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P-2

검색결과 265건 처리시간 0.034초

차세대네트워크에서 로컬 및 글로벌 이동성 제공을 위한 향상된 MPLS-MOB 방안 (Improved MPLS-MOB Scheme for Supporting Local and Global Mobility in NGN)

  • 유명주;최성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54-62
    • /
    • 2011
  • 본 논문은 차세대네트워크에서 끊김없는 서비스를 위한 로컬 및 글로벌 이동성 지원 방안을 제안한다. 제안방안은 MPLS LSP(Label Switch Path)를 통한 2.5계층 스위칭을 이용하여 핸드오버 시그널링을 처리하는 기존 MPLS-MOB(Multi Protocol Label Switching-based Mobility Management)에 로컬 이동성 관리 절차를 추가 한다. 제안방안에 의한 성능 향상을 검증하기 위해 M/M/1 수식을 이용하여 기존방안인 MIP, PMIP과 MIP 연동 시나리오 그리고 MPLS 기반 마이크로 이동성 관리 방안들과 제안방안의 핸드오버 지연을 분석하고 비교하였다. 그 결과 제안방안이 기존방안들 보다 더 나은 성능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소청용장(小靑龍湯)이 생쥐의 폐(肺) 대식세포(大食細胞) Cytokine 귀전자(遣傳子)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chungyong-tang on Cytokine Gene Expression in Mouse Alveolar Macrophage)

  • 박인기;심성용;변학성;김경준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17
    • /
    • 2005
  • In many recent studies, molecular biological methods have been used to investigate the role of cytokines in pathogenesis of lung disease.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ochungyong-tang on gene expressions in Mouse Alveolar Macrophage. Fer this purpose, we observed the cytokines ($IL-1{\beta}$, IL-6, IL-10, iNOS, $MIP-1{\alpha},\;MIP-1{\beta},\;MIP-1{\gamma},\;TGF-{\beta},\;TNF-{\alpha}$). We picked the alveolar macrophage out of mice and cultured it. We analyzed the cytokine gene expression by reverse transcription-PCR.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 1 . Sochungyong-tang showed inhibitory effects on $IL-1{\beta}$ in time and concentration. 2. Sochungyong-tang showed inhibitory effects on IL-6 in time and concentration. 3. Sochungyong-tang showed inhibitory effects on IL-10 in concentration. 4. Sochungyong-tang showed inhibitory effects on iNOS. 5. Sochungyong-tang showed inhibitory effects on $TGF-{\beta}$ in time and concentration. 6. Sochungyong-tang showed on inhibitory effects on $MIP-1{\alpha},\;MIP-1{\beta},\;MIP-1{\gamma}$, $TCF-{\beta}$, $TNF-{\alpha}$. According to above results, it is supposed that Sochungyong-tang has the inhibitory effects on cytokine gene expression in mouse alveolar macrophage and can be usefully applied for curing inflammatory process of lung disease. Advanced studies are required to investigate the cure mechanism of Sochungyong-tang in the future.

  • PDF

Prognostic Significance of Cigarette Smoking in Association with Histologic Subtypes of Resected Lung Adenocarcinoma

  • Yi, Jung Hoon;Choi, Pil Jo;Jeong, Sang Seok;Bang, Jung Hee;Jeong, Jae Hwa;Cho, Joo Hyun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2권5호
    • /
    • pp.342-352
    • /
    • 2019
  • Background: Smokers with lung adenocarcinoma have a worse prognosis than those who have never smoked; the reasons for this are unclear. We aimed to elucidate the impact of smoking on patients' prognosis and the association between smoking and clinicopathologic factors, particularly histologic subtypes. Methods: We reviewed the records of 233 patients with pathologic stage T1-4N0-2M0 lung adenocarcinomas who underwent surgery between January 2004 and July 2015. The histologic subtypes of tumors were reassessed according to the 2015 World Health Organization classification. Results: In total, 114 patients had a history of smoking. The overall survival probabilities differed between never-smokers and ever-smokers (80.8% and 65.1%, respectively; p=0.003). In multivariate analyses, the predominant histologic subtype was an independent poor prognostic factor. Smoking history and tumor size >3 cm were independent predictors of solid or micropapillary (SOL/MIP)-predominance in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moking quantity (pack-years) in patients with SOL/MIP-predominant tumors was greater than in those with lepidic-predominant tumors (p=0.000).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moking quantity between patients with SOL/MIP-predominant tumors and those whose tumors had non-predominant SOL/MIP components (p=0.150). Conclusion: Smoking was found to be closely associated with SOL/MIP-predominance in lung adenocarcinoma. Greater smoking quantity was related to the presence of a SOL/MIP component.

미만성 간질성 폐질환 환자들의 폐포대식세포의 chemokine(MIP-1, IL-8) 분비능에 관한 연구 (Chemokine Secretion From Alveolar Macrophages in Patients with Diffuse Interstitial Lung Diseases(DILD))

  • 김동순;백상훈;임채만;이상도;고윤석;김우성;김원동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3권6호
    • /
    • pp.954-964
    • /
    • 1996
  • 배경: 미만성 간질성 폐질환(DILD)들은 처음에 폐포염(alveolitis) 으로 시작해 섬유화로 진행하여 심한 폐기능장애를 초래하는 질병군들로서 병의 종류에 따라 침윤되는 염증세포들의 종류에 차이가 있다. 근래에 염증세포들의 침윤을 유도하는 화학주유물질들(chemokine)이 많이 발견되었는데 이들은 화학구조에 따라 C-X-C형과 C-C형으로 분류되며, 구조만 다를 뿐 아니라 작용하는 세포도 차이가 있기 때문에 주로 분비되는 화학주유물질의 종류에 따라 폐포염의 종류가 결정이될 가능성이 많다. 이에 연구자들은 폐포염과 화학주유물질과의 연관성 및 폐포대식세포 (AM)가 이들 화학주유물질의 주 근원이 되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DILD 환자들에서 cytokine을 분비하여 발병기 전에 주작용을 한다고 알려진 AM 에서의 C-X-C 형 IL-8 과 C-C 형인 MIP- 1 ${\alpha}$ 의 분비 및 BAL액내에서의 이들 화학주유물질들의 농도를 폐포염의 양상을 잘 반영한다고 알려진 BAL 액내 세포양상과 비교분석 하였다. 대상및 방법: 대상은 임상소견과 조직검사로 확진된 lPF 환자 10명, 교원성질환과 연관된 폐섬유증 환자 4명, 폐유육종중 10명과 과민성폐장염 환자 2명, 총 26명과 정상 대조군 7명이었고, 이들에서 BAL을 시행하여 그 세포구성의 변화를 관찰하고, AM을 분리배양하여 그 상청액및 BAL액에서 의 IL-8과 MIP- 1 ${\alpha}$ 의 농도를 ELISA 방법으로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AM 에서의 IL-8 분비는 DILD 환자들에서 $8.15{\pm}4.58$ ng/ml로 정상 대조군 ($1.10{\pm}0.93$ ng/ml)보다 유의하게 (p=0.0003) 증가하였고, AM에서 분비된 IL-8 량은 BAL액내 총세포수와 (r=0.484, p=0.0068), 또 BAL액내 dla파구의 백분률 (r=0.592, p=0.0004)및 임파구의 수효 (r=0.516, p=0.0042), AM의 백분플 (r=-0.505, 0.0032) 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여 주었다. AM에서의 MIP- 1 ${\alpha}$ 분비는 DILD환자군에서 ($2.41{\pm}1.45$ ng/ml) 정상인보다 ($0.63{\pm}0.30$ ng/ml, p=0.0031)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나, MIP- 1 ${\alpha}$ 의 분비량은 BAL액내 총세포수와 r=0.368, p=0.0456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AM의 수효와 연관이 있는 경향을 (r=0.356, p=0.0579) 보어 주었을 뿐이었다. BAL 액내의 IL-8 농도는 DILD 환자군에서 ($40.4{\pm}34.5$ pg/ml)로 정상인의 $3.90{\pm}2.47$ pg/ml보다 높았고 (p=0.0094), IL-8 농도와 BAL 액내 총 세포수(r=0.484, p=0.0068), AM의 백분율(r=-0.505, p=0.0032), 임파구의 백분율 (r=0.592, p=0.0004) 및 임파구의 수효 (r=0.516, p=0.0042) 와 좋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IL-8 이 폐내 침윤된 염증세포의 종류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시사하였다. 그러나 BAL액내 MIP- 1 ${\alpha}$ 의 농도는 정상인과 차이가 없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IL-8과 MIP- 1 ${\alpha}$ 모두가 DILD의 발병기전에 작용하나, IL-8 이 폐포염의 양상을 결정하는데 더 중요한 역한을 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 PDF

폐암의 정위적체부방사선치료시 호흡 움직임에 따른 3D 선량 측정평가 (A study to 3D dose measurement and evaluation for Respiratory Motion in Lung Cancer Stereotactic Body Radiotherapy Treatment)

  • 최병걸;최창헌;윤일규;양진성;이동명;박주미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59-67
    • /
    • 2014
  • 목 적 : 폐암의 정위적체부방사선치료시 실제 적용하고 있는 최대강도투사(MIP) 영상과 호흡위상별(0~90%)영상에서 3차원적으로 재구성된 선량 분포 차이를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본원에서 정위적체부방사선치료를 시행한 비소세포성 폐암(NSCLC) 환자 5명을 대상으로 4차원 전산화단층영상을 시행하여 10개의 호흡위상별 영상을 획득한 후 최대강도투사 영상을 재구성하여 각 호흡위상별 치료계획을 수립하였고, 2차원 이온전리함과 선량분석프로그램 COMPASS(IBA dosimetry, Schwarzenbruck, Germany)을 이용하여 3차원적으로 재구성된 선량분포를 측정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치료계획 선량분포와 실제 측정 선량분포의 일치성 여부 및 최대강도투사 영상과 호흡위상별 영상에서 선량 분포의 차이를 정량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 최대강도투사 영상 및 호흡위상별 영상에서의 선량분포의 일치성을 알아보기 위한 감마분석 통과율은 대상 환자 모두 99%이상으로 평가기준을 만족 시켰으며, 각각의 환자들에 대한 최대강도투사 영상과 호흡위상별 영상에서 재구성된 선량의 HI(Homogeneity Index) 차이의 평균은 -0.03~0.04로 크지 않았으며, PTV(Planning Target Volume)의 Dmax 차이는 평균 3.30 cGy, 척수는 평균 40 cGy, 양측 폐, 우폐, 좌폐의 $V_{20}$, $V_{10}$, $V_5$ 차이는 평균 -0.04~2.32% 차이를 나타내었다. 또한 모든 환자에 대한 최대강도투사 영상과 호흡위상별 영상에서 재구성된 선량의 HI 차이의 평균은 -0.03~0.03로 크지 않았으며, PTV의 Dmax 차이의 평균은 10% 영상에서 가장 차이가 작았고, 70% 영상에서 가장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척수의 Dmax차이의 평균은 50% 영상에서 가장 차이가 작았고, 0% 영상에서 가장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폐 $V_{20}$, $V_{10}$, $V_5$의 차이의 평균은 호흡위상별로 일정한 경향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결 론 : 본 연구를 통해 최대강도투사 영상과 각 호흡위상별 영상에서 측정되어 3차원적으로 재구성된 선량분포차이는 일정한 경향을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특정 호흡위상에서 선량 분포 차이가 상이한 경우를 볼 수 있었다. 종양의 위치 및 호흡 움직임이 유사한 대상환자군을 선정하여 체계적인 연구를 통해 데이터화 하게 되면 폐와 같이 움직임이 큰 장기의 정위적체부방사선치료시 특정 호흡위상에서 획득한 영상에서의 치료계획이 실제 치료에 적용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적합성 여부를 판단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사료된다.

사용자 선호에 기반한 효율적 최대 휘소 가시화 알고리즘의 선택 방법 (Algorithm Selection Method for Efficient Maximum Intensity Projection Based on User Preference)

  • 한철희;계희원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87-97
    • /
    • 2018
  • Maximum intensity projection (MIP) is a common visualization technique in medical imaging system. A typical method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MIP is empty space leaping, which skips unnecessary area. This research proposes a new method to improve the existing empty space leaping. In order to skip more regions, we introduce a variety of acceleration strategies that use some tolerance given by the user to take part in image quality loss. Each proposed method shows various image quality and speed, and this study compares them to select the best on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it is most efficient to add a constant tolerance function when the image quality required by the user is low. Conversely, when the user required image quality is high, a function with a low tolerance of volume center is most effective. Applying the proposed method to general MIP visualization can generate a relatively high quality image in a short time.

열처리 공정의 생산스케줄 수립과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eat-Treatment Process Scheduling for Heavy Forged Products using MIP)

  • 최민철
    • 경영과학
    • /
    • 제29권2호
    • /
    • pp.143-155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ormulate and solve the scheduling problem to heat-treatment process in forging process and apply it to industries. Heat-treatment is a common process in manufacturing heavy forged products in ship engines and wind power generators. Total complete time of the schedule depends on how to group parts and assign them into heat furnace. Efficient operation of heat-treatment process increases the productivity of whole production system while scheduling the parts into heat-treatment furnace is a combinatorial problem which is known as an NP-hard problem. So the scheduling, on manufacturing site, relies on engineers' experience. To improve heat-treatment process schedule, this study formulated it into an MIP mathematical model which minimizes total complete time. Three methods were applied to example problems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to each other. In case of small problems, optimal solutions were easily found. In case of big problems, feasible solutions were found and that feasible solutions were very close to lower bound of the solutions. ILOG OPL Studio 5.5 was used in this study.

Involvement of MAPK activation in chemokine or COX-2 productions by Toxoplasma gondii

  • Kim Ji-Young;Ahn Myoung-Hee;Song Hyun-Ouk;Choi Jong-Hak;Ryu Jae-Sook;Min Duk-Young;Cho Myung-Hwan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44권3호
    • /
    • pp.197-207
    • /
    • 2006
  • This experiment focused on MAPK activation in host cell invasion and replication of T. gondii, as well as the expression of CC chemokines, MCP-1 and $MIP-1\alpha$, and enzyme, COX-2/prostaglandin $E_2(PGE_2)$ in infected cells via western blot, $[^3H]-uracil$ incorporation assay, ELISA and RT-PCR. The phosphorylation of ERK1/2 and p38 in infected HeLa cells was detected at 1 hr and/or 6 hr postinfection (PI). Tachyzoite proliferation was reduced by p38 or JNK MAPK inhibitors. MCP-1 secretion was enhanced in infected peritoneal macrophages at 6 hr PI. $MIP-1\alpha$ mRNA was increased in macrophages at 18 hr PI. MCP-1 and $MIP-1\alpha$ were reduced after treatment with inhibitors of ERK1/2 and JNK MAPKs. COX-2 mRNA gradually increased in infected RAW 264.7 cells and the secretion of COX-2 peaked at 6 hr PI. The inhibitor of JNK suppressed COX-2 expression. $PGE_2$ from infected RAW 264.7 cells was increased and synthesis was suppressed by PD98059, SB203580, and SP600125. In this study, the activation of p38, JNK and/or ERK1/2 MAPKs occurred during the invasion and proliferation of T. gondii tachyzoites in HeLa cells. Also, increased secretion and expression of MCP-1, $MIP-1\alpha$, COX-2 and $PGE_2$ were detected in infected macrophages, and appeared to occur via MAPK signaling pathways.

함정 가동률 최대화를 위한 선석할당문제 (A Berth Allocation Problem to Maximize the Available Rate of Naval Vessels)

  • 원현식;안태호;이상헌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19-27
    • /
    • 2009
  • 본 논문은 군항에서의 선석할당문제(BAP)를 다루고 있다. 일반적으로 민간선박이 컨테이너 부두에서 컨테이너 적 하역 작업을 주로 하는 반면에 해군함정은 긴급수리, 무장적재, 유류수급 등 다양한 서비스를 필요로 한다. 또한 해군함정은 제한된 부두의 능력과 설비 때문에 민항에선 거의 일어나지 않는 잦은 선석이동을 해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전시상황 하에서 여러 해군함정이 필요한 서비스를 받기 위해 부두에 입항 시 입항하는 모든 함정이 최단시간 내 요구 서비스를 모두 마치고 다시 전비태세를 유지토록 서비스 완료시간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즉, 부두에 계류중인 함정 수의 최소화를 통하여 해상에서 교전 가능한 함정의 수를 최대화하는 것이다. 제시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혼합정수계획법(MIP)으로 수리모형을 작성하였고 ILOG CPLEX 11.0을 이용해서 최적해를 산출하였다. 연구결과는 수리모형에 의한 선석할당이 불필요한 선석이동을 최소화하고 전시 교전에 참가할 수 있는 함정 수를 더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결과를 나타낸다.

Fusion & Maximum Intensity Projection 3D 재구성 영상에서 Region Cut Subtraction의 유용성 (Usefulness of Region Cut Subtraction in Fusion & MIP 3D Reconstruction Image)

  • 문아름;지용기;최성욱;이혁;이규복;석재동
    • 핵의학기술
    • /
    • 제14권1호
    • /
    • pp.18-23
    • /
    • 2010
  • 최근 PET/CT영상의 발달로 종양의 진단 및 평가를 통해 임상에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특히 PET와 CT를 융합한 Fusion PET/CT영상이나 2차원 PET영상을 3차원 영상으로 재구성한 최대강도영상(Maximum Intensity Projection)은 전체적인 병변을 한눈에 시각화하는 데 유용하게 쓰이고 있다. 하지만 Fusion & MIP 3D 재구성 영상에서 $^{18}F$-FDG의 생리적 배출로 소변이나 요루주머니에 의한 열소가 나타나 병변이 겹쳐져 육안적으로 병변을 구별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변에 의해 나타나는 열소 부위를 제거하여 병변의 분별력을 향상하고자 한다. 2008년 9월부터 2009년 3월까지 내원한 환자 중 PET/CT 검사에서 자궁, 방광, 직장 부위의 질환으로 잔존하는 소변량이 많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장비는 GE사의 Advantage Workstation AW4.3 05 버전 Volume Viewer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분석 방법은 2D PET axial volume 영상에서 제거하고자 하는 region에 ROI를 설정하여 Cut Outside를 선택한 후 coronal volume 영상도 동일한 방법을 적용한다. 다음으로 3D Tools의 threshold 값을 지정하고, Advanced Processing에서 Subtraction을 선택하여 차집합 방식으로 소변 영상만을 소거한다. 이렇게 Region Cut Subtraction이 된 2D PET영상과 CT영상으로 Fusion영상과 MIP영상을 만들어 Region Cut Subtraction하지 않은 영상과 비교한다. Fusion & MIP 3D 재구성 영상에서 Advantage Workstation AW4.3 05버전의 Region Cut Subtraction으로 환자의 소변이나 요루주머니에 의한 열소 부위를 제거할 수 있었다. Region Cut Definition을 사용한 영상에서 그렇지 않은 영상보다 소변 섭취 때문에 구별이 어렵던 병변과의 경계가 보다 명확하게 재구성되었다. 영상을 재구성하는 과정에서 Region Cut Subtraction을 사용하여 열소 부위를 제거한다면 기존에 사용하던 단순 역치범위 설정에 의한 영상 소거법보다 우수한 진단적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특히 방광, 자궁, 직장 부위 질환의 경우, 판독의와 임상의에게 판독에 보다 유용한 영상 정보를 제공하고, 영상의 질적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라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