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CP-1

검색결과 466건 처리시간 0.023초

동양배(Pyrus pyrifolia Nakai)인 조생종 '한아름' 및 중생종 '만풍배'에 대한 1-methylcyclopropene 처리 반응 (Response of 1-methylcyclopropene Treatment on Early season 'Hanareum' and Mid-season 'Manpungbae' Asian Pears (Pyrus pyrifolia Nakai))

  • 이욱용;오광석;배태민;천종필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12-220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생산되는 조생종 배인 '한아름'과 중생종 '만풍배'에 대해 에틸렌 작용 억제제인 1-methylcyclopropene(1-MCP)를 농도별로 처리하고 상온 유통기간 중 과실품질 및 생리장해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한아름'은 상온유통 15일에 1-MCP를 처리하지 않은 모든 과실에서 경도가 급격하게 감소하였던 반면 1-MCP를 처리한 과실의 경우 처리농도와 관계없이 28N 이상의 높은 경도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만풍배'의 경우 1-MCP처리농도와 관계없이 경도유지 효과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두 품종 모두 1-MCP처리후 유통 중 가용성고형물, 산 및 과피색과 같은 품질요인의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1-MCP처리농도에 따라 '한아름'의 상온유통 6일 이후 에틸렌 발생량이 급증하는 시점이 다르게 조사되었으나, 에틸렌 발생량을 낮추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반면 '한아름' 과실의 호흡률은 상온유통 15일간 유의하게 낮게 조사되었으며, 1-MCP 처리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호흡률 감소 효과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만풍배'의 경우 1-MCP 처리농도에 따른 상온유통 중 에틸렌 및 호흡억제효과는 미비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1-MCP 처리에 따른 상온유통 중 생리장해발생 억제는 조생종 '한아름' 배에서만 유의하게 나타나 처리농도와 상관없이 상온유통 15일 동안 과심갈변과 분질과가 전혀 발생하지 않았으며, 바람들이 발생을 유의하게 억제하는 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동양배에 대한 1-MCP처리 효과는 품종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며 $1{\mu}L{\cdot}L^{-1}$의 1-MCP처리는 조생종 배 '한아름'에 있어 상온유통 기간 동안 과실품질 유지와 생리장해 억제에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RAW264.7 대식세포에서 방사선에 의한 MCP-1 발현 기작 연구 (Study on the Mechanism of Radiation-induced MCP-1 Expression in RAW264.7 Macrophage Cells)

  • 진창현;박용대;최대성;정일윤
    • 방사선산업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227-231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pression mechanism of MCP-1 in gamma-irradiated RAW 264.7 macrophage cells. MCP-1 plays an important role in attracting monocyte to injured site at the early inflammation stage. However the production mechanism of MCP-1 by gamma-irradiation in RAW 264.7 macrophage cells was almost undiscovered. We found that MCP-1 was produced in RAW 264.7 macrophage cells by irradiation with 5 Gy. And these inceases were attenuated by specific inhibitors treatment, such as $NF-{\kappa}B$, JNK, ERK, JAK2, and Pyk2. These results indicate that radiation-induced MCP-1 production is mediated by MyD88- and TRIF-dependent pathways in RAW 264.7 macrophage cells. Furthermore, gamma-irradiation induced heme oxygenase-1 (HO-1) expression in RAW 264.7 macrophage cells. However this induction level was reduced before MCP-1 and $IFN-{\beta}$ production.

흰쥐황체에서 MCP-1과 큰포식세포아형의 역할에 관한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Immunohistochemical Study on Role of the 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1 and Macrophage Subpopulations in the Rat Corpora Luteum)

  • 조근자;김원식;김수일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3권1호
    • /
    • pp.51-57
    • /
    • 2009
  • 큰포식세포나 혈관의 내피세포 등에서 분비되는 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1(MCP-1)은 큰포식세포의 활성을 조절하고 황체의 용해시기에는 용해를 개시, 촉진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아직 임신 황체나 출산 후의 황체의 발달과 유지에 대한 MCP-1의 작용기전은 확실히 알려져 있지 않다. 난포발달과정에서 큰포식세포의 역할을 알아보기 위해서 흰쥐를 실험동물로 임신시기별, 출산 후 황체에서 TUNEL 염색, ED1, ED2 및 MCP-1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을 실시하였다. 출산 후 황체에서 큰포식세포의 수가 의미 있게 증가하였으며, 큰포식세포에 대한 ED1, ED2의 면역반응성이 증가하였고, MCP-1의 면역반응성도 크게 증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출산 후 황체에서는 큰포식세포가 주로 탐식작용을 하게 되지만, 임신 황체에서는 황체의 구조와 기능을 유지하는데 주로 관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치수세포의 Substance P 자극 시 Interleukin-8과 Monocyte chemattractant protein-1의 분비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Substance P on the secretion of Interleukin-8 and MCP (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1 from the Human Dental Pulp Cells)

  • 박상혁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8권5호
    • /
    • pp.409-418
    • /
    • 2003
  • 본 연구는 치수 염증 시 IL-8과 MCP-1 분비에서 neuropeptide의 역할에 대해 관찰하고자 발거된 건전한 치아를 수직 파절시켜 치수조직을 채취하여 배양된 치수세포 및 혈관내피세포(ECV 304세포)를 각기 다른 농도의 Substance P(SP)로 12시간 자극하였고, 24시간 동안 4시간 간격으로 시간대별로 자극하였으며, 또 치수세포를 Calcitonin gene-related peptide (CGRP)로 12시간 자극하였다. 이들 세포를 SP길항제 (Spantide)로 15분간 차단한 후 SP로 12시간 재 자극하였으며, SP와 CGRP혼합액을 12시간 자극하였다. 상기의 실험 후 부유물로 ELISA를 시행하여 IL-8과 MCP-1의 분비 량을 측정하였다. 치수세포는 SP로 자극 시 IL-8이 현저히 증가한 반면, CGRP는 효과가 없었으며, SP와 CGRP를 혼합자극 시 시너지 효과 또한 없었고, Spantide는 치수세포의 IL-8과 MCP-1의 분비를 차단시켰다. 치수세포를 SP로 24시간 동안 4시간 간격으로 자극 시 8시간 후 최대의 IL-8은 분비량 나타내었으며, 8시간과 12시간 사이에서 최대의 MCP-1 분비량을 나타내었다. ECV 304세포를 SP로 자극 시 IL-8과 MCP-1 분비량이 미약하게 증가하였으며, Spantide는 ECV 304세포의 IL-8과 MCP-1 분비를 억제시켰다.

1-MCP처리가 '후지'사과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1-Methylcyclopropene on Storage Life and Fruit Qualities of 'Fuji' Apple Fruit)

  • 안승원;정재훈;김영칠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83-88
    • /
    • 2012
  • This study was divided to three experiments for evaluating the effects of pre- or post-load 1-MCP on quality of 'Fuji' apples exposed to ethylene. The first experiment was compared for fruit quality at room temperature at 7, 14, 21, and 28 days between the control and 1-MCP-treated fruits followed storage of 130, 150, and 170 days. 1-MCP-treated fruits maintained higher fruit titratable acidity and firmness than those of control fruits. The second experiment was compared for fruit quality at room temperature at 7, 14, 21, and 28 days between fruits applied with pre-loaded-1-MCP on ethylene treatments (10 ${\mu}L/L$, 20 ${\mu}L/L$, and 40 ${\mu}L/L$) and control fruits. 1-MCP-treated fruits were not affected by ethylene concentrations, and had higher fruit weight and firmness than those of control. The third experiment was compared for fruit quality at room temperature at 7, 14, 21, and 28 days between fruits applied with pre-loading with ethylene (10 ${\mu}L/L$) followed by ventilation (8 h, or 32 h, or 56 h) and 1.0 ${\mu}L/L$ 1-MCP treatment. As observed above experiments, 1-MCP-treated fruits had higher fruit weight and firmness than those of control fruits, regardless of the delayed applications of 1-MCP.

수용성 담체와의 공침물 형성에 의한 메토클로프라미드의 용출 증가 (Dissolution Enhancement of Metoclopramide by Coprecipitation with Water-Soluble Carriers)

  • 용재익;정차옥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18권2호
    • /
    • pp.43-47
    • /
    • 1988
  • In order to increase the dissolution characteristics of relatively water-insoluble metoclopramide (MCP), coprecipitates of MCP with polyvinylpyrrolidone (PVP), polyethylene glycol (PEG) 1000, 4000 or 6000 were prepared in various drug to polymer ratios. The dissolution rate of MCP-PVP coprecipitate was greater than those of MCP alone, MCP-PVP physical mixture and MCP-PEG coprecipitates. The dissolution rate of MCP-PEG 6000 coprecipitate was greater than those of MCP-PEG 1000 and MCP-PEG 4000 coprecipitates. The dissolution half-lives $(T_{50%})$ for MCP alone and 1:5 (w/w) MCP-PEG 6000 coprecipitate were determined by the log-probit method at $37^{\circ}C$ and found to be 4.17 and 0.98 min, respectively.

  • PDF

1-Methylcyclopropene(1-MCP) 처리농도에 따른 머스크멜론(Cucumis melo L.)의 품질특성 변화 (Changes i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skmelon Treated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f 1-MCP During Storage)

  • 김지영;이혜옥;윤두현;차환수;도정룡;김병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368-372
    • /
    • 2010
  • 수확직후의 멜론에 1-MCP를 500, 1,000, 그리고 1,500 ppb의 농도로 각각 처리한 후 $10^{\circ}C$ 저장고에 저장하면서 20일 동안 품질 변화를 측정하였다. 멜론의 중량감모율은 처리농도 간에 차이는 거의 없었으나 무처리구에 비해 1-MCP 처리구가 낮은 값을 보였다. 경도는 1-MCP 처리구가 무처리구에 비해 높은 값을 유지하였으며 1,000 ppb 처리농도가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색 변화에서 밝기를 나타내는 L값은 무처리구의 경우 저장 4일 이후부터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1-MCP 500 ppb 처리구와 1,000 ppb 처리구에서는 일정하게 유지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황색도를 나타내는 b값은 모든 시료에서 저장기간이 지날수록 일정시기에 증가된 후 다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호흡속도는 1-MCP 처리구가 무처리구에 비해 비교적 적은 호흡량을 나타내었으며 1,000 ppb 처리구에서 가장 적은 호흡량을 보였다. 관능검사결과 조직감 항목에서는 1,000 ppb 처리구의 멜론이 500, 1,500 ppb 처리구보다 지수도 높았고 선도도 오래 유지되었다. 따라서 1-MCP 1,000 ppb가 가장 효과적인 처리농도로 여겨진다.

소아기 단순 기침 환아에서의 케모카인 발현 양상 연구 (Chemokines Expression in Children with a Non-productive Cough)

  • 이영환;김희선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24권2호
    • /
    • pp.129-136
    • /
    • 2007
  • 2002년 1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비재발성 또는 약한 재발성 마른기침을 주증상으로 영남대학교 의료원 소아과를 내원한 환아들 중 연구의 목적에 동의한 소아를 대상으로 이들에서의 케모카인 IFN-${\gamma}$-inducible protein 10 (IP-10), Macrophage cationic protein 1 and 3 (MCP-1, 3), Interleukin (IL)-8, RANTES, eotaxin 및 Gro-${\alpha}$의 발현 양상을 알아보았다. 1) 대상 환아는 모두 6명(남 3명, 여 3명)으로, 평균 연령은 73.2개월(34개월~122개월)이었다. 2) 케모카인 IP-10, MCP-3는 모든 환아에서, RANTES는 5명에서, IL-8은 3명에서 발현되었다. 3) Eotaxin, Gro-${\alpha}$ 및 MCP-1은 모든 환아에서 전혀 발현되지 않았다. 4) 추적 관찰에 응한 1례에서 회복기에 MCP-3, RANTES 및 IL-8 발현의 감소가 관찰되었다. 단순 기침 환아에서 케모카인 MCP-3, RANTES 및 IL-8 등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향 후 이에 관한 더 많은 비교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 PDF

수확전 수체살포용 1-MCP 처리가 '감홍' 사과의 저온저장 중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reharvest Sprayable 1-Methylcyclopropene (1-MCP) Treatment on Fruit Quality Attributes in Cold Stored 'Gamhong' Apples)

  • 유진기;김대현;이진욱;최동근;한증술;권순일;권헌중;강인규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79-283
    • /
    • 2013
  • 본 연구는 수확전 수체살포용 1-MCP(Harvista) 처리가 국내 육성품종인 '감홍' 사과의 품질과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수체살포용 1-MCP 처리 후 수확시에 과실의 산 함량은 1-MCP 수확 10일전 처리가 무처리에 비하여 높았으나 다른 과실품질 요인들은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저장동안 '감홍' 사과의 품질변화를 보면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1-MCP 처리 과실들의 경도와 산 함량이 무처리 과실보다 높게 유지되었으나 가용성고형물 함량은 차이가 없었다. 내생 에틸렌 발생량은 수확시에는 처리간 차이가 없이 낮은 에틸렌발생을 보였으나 무처리 과실들은 저장 180일에는 $58.3{\mu}L{\cdot}L^{-1}$로 급격히 증가한 반면 1-MCP 처리 과실들은 $18.24{\sim}25.03{\mu}L{\cdot}L^{-1}$로 현저히 낮은 발생량을 보였다. 따라서 '감홍' 사과에 수확전 수체살포용 1-MCP 처리가 저장기간동안 과실의 품질을 유지하는데 효과적이었다.

절화 리시안셔스 및 심비디움의 1-MCP 처리 시간에 따른 품질 유지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ostharvest quality of cut Eustoma and Cymbidium flower with different duration of 1-MCP treatments)

  • 정유경;조아람;심명선;김윤진
    • 한국화예디자인학연구
    • /
    • 제45호
    • /
    • pp.3-12
    • /
    • 2021
  • 에틸렌 활성 저해제인 1-methylcyclopropene(1-MCP)는 기체 물질로 에틸렌의 수용체 결합을 막아 노화 및 위조를 지연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리시안셔스 'Voyage'와 심비디움 'Lapine Hat'에 다양한 1-MCP 전처리 기간(0시간(대조구), 1시간, 4시간)을 두어 수확 후 품질을 조사하였다. 리시안셔스 'Voyage'에서 1-MCP 4시간 처리 시 수분 흡수율은 14.5%로 대조구(9.8%)에 비하여 높았으며, 화폭은 3-11일 동안 가장 길게 유지되었다. 두 품종 모두 절화 수명은 1-MCP 처리 시간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1-MCP 처리는 절화의 종류와 품종에 따라 미치는 영향이 상이하였으며, 전처리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처리 기간과 농도의 복합 연구가 더욱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