpha}$-tocopherol보다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반면 자유 라디칼 소거 활성에서는 $11.24{\mu}g/mL$의 항산화 활성 ($IC_{50}$)을 나타내어 대조시약인 ${\alpha}$-tocopherol이나 BHT와 유사한 소거 활성을 나타내었다. 2. 가시오갈피 열매 추출물의 xanthine oxidase 활성 억제 효과를 검토한 결과 xanthine oxidase 활성을 50% 저해하는 데 필요한 농도는 약 $36.9{\mu}g/mL$로 대조 활성물질인(+)-catechin에는 미치지는 못하나 상당히 높은 xanthine oxidasc 억제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3. 가시오갈피 열매 추출물을 대상으로 인체 암세포주에 대한 세포생육 억제효과를 SRB법으로 검정한 결과 폐암 세포주인 A549세포 및 결장암 세포주인 HCT-15에서는 가시오갈피 열매 추출물이 활성을 나타내지 않는 반면, 전립선암 세포주인 LNCaP와 백혈병 세포주인 MOLT-4F에서는 암세포의 생육을 50% 억제하는 농도가 $5{\mu}g/mL$으로 우수한 세포독성 효과를 나타내었다. 4.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가시오갈피 열매 추출물은 광범위한 항산화 기작 및 항암 활성을 나타냄으로 신규 기능성 자원으로서 활용도가 매우 넓을 것으로 판단된다.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의 체력증진 및 면역조절효과 (The Regulatory Effect of Angelica gigas Nakai on Immune Enhancement and Cytokine Production in vivo and in vitro)

  • 전용덕;김수진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411-416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실험모델을 활용하여 참당귀 추출물의 면역조절 효능을 평가하였다. 특히 강제수영부하실험에서 참당귀 추출물의 경구투여는 부동시간의 감소 및 신장기능 지표인 BUN 및 근육의 피로관련 생화학적 지표인 LDH 활성 조절로 체력증진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T세포를 활용한 참당귀 추출물의 면역조절 효능 평가를 위하여 IL-2, IL-4 및 IFN-𝛾 mRNA 발현 변화에 대한 영향을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참당귀 추출물은 IL-2, IL-4 및 IFN-𝛾 세포 활성물질의 생성 조절을 통하여 면역조절 효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규명된 결과는 참당귀 추출물의 체력증진 및 면역조절을 위한 건강 기능성 제품개발에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항 백혈병작용에 관련된 천연물의 자료조사 (Review of Anti-Leukemia Effects from Medicinal Plants)

  • 배현옥;임창경;장선일;한동민;안원근;윤유식;전병훈;김원신;윤용갑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605-610
    • /
    • 2003
  • 인삼, 호장근, 상산 등에서 분리한 성분들이 HL60, HL-60, Jurkat, Molt-4에 대한 억제작용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익모초의 Leonunrine, 대청엽의 Indirubin, 천문동의 Aspargus polysaccharideA.B.C.D, 백합의 Colchicnamile, 익모초의 Lenunrine, 산두근, 자초근 추출물이 여러유형의 백혈병 환자에 대한 백혈병 억제효과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mouse의 P388, L1210, L615, L120, S-180 등에 항 백혈병 효과가 있는 것으로는 완화, 로회, 원지, 오수유, 파두, 뇌공등, 석산, 백출, 단삼, 산약, 목단피, 청대, 감초, 당귀에서 분리한 성분들이 있으며 백굴채, 마전자, 가시오가피, 천초 추출물들이 동물실험에서 항암작용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 천연물에서 분리한 성분이 항백혈병 작용이 있는것으로는 ginsenoside Ro, ginseonoside Rh2, Emodin, Yuanhuacine, Aleemodin, phorbocdiester, Triptolide, Homolycorine, Atractylol, Colchicnamile, Paeonol, 당귀다당체, Aspargus polysaccharideABCD, Indirubin, Leonunrine, Acinosohic acid, Trichosanthin, G2 132, Schizandrin, allicin, Indirubin, cmdiumlactone chuanxiongol, 18A glycyrrhetic acid, Kansuiphorin A, 13 oxyingenol Kansuiphorin B 등이 조사되었고, 추출물이 항 백혈병 작용이 있는 것으로는 원지, 오수유, 백굴채, 대황, 산두근, 마전자, 가시오가피, 천초 등이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