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L-STD-188-220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4초

광대역 전술 Ad-hoc Network를 위한 DAP-NAD 가용성에 대한 연구 (Research on the Feasibility of DAP-NAD for Wideband Tactical Ad-hoc Network)

  • 한세원;김병서;안홍영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199-204
    • /
    • 2011
  • 본 눈문은 차세대 전술 통신을 위한 웨이브폼인 WNW(Wideband Network Waveform)하에서의 매체접근 프로토콜로서의 MIL-STD-188-220 프로토콜의 사용 가능성에 대하여 IEEE 802.11e 기반의 프로토콜과의 비교, 모의실험을 통하여 평가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모의실험 평가를 통하여 MIL-STD-188-220 프로토콜의 특정 환경에서 IEEE 802.11e 기반의 프로토콜보다 나은 성능을 보여 줌으로써 사용 가능성을 보인다.

KVMF 전술네트워크에서 링크 품질에 기반한 QoS 향상 방안 (QoS Enhancement Based on Link Quality in Tactical Data Link of KVMF)

  • 권구형;정현숙;임원기;윤영득;김상수;이상진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9C권2호
    • /
    • pp.139-150
    • /
    • 2014
  • 본 논문은 NCW를 지원하는 KVMF 전술네트워크 환경에서 송신지와 목적지 사이에 다중경로가 존재할 때, 기존의 MIL-STD-188-220 프로토콜에서 사용하는 DTR 비트를 활용하여 QoS를 향상시킬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MIL-STD-188-220 프로토콜은 경로의 품질을 상대적으로 평가할 수는 있지만, QoS에 맞는 최적의 경로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전송을 완료한 경로의 지연시간, 처리량, 신뢰성을 측정하여 토폴로지 테이블에 반영하고, 경로 선택에 활용하도록 알고리즘을 설계하였다. 제안한 알고리즘은 OPNET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성능을 평가하였으며, 악화된 통신 환경에서 MIL-STD-188-220에 비하여 성능이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전투 무선망에서 다중 홉 전송을 위한 향상된 DAP-NAD 기법 (An Enhanced DAP-NAD Scheme for Multi-Hop Transmission in Combat Net Radio Networks)

  • 정종관;김종연;노병희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7C권10호
    • /
    • pp.977-985
    • /
    • 2012
  • 최근 많은 국가들이 NCW (Network Centric Warfare)를 구현하는데 기반이 되는 전술 애드 혹 네트워크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통신 프로토콜 개발을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전투 무선망 (CNR, Combat Net Radio)은 육군의 보병과 같은 지상군에 있어 가장 중요한 통신 기반망이다. 미군은 전투 무선망에서 음성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해 MIL-STD-188-220D을 개발하여 운용 중에 있다. 한국군의 차기 무전기인 전술 다대역, 다기능 무전기(TMMR)의 MAC 프로토콜의 후보인 MIL-STD-188-220D은 여러 제한사항이 존재한다. MIL-STD-188-220D에 정의된 DAP-NAD는 충돌회피를 위해 시간 동기를 필요로 하지만, 1홉을 벗어난 다중 홉의 환경에서는 시간 동기를 맞추기 어렵다. 다중 홉 환경에서 충돌을 방지하여 지연을 방지하는 향상된 DAP-NAD를 제안하였으며, 모의실험을 통하여 다중 홉 전투 무선망 환경에서 제안기법의 성능이 향상되는 것을 보였다.

MIL-STD-188-220C 기반 전술 무선 이동 Ad-Hoc 망에서 1-hop내 데이터 트래픽 감소 방법 (1-hop Data Traffic Reduction Method in Tactical Wireless Mobile Ad-Hoc Network based on MIL-STD-188-220C)

  • 유지상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5-24
    • /
    • 2008
  • The data delivery confirmation method of MIL-STD-188-220C, which is a tactical wireless mobile Ad-Hoc communication protocol, is that a source node requires the end-to-end ack from all destination nodes and the data-link ack from 1-hop neighboring destination nodes and relaying nodes, regardless of the hop distance from a source node to destination nodes. This method has the problem to degrade the whole communication network performance because of excessive data traffic due to the duplicate use of end-to-end ack and data-link ack, and the collision among end-to-end acks on the wireless network in the case of confirming a data delivery within an 1-hop distanc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is paper has proposed the method to perform the data delivery confirmation with the improvement of communication network performance through the data traffic reduction by achieving the reliable data delivery confirmation requiring the only data-link ack within an 1-hop distance. The effects of the proposed method are analyzed in the two aspects of the data delivery confirmation delay time and the data delivery confirmation success ratio.

MIL-STD-188-220기반 무선네트워크의 CSMA 성능분석 (A Performance Analysis of CSMA in Wireless Networks Based on MIL-STD-188-220)

  • 서난솔;주재우;장동운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7C권11호
    • /
    • pp.1129-1137
    • /
    • 2012
  • 전술데이터링크체계의 무선네트워크(이후 무선링크로 언급)는 전술자료를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 있도록 디지털화된 전술통신 네트워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무선링크의 다중접속방식은 신뢰성 높은 실시간 전술자료의 교환을 위하여 설치 대상 노드의 운용환경에 따라 시분할다중접속방식(T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과 반송파 감지 다중접속방식(CSM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으로 운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기본적으로 TDMA로 설계된 시스템에서 MIL-STD-188-220 기반 CSMA를 운용하고자 할 때 그 운용 가능성을 검증하였으며, 이를 위한 확률적 분석기법을 제안한다. 그리고 실제장비에 기술 구현 후 그 성능을 이론치와 비교 분석하였다.

MIL-STD-220C를 이용한 무전기에서 효율적인 VoIP 통신을 위한 패킷 크기 산출 및 전달 방법 (A method to compute the packet size and the way to transmit for the efficient VoIP using the MIL-STD-188-220C Radio)

  • 한주희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161-167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여러 대의 무전기간에 음성 및 데이터 정보를 원활하게 송수신 해 주는 전술 무선 이동 Ad-hoc 프로토콜인 MIL-STD-188-220C를 이용하여 VoIP통신을 하기 위한 패킷 크기 산출 및 전달 방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먼저 예상 데이터 전송시간을 산출한 후 사용자 입장에서의 VoIP 음성 품질과 무전기에서의 데이터 전송품질 요구수준을 동시에 고려하여 음성 패킷 길이 결정 및 패킷 전달 방법을 제시하였다. 전송 속도가 36Kbps인 무전기에서의 VoIP통신의 경우에는 90ms 재전송 패킷과 90ms 샘플링 패킷을 모아 짧은 프레임으로 전송하는 방법이 효율적이고, 36Kbps 이상의 경우에는 샘플링 패킷들을 1초 이상 모아서 전송 후 필요에 따라 재전송을 요청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었다.

  • PDF

MIL-STD-188-220의 R-NAD 처리율 분석 (Throughput Analysis of R-NAD in MIL-STD-188-220)

  • 김상수;구성모;임재성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561-568
    • /
    • 2014
  • The Republic of Korea Army is using R-NAD of MIL-STD-188-220 as a Media Access Control protocol. Under urgent situations, almost all stations transmit data frames and then the network will reach a saturation state. Several articles have been devoted to the study of R-NAD performance. However, most of them focus on comparing the performance of some NADs using network simulation tools. We propose an analytical model to compute the throughput of R-NAD under the assumption of a network traffic saturation. Analytical results were verified by Monte Carlo methods. We have shown that the performance of a success probability and an average idle time remains almost unchanged as the total number of stations increases. We have also shown that Type 1/2/4 operation mode outperforms Type 3 operation mode in throughpu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ystem with a squelch detection achieved a better performance than the one without it. The longer DATA time had a higher throughput.

Ack 응답을 이용한 MIL-STD-188-220의 중계전송 성능향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lay Enhancing Method of MIL-STD-188-220 using ACK Reply in CNR Network)

  • 최영민;성보현;윤종택;김영호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635-642
    • /
    • 2012
  • The Packet radio C2OTM(Command and Control On The Move) for Command, Control and situational awareness in communication environment of current Combat Net Radio Network is required in a relay transmission techniques. This is to assure the reliability of information transfer, and extend Wireless Coverage and overcome Communication obstacles of mountainous terrain. For the reliability of information transmission in tactical environment, Ad hoc Networking is necessary considering communication environment and an appropriate application of error correction. In this study, We propose a on-demand SDR algorithm that is currently being applied the FEC, Golay, Repetition Code. This enhanced relay transfer uses Ack Reply in tactical operating environment of MIL-STD-188-220 Protocol.

CNR 환경에서 음성/데이터 혼합 운용에 관한 연구

  • 이경규;정도현;윤영득
    •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35-339
    • /
    • 2007
  • CNR(Combat Network Radio)는 전장에서 사용하는 라디오이다. 현재 군에서는 CNR을 이용한 MIL-STD-188-220 프로토콜을 적용하여 감시/타격체계와 C4I체계간에 연동을 시도하고 있으며, TICN의 TMMR에도 MIL-STD-188-220 프로토콜을 적용하여 상호연동성을 확보하기 위한 시도를 하고 있는 중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감시정찰센서 네트워크"의 군전술통신망 게이트웨이(TCG)를 개발 하면서 군의 CNR 환경에서 가장 중요한 음성과 데이터 혼합 운용을 위해 부대 및 망의 운용 상태를 고려하여 네트워크 파라미터의 최적한 값과 운용방법을 제시 하고자 한다.

  • PDF

Ad-Hoc 전술 무선 통신망에서 데이터 통신 및 토폴로지 갱신 기능 향상을 위한 TEST 프레임 적용 기법 (A TEST Frame Application Technique for Improving Data Communication and Topology Update Function in Ad-Hoc Tactical Wireless Networks)

  • 유지상;백인철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44-54
    • /
    • 2007
  • In the military field, according to the MIL-STD-188-220, which is an Ad-Hoc communication protocol used for sending out or receiving data and voice smoothly among nodes in the situation that wireless communication nodes move arbitrarily, data communication is cut off because nodes can not know topology changes perpetually in the link disconnection state due to node movement in the case that transmitters do not confirm whether data is delivered to receivers or not, and transmit only the data having routine precedence continuously.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we have proposed the technique that makes efficient data communication possible by achieving a rapid topology change detection and link information update using TEST frame. We have analyzed TEST frame application effects in the two aspects of the topology update delay time and the data transmission success rat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