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MP-2/9

검색결과 627건 처리시간 0.033초

Effect of Matrix Metalloproteinases-2 and -9 during IVC-2 on the Development Competence and Gene Expression Profile of Bovine In Vitro-Produced Embryos

  • Lee, Kyeong-Lim;Bang, Jae-Il;Ha, A-Na;Fakruzzaman, Md.;Min, Chan-Sik;Kong, Il-Keun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01-109
    • /
    • 2014
  • Matrix Metalloproteinases (MMP)-2 and -9 are participated in embryo development, implantation, remodeling of epithelial cell and ovulati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an impact of MMP2 and MMP9 on embryonic developmental competence as well as gene expression profiles of in vitro-produced bovine embryos. After in vitro fertilization, embryos of all groups were transferred into IVC-2 medium treated with MMP2 and MMP9 to check the optimum concentration on the basis of embryo development competence and cell numbers. The optimum concentrations for MMP2 and 9 were 1,200 ng/ml and 300 ng/ml. The blastocyst development competence was not different among 1,200 ng/ml of MMP2 vs. 300 ng/ml of MMP9 vs. combined MMP2 + 9 vs. control groups ($41.46{\pm}10.66$ vs. $37.73{\pm}8.92$ vs. $45.11{\pm}11.41%$ vs. $41.59{\pm}11.88$, respectively). Furthermore, the developmental competences to hatching and hatched blastocysts were not also different among the same groups ($79.84{\pm}12.63$ vs. $83.3{\pm}17.46$ vs. $78.55{\pm}14.48%$ vs. $72.02{\pm}14.09$). In addition, total cell number was significantly (p<0.05) greater in blastocyst treated with MMP9 300 ng/ml among all treatment groups.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ICM vs. TE ratio in all groups. The expression of five out of six genes (i.e., MMP2, MMP9, IFNt, SSLP1 and HNRNPA2B1) was different among the groups. The expression of IFNt and HNRNPA2B1 genes was significantly greater in MMP9 (p<0.05), but there was no difference of MMP9 expression between MMP2 and MMP9 group (p>0.05). The normalized expression of MMP2 and SSLP1 was greater in MMP2 than other groups (p<0.05). In conclusion, MMPs treatment during IVC-2 medium was remarkably effected on blastocyst developmental competence and gene expression profiles that are related to embryo quality and implantation.

1년간 금연이 미치는 치은열구액 내 치주염 바이오마커 변화: 사례연구 (Influence of Smoking Cessation on Periodontal Biomarkers in Gingival Crevicular Fluid for 1 Year: A Case Study)

  • 황수정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525-536
    • /
    • 2014
  • 2009년 9월부터 2010년 2월까지 대전 서구보건소, 서구 관저보건지소, 건양대학교 금연클리닉에 자발적으로 참여하고 연구에 동의한 금연대상자들을 기초시점, 2주차, 2개월, 4개월, 6개월, 12개월 시점에 추구조사하고, MMP-8, MMP-9, IL-$1{\beta}$의 농도를 ELISA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중 1년간 금연에 성공한 11명의 치은열구액내 변화사례를 관찰한 결과, 1. 각 대상자의 치은열구액내 MMP-8, MMP-9, IL-$1{\beta}$ 변화는 대상자에 따라 각기 다른 파동성을 보였다. 2. 금연기간 동안 치은열구액 내 MMP-8의 변화 경향은 5명의 대상자가 감소하였고 2명의 대상자가 증가하였으며, 4명의 대상자가 유지되었다. MMP-9의 변화 경향은 6명의 대상자가 감소, 2명의 대상자가 증가, 3명의 대상자가 유지되었다. IL-$1{\beta}$의 변화 경향은 5명의 대상자가 감소하였고 3명의 대상자가 증가하였고, 3명의 대상자가 유지되었다. MMP-8과 9이 증가되는 경향을 보이는 2명의 대상자는 다른 대상자에 비해 기초시점부터 각 바이오마커의 농도가 상당히 낮은 대상자였으며 증가폭은 다른 대상자에 비해 그 양이 적었다. 본 사례연구를 통해 금연은 치주에 관한 다른 처치 없이도 치은열구액 내 MMP-8, MMP-9, IL-$1{\beta}$ 농도를 감소시키거나 유지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었으나, 연구대상자수의 충분한 확보와 금연 성공률의 향상을 통해 통계분석이 가능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토끼에서 Myocardial Infarction 후 Left Ventricular Remodeling에 대한 Matrix Metalloproteinase의 차단 효과 (The Effect of Matrix Metalloproteinase Inhibitor for Left Ventricular Remodeling after Myocardial Infarction in a Rabbit Model)

  • 김수현;정태은;홍그루;한승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0권5호
    • /
    • pp.329-340
    • /
    • 2007
  • 배경: Matrix metalloproteinase (MMP) 차단은 심근경색 후 좌심실 확장에 대한 가능한 치료 전략으로 대두되고 있다. 선택적 MMP 차단제의 투여가 심근경색 후 초기 단계에 MMP가 대량으로 분비되는 짧은 기간을 차단하는 것이 좋을 것인지, 초기 전체 기간 동안 차단하여야 할 것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토끼를 이용하여 기관 삽관 하에 전신 마취를 하고 흉골 정중절개한 다음 좌전 하행지 관상동맥을 결찰하여 심근경색을 만들었다. 실험군은 3군으로 나누었다. 심근경색 단독(MI only 군)군은 7예, MMP 차단제 5일 투여군(MMPI 5d 군)은 6예, MMP 차단제 9일 투여군(MMPI 9d 군)은 5예이었다. MMP 차단제로는 MMP-2와 MMP-9에 대한 선택적 차단제인 CG2300을 사용하였다. 각 군은 심장초음파도 검사를 4회 시행하였는데, 술 전, 술 후 1주, 2주 및 3주에 하였다. 검사는 2D 심초음파도를 사용하여 EDD, ESD 및 EF를 측정하였다. 술 후 4주에 희생한 토끼의 심장을 western blotting과 zymography를 하여 MMP-2와 MMP-9의 단백질과 활성의 변화를 조사하였고, 경색부위를 병리학적 조직검사를 하였다. 결과: 심초음파도 검사상, MI only군에서는 대체로 술 전에 비하여 술 후 EDD와 ESD가 증가한 추세로 좌심실이 확장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MMP 차단제 9일 투여군에서는 심근경색 단독군과 MMP 차단제 5일 투여군에 비해 좌심실의 확장이 감소한 경향을 보였다. EF는 MMP 차단제 9일 투여군에서 술 후에 술 전과 큰 변동이 없었으며, 다른 군들보다 높은 경향이었다. MMP 단백질의 발현과 활성 변화를 보면, 심근경색 단독군, MMP 차단제 5일 및 9일 투여군 등 3군을 정상 심장군과 비교하였을 때 MMP-2 단백질 발현과 활성 변화는 일어나지 않았다. 그리고 MMP-9의 단백 발현 및 활성은 검출되지 않았다. 병리학적 조직 소견을 보면 심근경색 단독군에서 심한 교원질 침착이 있었다. MMP 차단제 5일 투여군과 9일 투여군에서는 교원질 축적이 감소된 경향을 보였다. MMP 9일 투여군에서는 모세혈관의 수가 증가한 것을 볼 수 있었다. 결론: 관상동맥을 결찰하여 심근경색을 유도하면 술 후 빠른 시간 내에 심실이 확장되며 MMP 차단제를 투여할 경우 심실의 확장이 완화됨을 알 수 있었다. MMP 차단제의 효과는 초기의 대부분 기간을 차단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된다. MMP 차단제가 혈관신생을 증가시켜 심실 재형성을 완화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Correlation of expression and activity of matrix metalloproteinase-9 and -2 in human gingival cells of periodontitis patients

  • Kim, Kyung-A;Chung, Soo-Bong;Hawng, Eun-Young;Noh, Seung-Hyun;Song, Kwon-Ho;Kim, Hanna-Hyun;Kim, Cheorl-Ho;Park, Young-Guk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43권1호
    • /
    • pp.24-29
    • /
    • 2013
  • Purpose: Matrix metalloproteinases (MMPs) are capable of degrading extracellular matrix, and they are inducible enzymes depending on an inflammatory environment such as periodontitis and bacterial infection in periodontal tissue. Gingival inflammation has been postulated to be correlated with the production of MMP-2 and MMP-9.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quantify the expression and activity of MMP-9 and -2, and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between activity and expression of these MMPs in human gingival tissues with periodontitis. Methods: The gingival tissues of 13 patients were homogenized in $500{\mu}L$ of phosphate buffered saline with a protease inhibitor cocktail. The expression and activity of MMP-2 and -9 were measured b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and Western blot analysis, and quantified by a densitometer. For the correlation line,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Systat software package. Results: MMP-9 was highly expressed in all gingival tissue samples, whereas MMP-2 was underexpressed compared with MMP-9. MMP-9 activity increased together with the MMP-9 expression level, with a positive correlation (r=0.793, P=0.01). The correlation was not observed in MMP-2. Conclusions: The expression of MMP-2 and -9 might contribute to periodontal physiological and pathological processes, and the degree of MMP-9 expression and activity are predictive indicators relevant to the progression of periodontitis.

인간 섬유육종세포에서 비쑥 추출물과 유기용매 분획물의 암전이 억제 효과 (Anti-invasive Effect of Artemisia scoparia Halophyte Extract and its Solvent-partitioned Fractions in Human Fibrosarcoma Cells)

  • 김준세;공창숙;심현보;서영완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12호
    • /
    • pp.1100-1109
    • /
    • 2021
  • 염생식물인 비쑥은 식용이 가능한 약용식물로서 살충, 항염, 항콜레스테롤, 해열, 항균 활성 등이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phorbol-12-myristate-13-acetate (PMA)로 자극된 인간 섬유육종 HT-1080 세포에서 5가지 활성검색방법 즉 : gelatin zymography, MMPs ELISA, wound healing assay,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Western blot을 이용하여 비쑥의 조추출물과 그 용매 분획물의 MMP-2와 MMP-9 효소 활성에 대한 저해 효과를 평가하였다. 비쑥 시료들을 메틸렌 클로라이드(MC)와 메탄올(MeOH)로 각각 2번 추출하여 합한 것을 조추출물로 사용하였으며 이 조추출물은 MMP-2와 MMP-9 효소활성에 대해 유의한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 조추출물은 용매극성에 따라 다시 n-hexane, 85% aq.MeOH, n-butanol 및 물 분획층으로 분획되었으며 이렇게 얻어진 4개의 용매 분획물들중에 n-hexane과 85% aq.MeOH 분획이 gelatin zymography와 MMP ELISA assay에서 MMP-2와 MMP-9의 활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또한 wound healing assay, RT-PCR 및 Western blot assay에서 H2O 분획을 제외한 모든 용매 분획물들이 세포 이동, 그리고 MMP-2 및 MMP-9의 mRNA와 단백질 발현을 유의하게 억제하였다.

Sulfolaphane이 lipopolysaccharide (LPS)에 의해 유도된 matrix metalloproteinase-9 (MMP-9)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ulforaphane on LPS-Induced Matrix Metalloproteinase-9 (MMP-9) Expression)

  • 이정태;우경진;권택규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75-280
    • /
    • 2010
  • Sulforaphane은 십자가화 채소에 존재하는 화합물로 항염증, 항암 및 신생혈관 생성의 억제 효과가 알려짐으로써 최근 많은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LPS에 의한 MMP-9 활성 조절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한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sulforaphane이 LPS 유도에 의한 MMP-9 활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조사해 보았다. Raw 264.7 세포에 sulforaphane을 전처리 한 후 LPS를 처리하여 gelatin zymography를 실시해 본 결과, LPS에 의해 유도된 MMP-9 활성 증가가 sulforaphane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됨을 확인 하였다. 또한 RT-PCR과 MMP-9의 luciferase assay를 통한 실험에서 sulforaphane의 MMP-9 억제효과가 전사단계에서 조절됨을 추측 할 수 있었다. MMP-9 promoter 부위에 여러 가지의 전사조절인자 결합부위가 존재한다. 특히 AP-1과 NF-${\kappa}B$가 중요 전사조절인자로 작용하여 MMP-9 발현조절에 관여한다. 본 실험에서 sulforaphane에 의한 MMP-9 억제효과 기전에 이들 전사조절인자들의 중요한 역할을 조사하였다. AP-1과 NF-${\kappa}B$ 결합부위를 변형 시킨 vector를 transfection하여 MMP-9의 promoter 활성을 측정한 결과, 정상 vector에 비해 그 활성도가 현저히 떨어짐을 확인하였고, LPS에 의해 증가되는 AP-1과 NF-${\kappa}B$의 basal promoter 활성 또한 sulforaphane에 의해 감소됨을 관찰 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sulforaphane의 MMP-9 활성억제효과는 AP-1과 NF-${\kappa}B$와 같은 전사인자들이 MMP-9의 전사를 조절함으로써 일어나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sulforaphane은 세포의 invasion능력 또한 효과적으로 억제시킴을 관찰 할 수 있었는데 이는 MMP-9 활성억제효과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추측 할 수 있었다.

가는갯능쟁이(Atriplex gmelinii) 추출물과 용매분획물의 MMP-2와 MMP-9 활성 저해효과 (Inhibition of MMP-2 and -9 by Crude Extracts and Their Solvent-partitioned Fractions from the Halophyte Atriplex gmelinii)

  • 박민정;김준세;공창숙;서영완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41권2호
    • /
    • pp.79-88
    • /
    • 2019
  • In this study, the inhibitory effect of Atriplex gmelinii C. A. Mey. against the activity of MMP-2 and MMP-9 secreted from phorbol-12-myristate-13-acetate (PMA)-stimulated HT-1080 cells was evaluated by gelatin zymography and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chain reaction (RT-PCR), and Western blot assay. Specimens of the halophyte A. gmelinii were extracted twice for 24 hr with methylene chloride ($CH_2Cl_2$), and then twice with methanol (MeOH), in turn. Each extract significantly inhibited the enzymatic activities in gelatin zymography and MMP ELISA kit, and expression of MMP-2 and 9 in mRNA and protein levels. Two crude extracts were combined and then the combined crude extracts were fractionated into n-hexane, 85% aqueous methanol (85% aq.MeOH), n-butanol (n-BuOH), and water ($H_2O$) fractions, according to solvent polarity. Among solvent-partitioned fractions, the 85% aq.MeOH fraction showed the strongest inhibitory effect against MMP-2 and -9 in gelatin zymography and MMP ELISA kit. In RT-PCR, all solvent-partitioned fractions significantly suppressed mRNA expression of MMP-2 and -9. On the other hand, in Western blot assay, all solvent-partitioned fractions except $H_2O$ significantly reduced expression levels of protein. HT 1080 cell migration was most significantly inhibited by the n-BuOH fraction followed by the 85% aq.MeOH and $H_2O$ fract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gmelinii could be used as a potential source to inhibit tumor cell metastasis.

Matrix Metalloproteinase-9 -1562T Allele and its Combination with MMP-2 -735 C Allele are Risk Factors for Breast Cancer

  • Rahimi, Zohreh;Yari, Kheirolah;Rahimi, Ziba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3호
    • /
    • pp.1175-1179
    • /
    • 2015
  • Background: Express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s (MMPs) is up-regulated in human cancers. The aim of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ole of MMP-9 C-1562T polymorphism and its interaction with MMP-2 C-735T polymorphism in susceptibility to breast cancer in a population from Western Iran with Kurdish ethnic background. Materials and Methods: The study sample of 205 individuals consisted of 101 breast cancer patients and 104 healthy subjects. MMP-9 C-1562T and MMP-2 C-735T variants were identified using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PCR-RFLP) method. Results: Among 67.4% of studied patients the breast cancer developed in the third and forth decades of the life. The frequency of MMP-9 T allele was 17.3% in patients and 10.1% in controls. The presence of T allele significantly increased the risk of breast cancer by 1.87-fold [OR=1.87 (95% CI 1.05-3.33, p=0.035)]. The frequency of MMP-9 CT+TT genotype tended to be higher in those patients with a family history of cancer in first degree-relatives (36.8%) than those without a family history (28.3%, p=0.37). We observed an interaction between the MMP-9 -1562 T allele with MMP-2 -735 C allele that significantly increased the risk of breast cancer [OR=1.42 (95% CI 1.02-1.98, p=0.036)]. Conclusions: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d that MMP-9 C-1562T polymorphism alone and in combination with MMP-2 C-735T polymorphism increased the risk of breast cancer that might be a useful biomarker in identifying women at risk of developing breast cancer. Also, this study revealed that in most women from Western Iran breast cancer presents in third and fourth decades of life.

유방암 세포주에서 PMA로 유도된 암세포 침투에 대한 모링가 뿌리 추출물의 억제효과 (Extract of Moringa Root Inhibits PMA-induced Invasion of Breast Cancer Cells)

  • 조현지;장영채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8-13
    • /
    • 2014
  • 여성에게 특히 높은 발병률을 보이는 유방암은 다양한 인자에 의해 암세포 침투와 전이가 발생한다. 그중에서 MMP-9은 유방암에서 높은 발현율을 나타내며, 유방암 세포의 침투와 전이에 주요하게 작용한다. MMP-9은 다양한 성장인자와 사이토카인, PMA 등에 의해 발현이 유도되며 세포 내 자연적으로 발생된 내생적 억제인자인 TIMP-1과 -2에 의해 그 활성 및 발현이 조절된다. MMP-9의 활성 및 발현을 저해하기 위해 사용한 물질은 모링가 추출물로 모링가의 모든 부위가 다양한 질환을 치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연구에서는 대표적으로 모링가씨, 뿌리, 잎, 열매 추출물질을 이용하여 MMP-9의 활성억제 유무를 연구하였으며, MCF-7 세포에서 모링가 뿌리추출물이 MMP-9을 가장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또한 MDA-MB-231을 이용한 비교실험에서도 세포특이성 없이 MMP-9의 활성 및 발현이 모링가 뿌리 추출물에 의해 억제되었고 단백질과 mRNA 발현에서도 동일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뿐만 아니라 암세포 침투실험에서도 모링가 뿌리 추출물에 의해 암세포 침투가 50% 이상 감소 되었으나, TIMP-1과 -2 mRNA 발현은 모링가 뿌리 추출물에 의해 저해되지 않았으므로 모링가 뿌리 추출물이 MMP-9 활성 및 발현 저해를 통해 암세포 침투를 저해시키는 것으로 예상된다. 그리고 MMP-9 활성 및 발현 조절기전을 확인하기 위해 MAP kinase의 인산화를 확인한 실험에서 모링가 뿌리 추출물이 ERK와 JNK의 인산화를 억제시킴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이 실험을 통해 모링가 추출물 중 뿌리 추출물이 MMP-9 활성 및 발현저해에 가장 효과적이며, ERK와 JNK의 인산화 조절을 통해 MMP-9의 활성 및 발현을 직접적으로 조절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염주괴불주머니 분획물의 MMP-2, MMP-9 발현 억제 효과 (MMP-2 and MMP-9 Inhibitory Effects of Different Solvent Fractions from Corydalis heterocarpa)

  • 유가현;카라데니즈 파티;공창숙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11호
    • /
    • pp.980-986
    • /
    • 2021
  • 염주괴불주머니(Corydalis heterocarpa)는 두해살이 풀로 노란 꽃이 피고 염주처럼 잘록한 열매를 맺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우리나라 갯벌에서 서식하는 염생식물로 내건성, 내염성과 같은 독특한 생리적 기전을 가지고 있으며 민간에서 진통 경련 완화 치료제로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항산화, 항염증, 항노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는 염주괴불주머니(Corydalis heterocarpa)을 이용하여 용매분획물(H2O, n-BuOH, 85% aq. MeOH, n-hexane)을 제조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PMA로 유도된 인간 섬유육종세포 HT-1080 세포에서 MMP-2, MMP-9의 발현 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염주괴불주머니 분획물 처리시 TIMP-1 및 TIMP-2를 증가시키면서 MMP-2 및 MMP-9의 mRNA 및 단백질 발현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염주괴불주머니 용매분획물 처리시 MAPKs 신호 전달 경로인 p38, JNK, ERK의 인산화를 억제하여 MMPs 발현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염주괴불주머니의 85% aq. MeOH와 n-hexane 용매분획물에서 MMP-2 및 MMP-9 발현이 효과적으로 억제되어 MMP 억제활성이 높은 물질이 들어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이를 통해 염주괴불주머니의 암 전이 억제 소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