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DM2

검색결과 102건 처리시간 0.032초

Calculation of Anchor's Terminal Velocity in the Water and Onshore Dropped Heights Using MDM Technique

  • Shin, Mun-Beom;Seo, Young-Kyo
    • Journal of Advanced Research in Ocean Engineering
    • /
    • 제3권2호
    • /
    • pp.59-65
    • /
    • 2017
  • When an anchor is dropped into the sea, there exists a danger of collision on the pipeline and subsea cables in the seabed. This collision could cause huge environmental disasters and serious economic losses. In order to secure the safety of subsea structures such as pipelines and subsea cables from the external impact, it is necessary to estimate the exact external force through the anchor's terminal velocity on the water. FLUENT, a computational fluid dynamic program, was used to acquire the terminal velocity and drag coefficient computation. A half-symmetry condition was used in order to reduce the computational time and a moving deforming mesh technique also adapted to present hydrostatic pressure. The results were examined with the equation based on Newton's Second Law to check the error rate. In this study, three example cases were calculated by stockless anchors of 5.25 ton, 10.5 ton, and 15.4 ton, and for the onshore experiment dropped height was back calculated with the anchor's terminal velocity in the water.

이동변형격자 기법을 활용한 외부장착물 분리운동 해석 (External Store Separation Analysis Using Moving and Deforming Mesh Method)

  • 안병희;김동현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9-20
    • /
    • 2019
  • A military aircraft generally includes external stores such as fuel tanks or external arming, depending on the purpose of the operation. When a store is dropped from a military aircraft at high subsonic, transonic, or supersonic speeds, the aerodynamic forces and moments acting on the store can be sufficient to send the store back into contact with the aircraft. This can cause damage to the aircraft and endanger the life of the crew. In this study, time accurate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with dynamic moving grid (moving and deformable mesh, MDM) technique has been used to accurately calculate store trajectories. For the verification of the present numerical approach, a wind tunnel test model for the wing-pylon-finned store configuration has been considered and analyzed. The comparison results for the ejected store trajectories between the present numerical analysis and the wind tunnel test data at the Mach number of 0.95 and 1.2 are presented. It is also importantly shown that the numerical parameter of MDM technique gives significant effect for the calculated store trajectory in the low-supersonic flow such as Mach 1.2.

EBP1 regulates Suv39H1 stability via the ubiquitin-proteasome system in neural development

  • Kim, Byeong-Seong;Ko, Hyo Rim;Hwang, Inwoo;Cho, Sung-Woo;Ahn, Jee-Yin
    • BMB Reports
    • /
    • 제54권8호
    • /
    • pp.413-418
    • /
    • 2021
  • ErbB3-binding protein 1 (EBP1) is a multifunctional protein associated with neural development. Loss of Ebp1 leads to upregulation of the gene silencing unit suppressor of variegation 3-9 homolog 1 (Suv39H1)/DNA (cytosine 5)-methyltransferase (DNMT1). EBP1 directly binds to the promoter region of DNMT1, repressing DNA methylation, and hence, promoting neural development. In the current study, we showed that EBP1 suppresses histone methyltransferase activity of Suv39H1 by promoting ubiquitin-proteasome system (UPS)-dependent degradation of Suv39H1. In addition, we showed that EBP1 directly interacts with Suv39H1, and this interaction is required for recruiting the E3 ligase MDM2 for Suv39H1 degradation. Thus, our findings suggest that EBP1 regulates UPS-dependent degradation of Suv39H1 to govern proper heterochromatin assembly during neural development.

모바일 정보보안을 위한 실시간 모바일 기기 제어 및 관리 시스템 설계.구현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Implementation of Mobile Information Security)

  • 강용식;권순동;이강현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15권2호
    • /
    • pp.1-19
    • /
    • 2013
  • 아이폰3로 촉발된 스마트 혁명은 시간과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똑똑하게 일하는 스마트워킹 시대를 열어가고 있다. 기업은 스마트워킹을 통해 정보를 실시간 처리하고, 신속한 의사결정과 적시 대응을 함으로써 기업의 생산성과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스마트워킹은 이러한 기회 이면에 취약한 보안문제를 지니고 있다. 스마트워킹 이전에는 단지 기업 내에서만 정보를 볼 수 있었다. 그러나 스마트워킹이 가능해지면서 유출, 해킹 등을 통해 정보가 종전보다 쉽게 기업 외부로 노출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모바일 보안은 기업 비밀을 중시하는 사기업은 물론 사회 기반구조를 담당하는 공공기관에게 있어서 다루어야 할 매우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본 연구는 공공기관의 모바일 정보보안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공공기관이 스마트워크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국가정보원의 모바일 정보보안규칙을 준수해야 한다. 이 보안규칙은 모바일 단말 보안, 모바일 단말과 무선망간 보안, 모바일 플랫폼과 업무망간 보안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금까지 공공기관은 이러한 보안규칙을 준수하기 위해 기업 소유의 모바일 단말기에 MDM(Mobile Device Management) 솔루션을 설치 운영해 왔다. 모바일 단말기에 MDM 솔루션이 설치되면 그 단말기는 Wi-Fi, 카메라, 화면캡쳐 등이 차단되어 이러한 기능을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지금까지는 기업 소유의 모바일 단말기만 보안규칙을 적용하여 모바일 정보시스템을 사용해왔기 때문에 별 문제가 없었다. 그러나 기업은 스마트워킹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개인 소유의 모바일 단말기까지 모바일 정보시스템의 이용범위를 확산시키려하고 있다. 바로 이러한 상황에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개인 소유의 모바일 기기에 종전과 같은 보안규칙을 적용하면 개인은 기기 사용에 제한을 받기 때문이다. 즉, 개인 소유의 스마트폰에 MDM 솔루션을 설치하면 Wi-Fi, 카메라, 화면캡쳐 기능을 사용할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그 누구도 자신이 소유한 기기의 기능을 제한받으면서까지 모바일 정보시스템을 사용하려 하지 않기 때문에 지금까지의 모바일 정보보안 방식으로는 폭넓은 스마트워킹을 구현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개인 소유의 모바일 단말기에까지 스마트워킹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모바일 정보시스템이 실행될 때에만 MDM 솔루션이 실행되도록 함으로써 개인의 자유로운 모바일 기기 사용을 보장해야 하고, 모바일 정보시스템 각각의 보안 요구 등급에 맞게 신축적으로 단말기 기능을 차단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K사에서 바로 이러한 필요성을 충족시킨 구현 사례를 연구하여 제시하였다. 대부분의 정보시스템은 기업에 의해 개발되고 기업 소유의 기기에 설치되어 운영된다. 그러나 모바일 정보시스템은 이와 다르게 기업에 의해 개발되고 개인 소유의 모바일 기기에 설치되어 운영될 수 있다. 본 연구는 기업에게는 모바일 정보시스템에 대한 보안 목표를 충족시켜 주고 개인에게는 시스템 사용에 따른 제한을 최소화함으로써 BYOD(Bring Your Own Device) 시대에 최적의 해결 방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결과는 스마트워크를 추진하고자 하는 공공기관은 물론 기업비밀에 민감한 사기업의 모바일 정보보호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스마트워킹 확산에 기여할 것으로 본다.

  • PDF

SNU AGN Monitoring Project (SAMP) using reverberation mapping of luminous AGNs

  • Jeon, Yiseul;Woo, Jong-Hak
    • 천문학회보
    • /
    • 제41권1호
    • /
    • pp.70.4-71
    • /
    • 2016
  • The links between super-massive black hole masses and their host galaxy properties are observed, indicating that black hole growth and host galaxy evolution are closely related. Reverberation mapping, which uses the time delay from the central black hole to broad line regions, is one of the best methods to estimate masses of black holes of active galactic nuclei (AGNs). However, only masses of about 50 black holes have been determined in reverberation mapping studies so far, and most of them are limited to optical luminosities below 10^45 erg/s due to the challenges of long-term time domain observations in both photometry and spectroscopy. In this project, we expand reverberation mapping samples to higher luminosities of > 10^44.5 erg/s at 0.1 < z < 0.35, that have expected time lags of 40 - 250 light days. Photometric (using LOAO 1-m and MDM 1.3-m) and spectroscopic (using MDM 2.4-m and Lick 3-m) monitoring campaigns are being conducted for a 3 year duration and 20 day cadence. Precedent photometric observations in 2015B show some targets with variability and follow-up spectroscopic observations are on-going. In this presentation, we introduce our project, present reverberation mapping simulation results, and preliminary results on photometry. These reverberation mapping masses of relatively high luminous AGNs will provide a strong constraint on black hole mass calibration, e.g., the single-epoch mass estimation.

  • PDF

유비퀴틴화에 의한 세포 내 p53의 기능 조절 (Regulation of cellular functions of p53 by ubiquitination)

  • 정진혁;이준영;이선미;최태부;안성관
    • KSBB Journal
    • /
    • 제24권3호
    • /
    • pp.217-226
    • /
    • 2009
  • p53은 전사인자로서 세포의 사멸이나 세포주기 조절 등 다양한 세포 활성을 보이기 때문에 일반적인 환경에서는 매우 낮은 수준으로 단백질 양이 확인된다. p53의 단백질 양과 활성은 다양한 세포 내 신호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후전사 변형을 통하여 조절 받는다. 이중 유비퀴틴화는 세포 내에서 p53 단백질의 발현 수준이 낮게 유지되는 것이 가능하게 하는 대표적인 기전이다. 이러한 기전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p53의 E3 ligase로는 mdm2, Pirh2, COP1, ARF-BP1 등이 보고되어 있으며, 각각 negative feedback loop나 다른 기전을 통하여 p53 단백질의 분해를 유도하여 세포의 항상성을 조절한다. 이 밖에도 p53은 mdm2나 WWP1, UBC13, MSL2와 같은 E3 ligase로 인해서 모노 유비퀴틴화 되고, p53의 세포 내 위치가 조절되어 전사인자로서의 활성이 억제된다. p53의 세포 내 위치와는 관계없이 p53의 전사인자로써의 활성 또한 아세틸화와 유비퀴틴화의 경쟁적 반응으로 인해 조절 될 수 있다. E4F1에 의한 유비퀴틴화는 세포주기와 관련된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키되 세포사멸 관련 유전자의 발현은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아 p53의 수많은 downstream gene의 발현 또한 유비퀴틴화를 통해 조절 될 수 있음이 제시되었다. 앞으로의 연구는 신규 E3 ligase에 의한 p53의 유비퀴틴화 기전 연구 뿐 아니라 이와 관련된 다른 변형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또한 매우 중요하게 부각되어 질 것으로 예상된다.

관개수(灌漑水)에 의한 시비양분(施肥養分)의 토양중(土壤中) 이동(移動)에 관(關)한 연구(硏究) 1. 관수량(灌水量)에 따른 양분(養分) 이동(移動) (Movement of Applied Nutrients Through Soils By Irrigation 1. Movement of nutrients to the amount of water applied)

  • 유관식;유순호;송관철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02-108
    • /
    • 1991
  • 나지상태(裸地狀態)에서 관수량(灌水量)에 따른 양분(養分)의 수직이동(垂直移動) 양상(樣相)을 구명하기 위하여 본량사양토(本良砂壤土)(Typic Udifluvents)의 작토층(作土層)을 공시토양(供試土壤)으로 하여 microplot(지름 20cm, 길이 85cm)시험(試驗)을 수행하였다. 시비량(施肥量)를 기준으로 하여 각(各) 성분(成分)이 (각(各) 토층(土層)으로 이동(移動)된 양(量))/(시비량(施肥量))${\times}$(시비지점에서 각(各) 토층(土層) 중심점까지의 거리)의 화(和)를 평균(平均) 이동(移動)거리라 했을때, 평균이동(平均移動)거리는 관수량(灌水量)과 수직적(直線的)인 관계가 있었다. 1 pore volume(piston front 10cm)물의 이동(移動)에 대한 각(各) 성분(成分)의 평균(平均) 이동(移動)거리는(cm)는 Cl, 7.52>무기태(無機態) N, 6.03>K, 3.50>Mg, 2.69>Ca, 1.19>유효인산(有效燐酸), 0.29순이었다. 여러 성분중(成分中) Cl이 가장 활발하게 하향이동(下向移動)되어 물의 piston front 이동(移動)거리의 75%가 되었고, 인산(燐酸)은 거의 이동(移動)되지 않아 물의 piston front 이동(移動)거리의 3%에 불과하였다. 양분이동(養分移動)의 결과 토양 pH는 관수량(灌水量)이 많아질수록 표층(表層)에서 낮아지고 심층(深層)에서 높아지는 경향인데 토양(土壤)깊이별 pH변화는 치환성(置換性) Ca과 Mg보다는 $NH_4-N$의 함량변화와 같은 경향을 보였다.

  • PDF

기준정보 관리와 과제관리 및 품질관리 중심의 플랜트 PLM 혁신전략 (Innovation Strategy for Engineering Plant Product Lifecycle Management based on Master Data Management, Project Management and Quality Management)

  • 명세현
    • 한국CDE학회논문집
    • /
    • 제21권2호
    • /
    • pp.170-176
    • /
    • 2016
  • PLM system has been widely used in whole industry. Specially, in case of the company that constructs the engineering plant, PLM can be a key success tool for the innovation with ERP and Enterprise IT Systems. This paper describes the innovation strategy for engineering plant PLM including Master Data management, EPC project management, full 3D modeling and quality management.

Variability test of 9 AGNs slected from The Seoul Natioanl University AGN Monitoring Project

  • Cho, Wanjin;Woo, Jong-Hak;Son, Donghoon;Bae, Hyun-Jin;Jeon, Yiseul;Le, Huynh Anh;Park, Songyoun;Shin, Jaejin;Kim, Minjin;Park, Daeseong;Sung, Hyun-il;Gallo, Ellena;Hodges-Kluck, Edmund;Barth, Aaron;Treu, Tommaso;Malkan, Matt;Bennert, Vardha Nicola
    • 천문학회보
    • /
    • 제42권2호
    • /
    • pp.76.4-77
    • /
    • 2017
  • We have been performing a long term AGN Monitoring project, to measure the time lag of H beta line with respect to AGN optical continuum based on the reverberation mapping method. From October 2015, 69 AGNs have been monitored with BVR band photometry, using the MDM 1.3m & 2.4m and LOAO 1m telescopes, and long-slit spectroscopy, using the Lick 3m and MDM 2.4m telescopes. In this poster, we report the preliminary results of the variability study of a subsample of 9 AGNs, particularly with a few of tentative time rag measurements between B band magnitude and H beta luminosity based on the 1st year data set from February 2016 - January 2017.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