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ND

검색결과 112건 처리시간 0.02초

국방사업 특성을 고려한 무기체계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평가모델(MND-ESPAM) (The Assessment Model of the Embedded Software Process Suitable for Korean Defense Industry)

  • 권경용;양해술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10호
    • /
    • pp.271-281
    • /
    • 2009
  • 본 논문은 무기체계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평가모델(이하 'MND-EAPAM')의 국방사업 특성화 방안을 제시한다. 2008년, 무기체계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평가의 기준이 되는 무기체계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평가모델을 개발하였지만, 국방분야에 대한 특성 반영이 미흡하였다. 이에 따라 국내 방위산업체의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관리 실태를 조사 분석하고, CMMI 인증을 획득한 방위산업체에 MND-ESPAM을 시범적용하여, MND-ESPAM의 문제점을 도출 및 분석하였다. 도출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MND-EAPAM과 방위사업청 소프트웨어 개발프로세스 지침 간 연계가 가능하고, 국방시험성숙도모델(MND-TMM)의 체계적 반영으로 시험활동을 강화하며, 유사 프로세스 영역을 식별, 통합하는 MND-ESPAM의 개선안을 제시한다. 개선안은 CMMI와의 커버리지 검증, ISO/IEC 14598-3의 요구사항에 의한 시험활동 평가, 방위산업체 시범적용을 통하여 검증을 실시하였다.

국방메타데이터 기반 아키텍처메타모델(AMM)의 논리데이터모델(OV-7c) 제안 (A Logical Data Model (OV-7c) Suggestion from MND-Meta-data-based Architecture Meta Model)

  • 박범식;이태공
    • 정보화연구
    • /
    • 제10권3호
    • /
    • pp.315-321
    • /
    • 2013
  • 우리군은 국방 아키텍처프레임워크(MND-AF)를 제정하여 전군적, 기관별, 단위시스템 아키텍처를 개발할 때 적용하고 있다. MND-AF의 아키텍처메타모델(AMM)은 국방아키텍처 산출물에서 정의된 아키텍처 정보의 구조를 조직화하고 정보간의 관계를 묘사하고, 참조모델 및 국방 상호운용성 표준인 정보기술표준, 공통컴포넌트, 국방메타데이터 등과 연계를 통해 표준을 기반으로 상호운용성 달성을 지원해야 한다. 그러나 AMM을 살펴보면 상호운용성 표준과의 연계성이 미흡하여 단위시스템 아키텍처를 개발할 때 상호운용성 표준을 원활하게 적용하는 것이 제한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단위시스템 아키텍처를 개발할 때 국방 상호운용성 표준으로 관리되는 국방메타데이터 적용을 촉진시킬 수 있도록 국방메타데이터 기반 아키텍처메타모델의 논리데이터모델(OV-7c)을 제안한다.

국방 CBD 방법론에서 MND-AF 산출물 재활용성 제고 (Reusability Enhancement of the MND-AF Artifacts in the Defense-CBD Methodology)

  • 이현철;이상호;정경철;이승종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2D권7호
    • /
    • pp.1001-1006
    • /
    • 2005
  • 국방부에서는 정보체계획득 및 개발표준화를 위해 MND-AF와 국방 CBD 방법론을 개발하여 정보체계의 상호운용성과 재사용성 증대를 통해 효율적인 통합 및 표준화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MND-AF와 국방 CBD 방법론간 프로세스 적용범위 및 산출물 상호관계에 관한 명확한 가이드라인과 활용방안이 없는 실정이다. 이로 인해 두 절차에서 요구하는 산출물을 각각 작성함으로써 산출물 중복작성, 불필요한 개발기간 연장과 비용 증가로 비효율적인 업무수행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두 절차의 요구산출물들을 구성요소 단위로 분석하여 국방 CBD 프로세스에 따라 MND-AF 산출물의 재활용 적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산출물 작성 부담을 경감시키고 형식보다는 내용에 충실한 산출물을 작성하도록 하여 산출물의 품질 및 재사용성을 높일 수 있다. 연구결과, 국방 CBD 방법론을 적용하여 정보체계를 개발 할 경우 MND-AF산출물 37종 중 34종의 산출물을 재사용할 수 있다.

아키텍처 프레임워크의 국방분야 적용 연구 (An Applicable Study on the Architecture Framework in the MND)

  • 김영도;서민우;손태종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29-140
    • /
    • 2004
  • Traditional information systems in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MND) are insufficient about interoperability between all kinds of them. Also there is no the applicable architecture framework to develop information systems. The Architecture Framework(AF) is to provide guidance for describing architectures for both warfighting operations and business operations and processes in the MND. Therefore,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MND AF to develop and manage information systems in the MND.

국방 소프트웨어의 시험 프로세스 개선을 위한 국방 시험 성숙도 모델 (MND-TMM for Testing Process Improvements of Defense Software)

  • 박준영;류호연;최호진;백종문;김진수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5권5호
    • /
    • pp.288-296
    • /
    • 2008
  • 국방 분야의 소프트웨어는 해당 도메인의 특성상 높은 수준의 품질을 요한다. 이를 보장하기 위해서는 잘 정의된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하는 개발 및 시험 활동들이 이루어져야 한다. 소프트웨어 획득 과정에서 이들 활동들이 뒷받침되지 못하면 획득된 소프트웨어의 품질이 낮고, 군의 전투력이 저하된다. 본 논문에서는 시험 프로세스 개선을 통해 국방 소프트웨어의 품질을 향상하기 위한 국방 시험 성숙도 모델(MND-TMM: Ministry of National Defense-Testing Maturity Model)을 제안하고 설계된 내용을 소개한다. MND-TMM은 국방 도메인에서 시험과 관련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국방 소프트웨어, 국방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 국방 소프트웨어 시험 프로세스를 반영하여 구성되었다. MND-TMM은 5개의 수준의 성숙도와 4개의 범주로 구성되며 각 범주에는 관련 시험 프로세스 영역(TPA: Testing Process Area)들이 포함된다. MND-TMM은 국방 소프트웨어 조직의 시험 성숙도를 평가하는 것을 돕고 소프트웨어 테스팅 프로세스를 개선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산출물 재사용성을 위한 MND-AF와 ADDMe 프로세스 정렬 (Process Alignment between MND-AF and ADDMe for Products Reusability)

  • 부용희;이태공
    • 한국국방경영분석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31-142
    • /
    • 2006
  • 최근 대다수의 조직들은 조직의 최적화를 위해 EA 방법론과 소프트웨어 재사용성 향상을 위해 CBD 방법론을 도입하고 있다. 한국정부도 EA 프레임워크, 참조모델 및 지침 등과 같은 다양한 EA 산출물을 개발하고 있을 뿐 만 아니라, 범정부 최적화를 위한 법을 제정하였다. 이에 따라 국방부도 국방 EA 개발 방법론인 MND-AF와 국방 CBD 방법론인 ADDMe를 개발하여 적용하고 있으나, MND-AF와 ADDMe 방법론의 프로세스간 정렬성이 부족하여 산출물의 중복개발이 예상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MND-AF와 ADDMe의 프로세스 및 산출물간의 관계성을 식별하여 MND-AF 산출물을 ADDMe가 재사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두 프로세스간 관계성 식별을 위해 우선 두 프로세스의 ‘정의’ 부분 관계성을 식별한 후, ‘상세설명’ 부분의 관련성을 기반으로 ‘속성’ 부분의 관계성을 식별하였다. 분석결과 MND-AE의 113개의 속성이 ADDMe의 49개의 속성과의 관계성을 제시함으로써 개발비용 및 시간이 감소되고 EA와 CBD 프로세간의 정렬에 대한 좋은 사례로 활용 될 것이다.

국방아키텍처 거버넌스 프레임워크 (A Governance Framework for MND- Enterprise Architecture)

  • 정찬기
    • 한국국방경영분석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75-191
    • /
    • 2008
  • 우리 군은 EA(Enterprise Architecture)를 국방변혁과 한국형 NCW 구축을 위한 주요한 수단으로 인식하고 국방아키텍처(MND-EA) 구축사업을 진행 중에 있다. 그러나 국방아키텍처가 가지는 중요성과 달리 명시적인 EA 거버넌스(Governance) 체계를 갖추지 않고 국방아키텍처를 구축하고 있다. 많은 연구보고서에서 EA 거버넌스 없이는 실용적인 EA를 구축하기 어렵다고 강조하고 있다. 본 연구는 효과적인 국방아키텍처를 구축하기 위한 EA거버넌스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국내 외 공공기관의 EA 구축 및 거버넌스 현황을 살펴봄으로써 거버넌스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거버넌스 구성요소를 식별한다. 원칙, 조직, 프로세스로 구성된 거버넌스 기본 의델을 수립하고 이 모델을 거버넌스 범위 및 대상에 투사하여 국방아키텍처 거버넌스 프레임워크를 설계한다. 제안한 거버넌스 프레임워크는 명시적이고 공식적인 국방아키텍처 거버넌스 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방향을 제시한다.

국방 MDM 수용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cceptance Factors for MND-MDM)

  • 이인석;이춘열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9권6호
    • /
    • pp.355-368
    • /
    • 2011
  • 네트워크중심전(NCW: Network Centric Warfare) 환경 하에서 효과적인 전쟁수행을 위해서는 각종 시스템 간 데이터 공유가 필수적이며, 이를 위해서는 국방아키텍처(MND-EA) 고도화 및 국방 통합정보관리소 구축 등과 연계한 데이터 공동 활용을 위한 표준화와 통합관리 등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각 기관에서 주요 이슈로 등장하고 있는 데이터 공동 활용을 위한 마스터 데이터관리(Master Data Management: MDM)를 국방 분야에 도입하기 위해 기술수용모델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현재 총괄적인 기업 형태에 따라 보편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가트너사(社)의 MDM 구현아키텍처를 대상으로 국방 업무환경과 특성을 고려한 선호아키텍처를 선정하고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서 효과적인 국방 MDM(MND-MDM) 구축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자료조사는 국방정보화 시스템의 개발 및 유지보수와 자료를 관리하는 정 보화분야 담당자들과 국방정보시스템 개발 사업경험을 가진 주요 SI업체의 국방사업팀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2011년 9월 19부터 10월 7일까지 3주간에 걸쳐 실시하였다.

기반체계 아키텍처 개발을 위한 MND-AMM 개선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MND-AMM for the expanded application to the architecture development of infra systems)

  • 윤태훈;김의환
    • 시스템엔지니어링학술지
    • /
    • 제11권1호
    • /
    • pp.25-31
    • /
    • 2015
  • Under the relevant regulations, it is required to develop a system architecture for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fra system ; however, the national defense architecture development guides and MND-AF, which provide the instructions on th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a system architecture, are still limited to the ITA level and merely providing the guidelines for developing the information system centric architecture. Thus, it is evident that we need a suitable architecture development methodology that corresponds to the growing needs for the communication infra system architecture, as well as the general weapon system architecture. Improving a meta-model is the core of improving a architecture framework. It determines a contents of a architecture and it influences a efficiency and a effectiveness of a architecture. The meta-model of the architecture framework must reflect concerns of various stakeholders and provide a traceability among them. Also, it should be easy to develop and use the architecture by securing the feasibility of the logical relationships and eliminating the duplication of the data inside the architecture. It is implemented through the development of the data-centric architecture and achieved through the "Fit-for-purpose" concept.

An Evaluation Framework for Defense Informatization Policy

  • Jung, Hosang;Lee, Sangho
    • Journal of Multimedia Information System
    • /
    • 제7권1호
    • /
    • pp.73-86
    • /
    • 2020
  • The well-known sentence, "You can't manage what you don't measure" suggests the importance of measurement.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MND) in Korea is measuring the effort of informatization for various dimensions such as validity, adequacy, and effectiveness using the MND evaluation system to obtain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s from informatization. MND views the defense informatization domain as divided into the defense informatization policy, the defense informatization project, and the defense informatization level, which can measure the informatization capability of the MND and the armed forces or organizations. Furthermore, it feels there is some limitation, such as those related to ambiguity and reliability, present in the system. To overcome the limitations in the existing system to evaluate the defense informatization policy, this study proposes a revised evaluation framework for the policy of defense informatization, its indicators, and measurement metho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