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O

검색결과 59건 처리시간 0.033초

DEEP-South: A New Taxonomic Classification of Asteroids

  • Roh, Dong-Goo;Moon, Hong-Kyu;Shin, Min-Su;Lee, Hee-Jae;Kim, Myung-Jin
    • 천문학회보
    • /
    • 제41권2호
    • /
    • pp.49.1-49.1
    • /
    • 2016
  • Asteroid taxonomy dates back to the mid-1970's and is based mostly on broadband photometric and spectroscopic observations in the visible wavelength. Different taxonomic classes have long been characterized by spectral slope shortward of 0.75 microns and the absorption band in 1 micron, the principal components. In this way, taxonomic classes are grouped and divided into four broad complexes; silicates (S), carbonaceous (C), featureless (X), Vestoids (V), and the end-members that do not fit well within the S, C, X and V complexes. The past decade witnessed an explosion of data due to the advent of large-scale asteroid surveys such as SDSS. The classification scheme has recently been expanded with the analysis of the SDSS 4th Moving Object Catalog (MOC 4) data. However, the boundaries of each complex and subclass are rather ambiguously defined by hand. Furthermore, there are only few studies on asteroid taxonomy using Johnson-Cousins filters, and those were conducted on a small number of objects, with significant uncertainties. In this paper, we present our preliminary results for a new taxonomic classification of asteroids using SMASS, Bus and DeMeo (2014) and the SDSS MOC 4 datasets. This classification scheme is simply represented by a triplet of photometric colors, either in SDSS or in Johnson-Cousins photometric systems.

  • PDF

Ionospheric TEC Monitoring over Jeju Island using the Chinese BeiDou Satellite Navigation System

  • Choi, Byung-Kyu;Lee, Woo Kyoung;Sohn, Dong-Hyo;Yoo, Sung-Moon;Roh, Kyoung-Min;Joo, Jung-Min;Heo, Moon Beom
    • Journal of Positioning, Navigation, and Timing
    • /
    • 제9권1호
    • /
    • pp.1-6
    • /
    • 2020
  • The Chinese BeiDou Satellite Navigation System consists of three kinds of constellations: the geostationary Earth orbit (GEO), the inclined geosynchronous satellite orbit (IGSO), and the medium Earth orbit (MEO). The BeiDou has expanded its service coverage from regional to global. Recently, the BeiDou has been widely used in ionospheric total electron content (TEC) research.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BeiDou signals for ionospheric TEC monitoring over Jeju Island in South Korea. The BeiDou GEO TEC showed a clear pattern of diurnal variations. In addition, we compared the TEC values from the BeiDou GEO, the BeiDou IGSO, GPS, and International GNSS Service (IGS) Global Ionosphere Maps (GIM). There was a difference of about 5 TEC units between the BeiDou GEO and the IGS GIM. This may be due to the altitude difference between the different navigation satellites.

LEOSAR 및 MEOSAR 시스템의 조난신호 탐지시간 해석 (Analysis of the Detection Time of Distress Signal for LEOSAR and MEOSAR Systems)

  • 임상석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377-384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선박이나 항공기 조난에 대비하여 운용 중인 인공위성을 기반으로 하는 수색 및 구조 시스템의 조난신호 탐지시간에 관한 문제를 고려한다. 현재 운용 중인 LEOSAR 시스템은 저궤도 위성을 사용하며 시스템에 속한 위성의 수가 적고 커버리지는 지구전체가 아닌 국지이다. 따라서 조난자의 비컨 신호가 탐지되어 구조본부까지 전달되려면 장시간이 소요된다. 이와 대조적으로 새로 제안된 중궤도 항행위성시스템에 기반한 MEOSAR 시스템을 추가로 도입하는 경우를 가정하면 커버리지가 지구전역으로 확대되고 시스템의 안정도가 개선되어 조난신호 검출 또는 탐지시간이 크게 감소하므로 수색구조 효율이 크게 개선된 결과를 얻는다. 본 논문에서는 비컨에 대한 장애물의 영향을 고려했을 경우에 대하여 LEOSAR 및 MEOSAR 시스템에 대한 조난신호 탐지시간을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계산하고 그 결과를 비교 해석한다.

  • PDF

차세대 위성탑재 컴퓨터의 표준 구조 설계에 관한 개념 연구 (A Conceptual Study on Standard Architecture Design for the Next Generation Satellite OBC)

  • 이윤기;김지훈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1권12호
    • /
    • pp.1018-1024
    • /
    • 2013
  • 저궤도와 정지궤도 위성을 위한 위성 탑재 컴퓨터 (OBC)는 서로 유사한 기능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별도의 구조로 개발되어왔다. 본 논문에서는 OBC의 표준 구조에 대한 개념 연구 결과를 제시하며, 차세대 위성용 OBC를 개발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한다. 제안된 구조는 가변성이 매우 높은 구조이며, 저/중/정지궤도 그리고 달 탐사선/심 우주탐사선에 모두 사용되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현재 개발 진행 중인 표준형 OBC의 개발 현황을 소개한다.

미국자리공(Phytolacca americana L.)의 뿌리에서 추출한 α-spinasterol의 생물활성 검정 (Biological activities of α-spinasterol Isolated from Root of Phytolacca americana L.)

  • 한상미;배기환;최관삼
    • 농업과학연구
    • /
    • 제23권2호
    • /
    • pp.177-181
    • /
    • 1996
  • 미국자리공의 뿌리로 부터 추출한 분획물에 대한 생물활성을 관찰하였다. 그 중 에틸아세테이트 추출 분획물에서 분리한 $\alpha$-spinasterol가 식물의 초기생육에 있어서는 $10{\mu}g/ml$의 낮은 농도에서도 뿌리의 괴사를 유발시킴으로서 식물체 전체에 대한 고사까지 초래하였다 미생물에 대한 생장 억제 효과로서는 Mucor racemosus에 대하여는 그 값이 $200{\mu}g/disk$ 정도로 높은 억제력을 보였다. 그러나, 두종류의 공시된 동물 암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은 미약하였다.

  • PDF

위성 다중임무 수행을 위한 가변길이 의사 잡음 레인징 시스템 (Variable Length Pseudo Noise (PN) Ranging System for Satellite Multiple Missions)

  • 정진우;김상구;윤동원;임원규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0권12호
    • /
    • pp.14-21
    • /
    • 2013
  • 위성 운용 및 우주 탐사 미션에서 레인징은 우주 항행체의 위치 정보를 얻기 위한 가장 필수적인 기술이다. 최근에 우주 탐사 미션의 정교한 수행을 위하여 우주 개발국들 간의 상호 협력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상호 협력을 위하여 우주 개발국간의 상호 호환성을 가지는 레인징 시스템이 요구된다. 이러한 이유로, CCSDS는 디지털 표준 레인징 시스템으로서 의사 잡음 레인징을 권고하고 있다. CCSDS 표준 레인징 시스템에서의 의사 잡음 시퀀스의 길이는 심우주 미션에 적합하며 지구 근접 미션에 적용하기는 매우 길다. 본 논문에서는 저궤도 위성, 중궤도 위성 그리고 정지궤도 위성과 같은 지구 근접 미션에 적합한 짧은 길이의 의사 잡음 레인징 시퀀스를 제안하고, CCSDS 표준 의사 잡음 레인징 시스템을 포함하는 다중임무 수행에 적합한 가변길이 의사 잡음 레인징 시스템을 제안한다.

오픈액세스를 위한 저작권관리시스템 사례 연구를 통한 dCollection 라이선스관리시스템 분석 (Analysis of dCollection License System based on the Case Study of Digital Rights Management System for Open Access)

  • 박미성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255-284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오픈액세스(개방접근) 환경에서의 국내외 저작권관리시스템 사례연구를 토대로 현재 국내 개방접근환경의 기반 마련을 위해 개발 중인 dCollection 라이선스관리시스템을 분석하고 발전과제를 제시하였다. 연구를 위해 첫째, 개방접근의 장벽으로 작용하는 저작권과 라이선스 그리고 저작권관리(DRM)의 기본적인 개념과 기술적 요소를 살펴봄으로 개방형시스템들이 추구하는 이론과 기반 기술들이 어떻게 접목가능한지 이해를 높이고자 했다. 둘째, 개방접근 환경에서 저작권 보호를 위한 다양한 연구 중 해외 사례로 Creative Commons, ROMEO, Dspace시스템 분석과 국내 사례로 경북대학교와 서울대학교의 저작권관리시스템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는 국내 개방접근환경에서 콘텐츠의 저작권보호와 유통활성화를 목적으로 개발 중인 dCollection 라이선스관리시스템 분석을 통해 발전 과제를 제시함으로 국내 상황을 직시하고 미래 발전 방향을 예측해 보고자 한다.

  • PDF

가례시 절차에 따르는 조선후기의 왕실여성 복식연구 (A Study of the Royal Lady's Dress in Late Joseon Dynasty According to the King's Wedding Process)

  • 김소현
    • 복식
    • /
    • 제59권3호
    • /
    • pp.96-108
    • /
    • 2009
  • This study is made on the royal lady's dress In late Joseon dynasty according to the King Heon-jong and Lady Kyung-bin's Wedding Diary in the year of Jung-mi(1847) and summarised as follows: Girls' full dress was a set of a red skirt, a violet undo. jacket, and a light yellow jacket and a green Gyeon-ma-gi(a kind of top jacket) with he. hair Saeng-meo-ri hanging Do-tu-rak-daeng-gi(a kind of hair ribbon). At the big ceremony, girls wore a green Dang-ui instead of Gyeon-ma-gi. A girl picked up as a royal concubine wore a green Won-sam, which was decorated with gilt letters meaning longevity, patched emblems of gilt letter meaning longevity on the breast and on the back, belted with Bong-dae(a red sash with gilt phoenexes), like a princess's full dress. At the Kyung-bin's installation of Crown Princess and her first greeting ceremony with royal elders, she wore a green Won-sam as a formal dress, which had an embroidered emblem of phoenix, the belt with crystal ornaments, Pae-ok(佩玉), Kyu(圭) of blue jade, Shou(綬) with an phoenix. At a Dong-wrae-yun(drinking ceremony after bride and bridegroom's bowing to each other), she wore the embroidered red Jang-sam as a formal dress. Kyung-bin wore a purple Won-sam with Bong-dae as a full dress for a royal feast. According to the occasions, the same dress was differentiated with ornaments and rotors. Ji-keum-bal was an attire for ordinary ceremony. The attire was equipped with a woven gold green Dang-ui with an emblem of phoenix, a blue gilt underskirt and a red gilt overskirt. No-ui was worn as outdoor clothes. Jang-sam was worn by various classes, so it was differentiated with materials and names according to her class.

다중 재난 상황에 적합한 COSPAS-SARSAT 탐색구조 비컨 위치추정 기법 (Beacon Geolocation Scheme of COSPAS-SARSAT System for Heavy Disaster Environment)

  • 김재현;이상욱;신천식;안우근
    •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146-150
    • /
    • 2015
  • COSPAS-SARSAT 위원회에서는 2000년 이후부터 새롭게 발사되는 미국, EU, 러시아의 중궤도 항법위성에 탐색구조 탑재체를 탑재하여 중궤도 탐색구조(MEOSAR) 서비스를 제공키로 결정하였다. 비컨에서 송출되는 조난신호는 비컨 상공의 각 위성들에 각기 다른 도달시간과 도플러 주파수를 가지고 도달하며, 이를 바로 중궤도 수신국(MEOLUT)으로 전달한다. 중궤도 수신국에서는 적어도 3~4개의 위성을 동시에 추적하여 조난신호를 전달받고, 조난신호 간 TDOA(Time Difference of Arrival)와 FDOA(Frequency Difference of Arrival)를 이용하여 비컨의 위치를 추정한다. 그러나 비컨은 임의의 시간에 50초 간격으로 조난신호를 송출하므로, 대형 조난상황에서 비컨 신호가 겹치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고, 겹쳐진 비컨 신호들을 COSPAS-SARSAT에서 개발하고 있는 현재 방식으로 모든 비컨 위치를 추정하는 것은 어렵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CAF MAP 알고리즘을 소개하고, COSPAS-SARSAT 시스템의 성능 요구사항을 만족시킬 수 있도록 MCAF MAP 기법을 제안하고, 그 성능을 나타낸다.

Detection of an Impact Flash Candidate on the Moon with an Educational Telescope System

  • Kim, Eunsol;Kim, Yong Ha;Hong, Ik-Seon;Yu, Jaehyung;Lee, Eungseok;Kim, Kyoungja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32권2호
    • /
    • pp.121-125
    • /
    • 2015
  • At the suggestion of the NASA Meteoroid Environment Office (NASA/MEO), which promotes lunar impact monitoring worldwide during NASA's Lunar Atmosphere and Dust Environment Explorer (LADEE) mission period (launched Sept. 2013), we set up a video observation system for lunar impact flashes using a 16-inch educational telescope at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From Oct. 2013 through Apr. 2014, we recorded 80 hours of video observation of the unilluminated part of the crescent moon in the evening hours. We found a plausible candidate impact flash on Feb. 3, 2014 at selenographic longitude $2.1^{\circ}$ and latitude $25.4^{\circ}$. The flash lasted for 0.2 s and the light curve was asymmetric with a slow decrease after a peak brightness of $8.7{\pm}0.3mag$. Based on a star-like distribution of pixel brightness and asymmetric light curve, we conclude that the observed flash was due to a meteoroid impact on the lunar surface. Since unequivocal detection of an impact flash requires simultaneous observation from at least two sites, we strongly recommend that other institutes and universities in Korea set up similar inexpensive monitoring systems involving educational or amateur telescopes, and that they collaborate in the near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