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TM attack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27초

블루투스 Passkey Entry 인증 모드에 대한 MITM 공격과 대응방법 (MITM Attack on Bluetooth Pairing in Passkey Entry Mode and Its Countermeasure)

  • 이재령;최원석;이동훈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5권12호
    • /
    • pp.481-490
    • /
    • 2016
  • 블루투스는 대칭키를 사용하여 암호화 채널을 형성하며 대칭키는 최초 연결 이전에 수행하는 페어링 단계에서 교환된다. 페어링 단계에서 기기인증을 위한 인증 모드는 크게 Just work, Passkey Entry, Out of Band, 그리고 Numeric Comparison 방식으로 구분된다. 지금까지 블루투스 페어링 방식의 중간자 공격(MITM)은 Just work 모드를 대상으로 하거나 인증 모드를 강제로 Just work 모드로 변환한 상태에서 MITM 공격을 수행하였고, 이때에는 인증모드가 변환되었다는 것을 인지하지 못하는 사용자의 부주의가 가정되어야 했다. 본 논문에서는 Secure Simple Pairing, Le Legacy Pairing, 그리고 LE Secure Connection Pairing 방식의 규격을 분석하였고, 각 방식에서 Passkey Entry 모드를 사용하였을 때, MITM 공격이 발생 가능함을 보인다. 또한 제안하는 Passkey Entry MITM 공격 방법은 기존 공격방법과 달리 인증 모드의 사용자 확인 절차를 바꾸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의 부주의에 대한 가정 사항을 요구하지 않는다. 우리는 제안하는 Passkey Entry MITM 공격을 구현하고 이것이 악용될 수 있는 시나리오와 이를 방어할 수 있는 대응방법을 제시한다.

BLE 네트워크에서 무결성 침해 중간자 공격에 대한 대응기법 (Countermeasure against MITM attack Integrity Violation in a BLE Network)

  • 한혜경;이병문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5권2호
    • /
    • pp.221-236
    • /
    • 2022
  • BLE protocol prevents MITM attacks with user interaction through some input/output devices such as keyboard or display. Therefore, If it use a device which has no input/output facility, it can be vulnerable to MITM attack. If messages to be sent to a control device is forged by MITM attack, the device can be abnormally operated by malicious attack from attacker. Therefore, we describes a scenario which has the vulnerabilities of the BLE network in this paper and propose countermeasure method against MITM attacks integrity violations. Its mechanism provides data confidentiality and integrity with MD5 and security key distribution of Diffie Helman's method.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countermeasure method proposed in this paper, we have conducted the experiments. ​As experiments, the message was sent 200 times and all of them successfully detected whether there was MITM attack or not. In addition, it took at most about 4.2ms delay time with proposed countermeasure method between devices even attacking was going on. It is expected that more secure data transmission can be achieved between IoT devices on a BLE network through the method proposed.

MITM 공격과 리버스 엔지니어링을 이용한 OTP 적용환경의 취약점 연구 (A study on the vulnerability of OTP implementation by using MITM attack and reverse engineering)

  • 강병탁;김휘강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83-99
    • /
    • 2011
  • OTP (One Time Password) 인증방식은 국내 금융거래나 포털 및 온라인게임과 같은 인터넷 서비스에서 계정보안을 위한 수단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OTP 는 국내 금융 거래 시 1등급 보안수단으로 지정될 만큼 보안성을 인정받고 있으나, OTP 인증을 구현한 서비스를 대상으로 한 다양한 해킹 방법들 역시 존재한다. 이러한 해킹 방법들은 대부분 OTP 알고리즘 자체의 결함을 찾아내어 공격하기보다는 OTP 인증방식을 구현한 방식이나 환경에 따라 발생 가능한 취약점을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 논문에서는 MITM (Man-in-the-Middle) 공격과 같이 기존에 알려져 있던 OTP 기반 인증방식을 대상으로 한 해킹기법 및 리버스 엔지니어링(Reverse Engineering)을 이용한 해킹 방법들에 대해 논의하고, 이에 대한 해결방안을 제시하도록 한다.

SSL MITM 프록시 공격에 대한 효과적 방어방법 (An Effective Protection Mechanism for SSL Man-in-the-Middle Proxy Attacks)

  • 임차성;이우기;조태창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16권6호
    • /
    • pp.693-697
    • /
    • 2010
  • 신용카드 정보나 공인 인증서들이 웹을 통해 전송되어지는 현재 전자상거래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의도와 다르게 클라이언트가 웹 프록시 서버를 경유하게 되거나 프록시 서버의 경로가 변경될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때 전송되는 기밀 정보가 SSL(Secure Sockets Layer) 또는 TLS(Transport Layer Security)프로토콜을 통해 암호화 되어 전송 되어도 프록시 서버에서 인증서 변조를 통하여 계좌번호나 신용카드 비밀번호를 스니핑 당하는 위험에 노출된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사용되고 프록시 정보 변조 해킹에 의해 무방비 상태의 신용카드 결제 보안 시스템에 대해서 분석하고 이를 방지하기 위한 인증 프록시 서버와 프록시 변조 MITM(Man-In-The-Middle) 공격 방지 방법에 대해서 제안한다.

MITM 공격에 안전한 P2P 신뢰전송 메커니즘의 설계 (Designing Reliable P2P Transmission Mechanism Against MITM Attack)

  • 김상춘;권혁찬;나재훈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103-109
    • /
    • 2008
  • 많은 인터넷응용에서 인증 및 메시지 무결성을 제공하기 위해 PKI(Public Key Infrastructure)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리고 몇몇 연구에서는 PKI 기반의 P2P 서비스를 제안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P2P 응용의 경우 P2P의 open, dynamic, heterogeneous, autonomous 한 특성상 PKI의 적용이 어려우며, 특히 국가간 상호운용성을 지원하지 못하는 것도 P2P에의 적용을 현실적으로 어렵게 만든다. 본 논문에서는 PKI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MITM 공격에 안전한 P2P 신뢰전송 메커니즘을 제안한다. 본 메커니즘에서 각 피어는 자신의 공개키/비밀키 쌍을 자체적으로 생성하고 분배한다. 이 경우 MITM(Man in the Middle Attack) 공격에 취약하다는 문제가 있으나, 제안한 메커니즘은 MITM 공격에 대한 안정성을 제공한다. 본 메커니즘은 P2P 기반의 파일공유, IPTV, 분산자원 공유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이 가능하다.

MITM 공격기법을 역이용한 보안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a security system using the MITM attack technique in reverse)

  • 임영우;권중장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1년도 제63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9권1호
    • /
    • pp.79-80
    • /
    • 2021
  • 본 논문은 MITM 공격기법을 역이용한 네트워크 보안 기술 및 구현 방안을 제시한다. MITM(Man In The Middle) 공격은 통신 경로 중간에 개입하여 양 단간의 통신 내용을 가로채거나 행위 제어를 수행하는 전통적인 해킹 방법으로 그 공격 기법을 역이용하여 네트워크 공격을 방어하는 보안기술 및 시스템 구현에 대해 기술한다. Linux 시스템을 이용하여 ARP Poisoning을 통해 양단간 통신 트래픽에 개입하며, Netfilter 및 Suricata를 이용하여 Network IDS/IPS 및 Firewall을 구현하였고, Contents 필터링 및 Anti-Virus 구현이 가능하며, 여러 기능을 확장하여 UTM(Unified Threats Management)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 PDF

Implementation of a security system using the MITM attack technique in reverse

  • Rim, Young Woo;Kwon, Jung Ja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6호
    • /
    • pp.9-17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기존 네트워크의 물리적인 구조 및 구성을 변경하지 않고 네트워크 보안을 도입할 수 있는 방안으로 "Man In The Middle Attack" 공격 기법을 역이용함으로, Single Ethernet Interface만으로 가상 네트워크 오버레이를 형성하여 논리적인 In-line Mode를 구현하여 외부의 공격으로부터 네트워크를 보호하는 초소형 네트워크 보안 센서와 클라우드서비스를 통한 통합관제 방안을 제안한다. 실험 결과, Single Ethernet Interface만으로 가상 네트워크 오버레이를 형성하여 논리적인 In-line Mode를 구현할 수 있었으며, Network IDS/IPS, Anti-Virus, Network Access Control, Firewall 등을 구현할 수 있었고, 초소형 네트워크보안센서를 클라우드서비스에서 통합관제하는 것이 가능했다. 본 논문의 제안시스템으로 저비용으로 고성능의 네트워크 보안을 기대하는 중소기업에 도움이 되고 또한, IoT 및 Embedded System 분야에 안전·신뢰성을 갖춘 네트워크 보안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고속의 안전한 Proxy Mobile IPv6 인증 메커니즘 (The Fast and Secure Authentication Mechanism for Proxy Mobile IPv6)

  • 박창섭;강현선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11-24
    • /
    • 2012
  • Proxy Mobile IPv6(PMIPv6)의 이동성 지원을 위한 시그널링 메시지에 대한 적절한 보호대책 없이는 Mobile IPv6 (MIPv6)에서와 마찬가지로 리다이렉트(redirect) 공격, MITM(Man-In-The-Middle) 공격, 재생(replay) 공격, DoS(Denial of Service) 공격 등과 같은 다양한 보안공격에 노출된다. 본 논문에서는 PMIPv6와 관련한 기존의 인증기법에 대한 연구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PMIPv6에 적용가능한 신속하고 안전한 인증 메커니즘을 새로이 제안한다. 또한 제안기법과 기존연구의 비교를 통해 제안기법이 안전성과 효율성 측면에서 우수함을 보인다.

보안성 강화를 위한 블록체인기술의 활용과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Security Enhancement for the Use and Improvement of Blockchain Technology)

  • 유승재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23권1호
    • /
    • pp.63-68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블록체인 프로토콜과 네트워크 보안에 관련해서 MITM공격 및 DoS/DDoS 공격 등에 강한 대응수준을 갖출 수 있도록 블록체인 구성과 스마트 컨트랙트 상의 암호화 키 관리 방안과 에 대해 연구한다. 암호화 통신 프로토콜과 인증강화를 통한 중간자 공격(MITM)등의 데이터보안 위협에 대응, 노드간의 로드밸런싱과 분산화 된 방식으로 DDoS 공격 대응, 안전한 코딩과 취약점 검사, 안전한 합의알고리즘에 의한 스마트 컨트랙트 보안 강화, 사용자 인증과 권한 부여 강화를 통한 액세스 제어 및 인증, 블록체인 코어 및 노드의 보안성 강화, 기타 블록체인 프로토콜 업데이트 및 보안 강화를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등을 통해 보안성이 강화된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바이오 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시스템 설계 및 구현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User Authentication System using Biometric Information)

  • 이형우;박영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3548-3557
    • /
    • 2010
  • 인터넷뱅킹 관련 보안사고가 급증하고 있고 피싱, 파밍 등 수법도 점차 지능화되고 있기 때문에 관련 보안기술 개발이 시급하다. 인터넷 뱅킹 과정에서 온라인 사용자 인증 및 보안 성능을 강화하기 위해 인증서 사용과 함께 일회용 패스워드(One-Time Password: OTP)를 사용토록 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OTP 기술은 MITM(Man-In-The-Middle) 공격에 극히 취약하고 상호 동기화를 맞춰야 한다. 따라서 기존 OTP 기반 시스템의 보안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각 개인이 기본적으로 소유하고 있는 바이오 정보(Biometric Data)를 OTP 방식과 접목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바이오 정보에 변환함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바이오 ID로부터 일회용 바이오 템플릿을 생성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