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MEG3

Search Result 50,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LncRNA MEG3 Regulates Imatinib Resistance in Chronic Myeloid Leukemia via Suppressing MicroRNA-21

  • Zhou, Xiangyu;Yuan, Ping;Liu, Qi;Liu, Zhiqiang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25권5호
    • /
    • pp.490-496
    • /
    • 2017
  • Imatinib resistance has become a major clinical problem for chronic myeloid leukemia.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volvement of MEG3, a lncRNA, in imatinib resistance and demonstrate its underlying mechanisms. RNAs were extracted from CML patients' peripheral blood cells and human leukemic K562 cells, and the expression of MEG3 was measured by RT-qPCR. Cell proliferation and cell apoptosis were evaluated. Western blotting was used to measure the protein expression of several multidrug resistant transporters. Luciferase reporter assa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binding between MEG3 and miR-21. Our results showed that MEG3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imatinib-resistant CML patients and imatinib-resistant K562 cells. Overexpression of MEG3 in imatinib-resistant K562 cells markedly decreased cell proliferation, increased cell apoptosis, reversed imatinib resistance, and reduced the expression of MRP1, MDR1, and ABCG2. Interestingly, MEG3 binds to miR-21. MEG3 and miR-21 were negatively correlated in CML patients. In addition, miR-21 mimics reversed the phenotype of MEG3-overexpression in imatinib-resistant K562 cells. Taken together, MEG3 is involved in imatinib resistance in CML and possibly contributes to imatinib resistance through regulating miR-21, and subsequent cell proliferation, apoptosis and expression of multidrug resistant transporters.

토양에서 분리된 Herbaspirillum sp. meg3의 유전체 염기서열 분석 (Complete genome sequence of Herbaspirillum sp. meg3 isolated from soil)

  • 김예은;도경탁;운노 타쯔야;박수제
    • 미생물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326-328
    • /
    • 2017
  • Betaproteobacteria에 속하는 Herbaspirillum sp. meg3을 제주도 토양으로부터 분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략 5.47 Mb의 크기와 57.1%의 평균 G + C 함량을 가진 meg3 균주의 완전한 유전체를 보고한다. 유전체는 4,816개의 코딩 서열, 9개의 리보솜 RNA 및 51개의 전사 RNA 유전자가 존재하며, 두 개의 불완전한 프로파지 영역이 발견되었다. 또한 유전체 분석 결과는 meg3 균주가 방향족 화합물에 대한 분해능을 가지고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Magnetoencephalography Interictal Spike Clustering in Relation with Surgical Outcome of Cortical Dysplasia

  • Jeong, Woorim;Chung, Chun Kee;Kim, June Sic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52권5호
    • /
    • pp.466-471
    • /
    • 2012
  • Objective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ise an objective clustering method for magnetoencephalography (MEG) interictal spike sources, and to identify the prognostic value of the new clustering method in adult epilepsy patients with cortical dysplasia (CD). Methods : We retrospectively analyzed 25 adult patients with histologically proven CD, who underwent MEG examination and surgical resection for intractable epilepsy. The mean postoperative follow-up period was 3.1 years. A hierarchical clustering method was adopted for MEG interictal spike source clustering. Clustered sources were then tested for their prognostic value toward surgical outcome. Results : Postoperative seizure outcome was Engel class I in 6 (24%), class II in 3 (12%), class III in 12 (48%), and class IV in 4 (16%) patients. With respect to MEG spike clustering, 12 of 25 (48%) patients showed 1 cluster, 2 (8%) showed 2 or more clusters within the same lobe, 10 (40%) showed 2 or more clusters in a different lobe, and 1 (4%) patient had only scattered spikes with no clustering. Patients who showed focal clustering achieved better surgical outcome than distributed cases (p=0.017). Conclusion : This is the first study that introduces an objective method to classify the distribution of MEG interictal spike sources. By using a hierarchical clustering method, we found that the presence of focal clustered spikes predicts a better postoperative outcome in epilepsy patients with CD.

행동활성화 및 행동억제 체계에 대한 뇌전도와 뇌자도 신호 비교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EEG and MEG signals in BAS/BIS)

  • 장승진;신명근;류권규;권혁찬;김원식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71-72
    • /
    • 2009
  • 행동활성화체계(BAS)/ 행동억제체계(BIS)는 서로 독립적이고 구분되는 신경 기저와 작용 방식을 가졌기 때문에 사람들은 이 두 체계에서 각기 독립적인 민감성을 보이리라고 가정할 수 있으며, 개인의 기질이나 성격 특성 및 광범위한 전반적 정서 경험 경향성과도 밀접하게 관련된다고 가정된다. 본 연구에서는 뇌자도(MEG)에서 취득한 신호를 가지고 EEG에서 얻은 신호 및 자기 보고식 질문지를 통한 비교 분석 연구를 수행하였다. 총 9명 (male=6, female=3)을 대상으로 EEG/MEG를 수행한 후 BIS/BAS 질문지를 수행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자기 보고식 질문지와 EEG/MEG와의 상관관계 및 통계분석을 통하여 EEG와 MEG에서 일치성 및 상관성을 살펴보고 향후 성격 및 감성성향 판단 및 분류에 있어서 MEG의 효용성 측면을 살펴보고자 함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 PDF

에틸렌글리콜과 염이 포함된 메탄 하이드레이트의 상평형과 형성 거동 (Phase Equilibria and Formation Behaviors of Methane Hydrate with Ethylene Glycol and Salts)

  • 김동현;박기훈;차민준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8권4호
    • /
    • pp.635-641
    • /
    • 2020
  • 이 연구에서는 에틸렌글리콜과 염이 포함된 메탄 하이드레이트의 상평형과 형성 거동을 측정하였다. 염의 종류로는 염화나트륨(NaCl), 브롬화나트륨(NaBr), 아이오딘화나트륨(NaI)을 이용하였으며, 272~283 K의 온도 범위와 3.5~11 MPa의 압력범위에서 상평형 조건을 확인하였다. 5 wt% NaCl + 10 wt% MEG, 5 wt% NaBr + 10 wt% MEG, 5 wt% NaI + 10 wt% MEG의 순서로 메탄 하이드레이트의 억제 효과가 나타났음을 확인하였다. 에틸렌글리콜과 염이 포함된 메탄 하이드레이트의 형성 거동은 생성유도시간, 가스소모량과 성장 속도를 분석하여 확인하였다. 에틸렌글리콜과 염이 포함된 메탄 하이드레이트의 생성유도시간은 실험 조건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에틸렌글리콜과 염의 첨가는 가스소모량과 성장 속도에 영향을 주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해양퇴적물로부터 분리된 Pseudoalteromonas sp. meg-B1의 유전체 분석 (Draft genome sequence of Pseudoalteromonas sp. meg-B1 isolated from marine sediment)

  • 박수제;박세욱
    • 미생물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280-282
    • /
    • 2018
  • Gammaproteobacteria에 속하는 Pseudoalteromonas sp. meg-B1을 제주도 해양 퇴적물로부터 분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략 4.15 Mb의 크기와 41.2%의 평균 G + C 함량을 가진 meg-B1 균주의 완전한 유전체를 보고한다. 유전체는 3,606개의 코딩 서열, 9개의 리보솜 RNA 및 94개의 전사 RNA 유전자가 존재하며, 한 개의 완전한 프로파지 영역이 발견되었다. 본 유전체는 해양환경에서 생존하기 위한 삼투화합성 용질합성과 관련된 유전자(예, choline dehydrogenase)들이 확인되었다.

Cigarette Smoke Extract-Treated Mouse Airway Epithelial Cells-Derived Exosomal LncRNA MEG3 Promotes M1 Macrophage Polarization and Pyroptosis in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by Upregulating TREM-1 via m6A Methylation

  • Lijing Wang;Qiao Yu;Jian Xiao;Qiong Chen;Min Fang;Hongjun Zhao
    • IMMUNE NETWORK
    • /
    • 제24권2호
    • /
    • pp.3.1-3.23
    • /
    • 2024
  • Cigarette smoke extract (CSE)-treated mouse airway epithelial cells (MAECs)-derived exosomes accelerate the progression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by upregulating triggering receptor expressed on myeloid cells 1 (TREM-1); however, the specific mechanism remains unclear. We aimed to explore the potential mechanisms of CSE-treated MAECs-derived exosomes on M1 macrophage polarization and pyroptosis in COPD. In vitro, exosomes were extracted from CSE-treated MAECs, followed by co-culture with macrophages. In vivo, mice exposed to cigarette smoke (CS) to induce COPD, followed by injection or/and intranasal instillation with oe-TREM-1 lentivirus. Lung function and pathological changes were evaluated. CD68+ cell number and the levels of iNOS, TNF-α, IL-1β (M1 macrophage marker), and pyroptosis-related proteins (NOD-like receptor family pyrin domain containing 3, apoptosis-associated speck-like protein containing a caspase-1 recruitment domain, caspase-1, cleaved-caspase-1, gasdermin D [GSDMD], and GSDMD-N) were examined. The expression of maternally expressed gene 3 (MEG3), spleen focus forming virus proviral integration oncogene (SPI1), methyltransferase 3 (METTL3), and TREM-1 was detected and the binding relationships among them were verified. MEG3 increased N6-methyladenosine methylation of TREM-1 by recruiting SPI1 to activate METTL3. Overexpression of TREM-1 or METTL3 negated the alleviative effects of MEG3 inhibition on M1 polarization and pyroptosis. In mice exposed to CS, EXO-CSE further aggravated lung injury, M1 polarization, and pyroptosis, which were reversed by MEG3 inhibition. TREM-1 overexpression negated the palliative effects of MEG3 inhibition on COPD mouse lung injury. Collectively, CSE-treated MAECs-derived exosomal long non-coding RNA MEG3 may expedite M1 macrophage polarization and pyroptosis in COPD via the SPI1/METTL3/TREM-1 axis.

생명현상 관찰에서 나타나는 인과적 의문 생성의 ERF 특성 : MEG 연구 (ERF Components Patterns of Causal Question Generation during Observation of Biological Phenomena : A MEG Study)

  • 권석원;권용주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3권2호
    • /
    • pp.336-345
    • /
    • 2009
  • 이 연구의 목적은 생명현상 관찰에서 나타나는 인과적 의문 생성 ERF components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인지심리적 방법으로 생명현상 기반의 인과적 의문생성 유발 사진 과제를 개발하였다. 이를 활용해 전기생리적 방법인 MEG(Magnetoencephalography) 두뇌 영상 기기를 이용하여 시계열적 두뇌 처리과정에 기초한 인과적 의문의 ERF(Event Related Fields) 패턴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생명현상 기반의 인과적 의문생성 유발 사진은 과학교육 전문가와 과학교육연구진으로 구성된 인원의 R&D 방식으로 개발되었다. 과제는 생물군 유형에 따라 동물(A, animal), 미생물(M, microbe), 식물(P, plant)과제로 분류 형태를 나누고, 생물 개체 수준의 유형에 따라 개체간 상호작용(i, interaction), 단일 개체(a, all), 개체 일부(p, part)로 구분하여 총 100장에 대한 인과적 의문 유발 사진을 완성하였다. 이후 서울대학병원 MEG 센터팀과의 세미나 과정을 통해 MEG 과제용 패러다임을 개발하고, 과학교육 전공 여자 대학원생 5명(M=26.4, SD=2.30)을 대상으로 인과적 의문생성간 MEG data를 수집하였다. 이를 통해 인과적 의문 유형별 고유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MEG ERF components 분석을 실시하였다. 인과적 의문 생성시 나타나는 ERF components 분석 결과 M1(100~130ms), M2(220~280ms), M3(320~390ms), M4(460~520ms) 총 4개 components 패턴이 발견되었다. M1과 M2의 경우 인과적 의문 사진 과제 제시에 따라 피험자가 관찰하는 동안 보고 되는 것으로 dipole fitting 과정을 통해 두뇌 활성 영역을 확인해 본 것처럼 시각령이 위치하는 후두엽에 걸쳐 확인되었다. M3 components의 경우 인과적 의문에 대한 불확실감을 해소하기 위해 장기기억 저장소로부터 경험 상황을 가지고 오는 귀추의 과정을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이는 이전 경험상황을 분석하는 단계에 해당하며 학생들이 가설을 생성할 때 가장 큰 어려움을 경험하여 교사의 적절한 도움이 요구되는 부분이다. M4 components는 장기 기억 속의 경험 상황에서 인과적 의문에 대한 설명자를 표상하는 단계에 해당하는 것으로 인과적 의문 생성 후 가설을 만드는 전 단계에 해당 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확인된 인과적 의문 생성시 나타나는 MEG ERF components와 latency 시간을 통해 인과적 의문 생성에 어려움을 호소하는 학생들에 대한 개별적 교수 처치와 더불어 고등인지 영역의 ERF 연구의 기초를 마련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 PDF

인지양식에 따른 관찰 특성 분석 : MEG 연구 (Analysis of Observation Characteristics by Cognitive Style : MEG Study)

  • 양일호;이순주;김은애;이소리;권석원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0권8호
    • /
    • pp.1097-1109
    • /
    • 2010
  • 이 연구의 목적은 동일한 관찰 대상을 관찰하여도 관찰자마다 다양한 관찰 결과가 나타나는 원인을 밝히기 위해서 서로 다른 인지양식을 가진 관찰자가 관찰활동을 할 때 나타나는 MEG ERFs 특성을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인지양식을 검사하는 CSA 검사 도구(Riding, 1991)를 기반으로 전체적인 특성을 가진 과제 100개, 분석적인 특성을 가진 과제 100개로 총 200개의 과제를 개발하였으며 MEG 패러다임에 맞추어 오른손잡이 남성 대학생 8명(연령 = $24{\pm}2$)을 대상으로 MEG 촬영을 실시하였다. 이 들은 인지 양식 검사(CSA) (Riding, 1991)에 의해 전체적 인지양식으로 판명된 4명, 분석적 인지양식으로 판명된 4명이다. 연구 결과, 첫째 전체적 인지양식 관찰자 집단이 전체적인 특성을 가진 패러다임과 분석적인 특성을 가진 패러다임을 수행하는 동안 나타난 ERFs components의 특성이 유사하였다. 또한 분석적 인지양식 관찰자 집단도 각각의 패러다임에 대해서 유사한 ERFs components 특성을 나타냈다. 둘째 전체적 인지양식 관찰자 집단과 분석적 인지양식 관찰자 집단의 두드러진 차이점은 M2의 후두 측두 영역활성화에서 전체적 인지양식 관찰자 집단은 우반구가 우세하게 활성화되고 분석적 인지양식 관찰자 집단은 좌반구가 우세하게 활성화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관찰 활동의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의 한 가지가 학습자 변인 중 인지양식이라는 것에 대한 정량적이고 실증적인 증거를 제시하였으며, 전체적 인지양식을 가진 관찰자와 분석적 인지양식을 가진 관찰자는 두뇌에서 시각 정보를 처리하는 과정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연구는 과학적 관찰 활동에 대해서 다음과 같은 교육적 시사점을 줄 수 있다. 첫째, 개별 수준의 관찰 활동은 관찰 대상과 관찰 결과가 편향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개별 수준의 관찰 활동이 이루어진 후에 관찰 결과를 주고 받을 수 있는 과학적 의사소통의 기회가 강조되어야 한다. 둘째, 교사는 학생의 관찰 활동에 대해서 적절한 피드백을 제공해 줌으로서 학생들의 관찰 활동이 객관적이고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안내해야 한다.

해저 유동관내 하이드레이트 형성 방지를 위한 PVCap의 억제효과에 관한 실험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the Inhibition Effect of PVCap to Prevent Formation of Hydrate in Subsea Flowline)

  • 김영민;최준호;이정환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56-64
    • /
    • 2020
  • 해양 가스전의 다양한 생산환경에서 PVCap의 하이드레이트 억제 성능을 평가하고자 PVCap 농도, 과냉각 온도, 염수 농도, MEG 혼합 농도 변화에 따라 하이드레이트 지연시간을 측정하였다. 이를 위해 고압의 하이드레이트 반응 실험 장치를 제작하였으며, 하이드레이트 평형 조건 및 지연시간 측정결과를 선행 실험과 비교함으로써 실험장치의 신뢰성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과냉각 온도 6.1, 9.2, 12.1℃조건에서 PVCap 농도 0.1~1 wt%의 억제 성능을 분석한 결과, 과냉각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PVCap으로 인한 지연시간이 감소하였다. 염수 농도가 3 wt%에서 7 wt%까지 증가하였을 때, PVCap 폴리머 체인의 구조 저하가 발생하여 PVCap 0.5 wt% 조건에서 최대 78%까지 지연시간이 감소하였다. MEG 10 wt%와 PVCap을 혼합한 HHI(hybrid hydrate inhibitor)의 경우, 아억제(under-inhibition) 영향으로 PVCap 1 wt%에 비해 지연시간의 변화가 크지 않았으나, MEG 20 wt%인 HHI에서는 하이드레이트 억제 효율이 1.7배 증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