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AW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3초

Multiloop Edgewise Arch Wire의 응력분포에 대한 광탄성학적 연구 (A PHOTOELASTIC STUDY OF THE STRESS DISTRIBUTION ON THE MULTILOOP EDGEWISE ARCH WIRE)

  • 이승호;김정기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969-982
    • /
    • 1994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stress distribution, intensity and force mechanism derived from the MEAW by photoelastic stress analysis of the artificial teeth and surrounding bone composed of photoelastic material(PL-3)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In case of no elastic on the MEAW with tip back, the moderate stress was observed on the molar and canine area, and the light stress was observed on the other area. 2. In case of the vertical elastic on the plain A.W, and the MEAW without tip back, the great stress was observed on the lateral incisor area, but on the MEAW with tip back, the moderate stress was observed on the anterior area and molar area. 3. In case of the C III elastic on plain A.W., the stress was concentrated on the anterior area hanged by elastic but on the MEAW without tip back, the stress was transmitted equally from the anterior area to the posterior teeth area. On the MEAW with tip back, the great stress was observed on the anterior and molar area. 4. In case of the C III elastic on the plain A.W., the stress was concentrated on the posterior area hanged by elastic but on the MEAW without tip back, the stress was transmitted equally from the posterior area to the anterior area. On the MEAW with tip back, the great stress was observed on the posterior area and the moderate stress was observed on the anterior area.

  • PDF

Multiloop Edgewise Arch Wire의 역학적 해석 (MECHANICAL ANALYSIS ON THE MULTILOOP EDGEWISE ARCH WIRE)

  • 전경민;남동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31-51
    • /
    • 1991
  • This study was designed to survey the stress distributions and deflections which were derived from MEAW by the computer-aided three 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of teeth and surrounding bone composed of 2839 solid elements and 4621 nodes. MEAW model was also made using the 90 beam elements and the results were expressed by quantitative and visible way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In case of vertical load on the MEAW there were extrusions of anterior teeth and upright effects of the posterior teeth. 2. Without applying the vertical elastics on the MEAW there were intrusions of anterior teeth, but relatively mild force was transmitted to the posterior teeth area. Torque forces were observed on the incisors and molars, and canine was intruded without torque. 3. The magnitudes of forces were different by the amounts of tip back bends of MEAW. 4. The displacements were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cross section areas of the wires according to the experiment using the 5 different size arch wires. 5. The difference of deflections between the MEAW and plain arch wire was not so big as the theoretical one but the deflections of MEAW were much more than the plain arch wire in every X, Y, Z direction.

  • PDF

하악 제3대구치 발거 시기가 III급 부정교합의 치료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lower third molar on the treatment of Class III malocclusion)

  • 손명호;장영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394-407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III급 부정교합의 치료 시에 하악 제3대구치의 존재가 하악 치열의 원심 치군 이동(distal en masse movement) 및 치료 기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서울대학교병원 교정과에 내원하여 III급 부정교합으로 진단을 받고, 이에 대한 교정 치료를 받은 36명(남자: 9명, 여자: 27명)을 선택하였다. 모든 환자는 제3대구치 이외의 다른 치아는 발거하지 않았다. 이를 하악 제 3대구치의 발거 시기에 따라 세 군으로 분류하였는데. 제1군은 하악 제 3대구치를 발거하지 않고 MEAW를 사용하여 치료를 종료한 12명이며, 제 2군은 MEAW 적용 후에 하악 제 3대구치를 발거한 8명. 제 3군은 MEAW를 적용하기 전에 하악 제3대구치를 발거한 18명이다 각 환자들에 대하여, 전체 치료 기간 및 MEAW 적용 기간을 구하였으며, 치료 전 후의 측모 두부 계측 방사선 사진을 분석하였다. 각 군에 대한 치료 기간 및 치료 전 후의 변화를 ANOVA를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전체 치료 기간은 각 군 사이에 유의성 있는 차이가 없었으나, MEAW를 적용한 기간은 제 2군(MEAW 적용 후에 하악 제3대구치를 발거한 군)에서 가장 길었다. 제3군(MEAW를 적용하기 전에 하악 제3대구치를 발거한 군)에서, 치료 후에 형성된 overjet이 가장 컸다. 제3군(MEAW를 적용하기 전에 하악 제5대구치를 발거한 군)의 경우 치료 후에 IMPA가 감소하였으나, 제1군(하악 제3대구치를 발거하지 않고 치료를 종료한 군)과 제 2군(MEAW 적용 후에 하악 제3대구치를 발거한 군)에서는 IMPA가 증가하였다 제2대구치의 원심 치체 이동량은 세 군 사이에 유의성 있는 차이가 없었으나. 원심 경사 이동량은 세 군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제 2군 제 3군 제 1군의 순이었다. 따라서, MEAW를 적용하기 이전에 하악 제3대구치를 발거하는 것이 III급 부정교합의 교정적 치료에 더 좋을 것으로 판단된다. 제 2군의 경우, 하악골의 전방 회전 결과, 하악 평면각의 감소가 있었으며 이러한 골격 변화가 치료 기간의 연장에 영향을 주었다고 판단된다.

Multiloop edgewise arch wire의 부위별 하중변형률 (Regional load deflection rate of multiloop edgewise archwire)

  • 김병호;양원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673-688
    • /
    • 1999
  • 본 연구는 multiloop edgewise arch wire(MEAW)의 기계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1) 개별 브라켓간 부위에서의 MEAW의 하중변형률을 수종의 재질로 된 동일 규격의 교정용 호선과 비교하고, 2)개별 브라켓간 부위와 multi-L-loop 부위(측절치 브라켓의 원심연과 제2대구치 튜브의 근심연간의 거리)에서의 wire stiffness를 비교하며, 3)단일 L-loop와 multi-L-loop의 하중변형률에 대한 공학적 이론식을 유도하여 MEAW의 하중변형특성을 규명하고자 시행하였다. 5가지의 서로 다른 수평길이를 지닌 L-loop와 5개의 L-loop로 구성된 상하악의 multi-L-loop를 .$016\times.022$ inch의 stainless steel 강선으로 제작하였고, .$016\times.022$ inch의 Plain stainless steel, TML NiTi를 준비하였다. Instron model 4466 만능시험기에 50N 용량의 load cell을 부착하여 crosshead의 속도 1.0min/분, 브라켓간 부위의 시험시에는 최대변위량 1.0mm로 각 브라켓간격에서 측정하였고, multi-L-loop부위의 경우는 최대변위량 10mm, 42mm의 거리에서 측정하였다. 반복된 실험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응력에 따른 물리적 성질 변화의 가능성을 배제하기 위해 각 조건마다 동일한 5개의 시편을 사용하였다. 측정된 하중변형률과 각 실험의 브라켓간격을 이용하여 각 브라켓부위에서의 L-loop의 wire stiffness number를 계산하였고 이를 multi-L-loop의 그것과 비교하였다. 5개의 loop로 구성된 multi-L-loop를 35개의 직선구간으로 나누어 각 구간의 에너지를 계산, 총합을 낸 후 가해진 외력으로 미분하여 하중변형률의 이론식을 유도하였으며, 이를 wire stiffness로 환산하여 단일 L-loop의 wire stiffness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각 브라켓 간격에서의 L-loop의 하중변형률은 평균적으로 stainless steel wire의 1/5.16, NiTi의 1/l.53, TMA의 1/2.47이었다. 2) multi-L-loop부위 에서의 MEAW의 wire stiffness는 개개 브라켓간 간격에서보다 평균 1.53배 더 높았고, 같은 부위에서의 NiTi보다 1.9배 더 높았다. 3) 유도된 하중변형률의 이론식에 따르면, 부위에 따라서 wire stiffness의 차이를 보이지 않는 직선 강선과는 달리, L-loop가 부여된 경우, 개별 L-loop의 ire stiffness는 전체 multi-L-loop의 wire stiffness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미루어 볼 때, MEAW는 개별적인 치아이동을 허용하면서, 가해진 교정력을 효과적으로 전체 치열로 전달할 수 있는 독특한 기계적 특성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성장기 아동에서 가철식 교정장치와 MEAW를 이용한 부정교합의 치험례 (TREATMENT OF MALOCCLUSION USING REMOVABLE ORTHODONTIC APPLIANCE AND MEAW IN GROWING CHILDREN)

  • 양규호;최은종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637-649
    • /
    • 1997
  • Early orthodontic treatment in growing children requires the removable orthodontic appliances. The removable orthodontic appliance can be used in the primary dentition and mixed dentition. The purposes of use of removable orthodontic appliance in prmary dentition or mixed dentition are the interception of skeletal or dental malocclusion, guiding the normal dentition, and retention after comprehensive orthodontic treatment. Therefore, it is needed to use the removable orthodontic appliance in children with malocclusion. This report presents cases of growing children with skeletal class II and III malocclusion treated with removable orthodontic appliance during mixed dentition and Multiloop Edgewise Arch Wire(MEAW) during permanent dentition.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ese cases were summarized as follows : 1. Removable orthodontic appliances guide normal dentition and skeletal growth in growing children. 2. Removable orthodontic appliances play an important role in intercepting malocclusion in mixed dentition before use of fixed orthodontic appliance. 3. MEAW can be applied to finishing stage of all cases and is effective in correction of occlusal plane, achievement of interdigitation, and control of dental inclination. 4. It is needed that removable appliances are used during mixed dentition through correct diagnosis and fixed appliance are used in permanent dentition.

  • PDF

Multiloop Edgewise Arch Wire가 야기하는 응력분포에 관한 광탄성학적 연구 (A PHOTOELASTIC STUDY OF THE STRESS DISTRIBUTION BY MULTILOOP EDGEWISE ARCH WIRE)

  • 염정배;이병태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67-280
    • /
    • 199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orce mechanism of Multiloop Edgewise Arch Wire and the intensity and distribution of stresses with vertical and intermaxillary elastics.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When plain wires were inserted and vertical and intermaxillary elastics were used in the upper and lower arch, the stresses of the anterior and posterior ends of wires were observed greatly but the stresses of the premolar were very small. 2. When MEAW were inserted in upper and lower arch, the upper 1st and 2nd premolar and the lower 1st premolar were extruded greatly. 3. In the area of the upper 1st molar and the lower 2nd premolar and the lower 1st molar, any stresses were not observed. 4. The vertical elastic counteracted the intrusion force of the MEAW in the anterior teeth but could not affect on posterior teeth. Using with the Class II elastics, the distal tipping force and extrusion force were exerted in the upper anterior teeth and the intrusion forces of the lower anterior teeth were relieved. Using with the Class III elastics, the extrusion force were exerted in the upper and lower anterior teeth, the distal tipping force were increased in the lower posterior teeth. 5. The Class II elastic counteracted the anterior intrusion force of the MEAW and extruded and tipped mesially the lower 2nd molar. The intrusion force of the MEAW also could not overcome the extrusion force of the class II elastics. 6. When the Class III elastics were engaged, the upper 2nd molar was extruded in spite of the intrusion forces of the MEAW and the extrusion forces of the lower anterior teeth and distal tipping forces in the posterior teeth were observed.

  • PDF

Multiloop Edgewise Arch Wire의 tip back 정도에 따른 응력 분포에 관한 유한요소법적 연구 (Stress analysis of Multiloop Edgewise Arch Wire with various degree of tip back bend : a study using the finite element method)

  • 이영일;차경석;주진원;이진우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27-142
    • /
    • 2000
  • 임상에서 다양하게 사용되는 Multiloop Edgewise Arch Wire(MEAW)는 구치부 치아의 치축 직립을 위해 II급 고무줄이나 수직고무줄과 함께 사용된다. 이때 tip back bend의 정도는 각 환자의 구치치축의 근심경사의 정도에 따라 가감이 결정되나 이 장치가 실제 치근막에서 어떤 효과를 나타내는지 정확히 알려진 바는 없다. 이에 저자는 MEAW의 역학적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tip back bend의 정도를 변화시킨 후 II급 고무줄, 수직고무줄을 적용시켜 유한요소법을 통해 치근막에서 발생되는 응력의 분포와 크기를 정량적으로 비교, 관찰하여 장치의 역계를 이해하고 치료효과를 예측해 보고자 실험을 고안하였다. 발치나 교정치료의 경험이 없는 25세 남자 정상교합자를 대상으로 컴퓨터 단층촬영을 시행하여 얻은 방사선필림을 기초로 하여 유한요소 상악치아모델과, 치근막모델을 제작하였으며 여기에 beam element로 제작된 MEAW의 tip back bend를 5도, 10도, 15도로 달리하여 II급 고무줄 및 수직고무줄을 적용시켜 각 치근막에서의 압축, 인장력의 분포와 응력의 크기를 상호 비교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MEAW에 tip back bend를 5도, 10도, 15도로 부여하고 II급 고무줄이나 수직고무줄을 적용시켰을때 전체 치근막에 나타나는 압축, 인장의 분포는 II급 고무줄, 수직고무줄 각각의 경우에서 tip back bend의 정도에 상관없이 유사한 양상을 나타냈다. 2. 각 치아의 치근막에 나타난 압축, 인장력의 크기는 5도,10도의 경우보다 15도 tip back bend 부여시 더 크게 나타났다. 3. 제1, 2대구치 원심측 치근막에서는 압축력이 나타났으며 특히 제2대구치 치근막의 압축부위가 제1대구치 치근막 압축부위보다 더 넓고 압축력의 크기도 더 크게 나타났다. 또한 tip back bend 정도가 클수록 압축력도 크고 압축부위도 더 넓게 나타났다. 4. 대구치 치근막의 압축력은 소구치 치근막의 압축력보다 상대적으로 더 작게 나타났다. 5. II급고무줄과 수직고무줄 적용 시를 비교해 보면 수직고무줄 장착시 전치부 치근막에 인장력이 더 넓게, 그 크기는 더 작게 나타났다. 반면에 구치부 치근막에 나타나는 응력의 분포와 크기는 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5. 전치부 치근막 인장부위에서 인장력은 견치에서 제일 컸다.

  • PDF

전치개교에 관한 임상적 연구 (CLINICAL INVESTIGATION ON ANTERIOR OPEN-BITE)

  • 장영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35-49
    • /
    • 1986
  • 전치개교에 관한 원인과 여러가지 치료법의 장단점을 논의했고 전치개교본태를 객관적으로 이해하는데 강조했다. 진단의 주관적인 해석은 부정교합을 잘못 기술해서 위험한 결과를 흔히 유도하게 된다. 해부학, 생리학, 조직학과 교정기계요법의 역학에 관한 길은 지식을 가진다면 대부분 전치개교치료는 외과적중재 없이 높은 성공율과 안정을 기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지난 20여년동안 임상적으로 정립된 Kim의 MEAW 시술을 설명했으며 전치개교치료증례들이 이 MEAW요법을 입증하는데 제시되었다.

  • PDF

형상기억합금 호선의 역학적 해석 (MECHANICAL ANALYSIS ON THE SHAPE-MEMORY ARCH WIRE)

  • 이진형;남동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735-758
    • /
    • 1994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displacements and reaction forces of teeth caused by the application of the rectangular shape-memory arch wires with curve of Spee. Computer-aided three dimensional finite element method was adopted. This finite element model consists of brick element for teeth, beam element for the wire, and contact element for the periodontal ligament. And the application of the MEAW(Multiloop Edgewise Arch Wire) was also studied so that the results of the two methods can be compared each other. Total number of the nodes and elements were found to be 5925 and 4031, repectively. In addition, several types of elastics and corresponding displacements and reaction forces were examin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When the rectangular shape-memory arch wire with curve of Sun was used alone, the intrusion and labioversion was noticeable on the upper incisors, while the upper molars showed less intrusion. With MEAW, the intrusion and labioversion of the upper incisors were slightly larger than those when the shape-memory arch wire was used, but on the upper molars the opposite result was obtained with respect to the intrusion. 2. The shape-memory arch wire with the vertical elastics caused the larger downward displacement on the upper canine than that when the MEAW was used with the vertical elastics. However, the downward displacement of the upper incisors was larger in MEAW. The uprighting and buccoversion of the molars were observed in both cases. 3. The use of the Class II or III elastics showed the extrusion and changes in torque of the corresponding teeth. The downward displacement of the upper canine was increased when the Class II and vertical elastics were applied simultaneously, but it was decreased when both of the Class III and vertical elastics were us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