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CCB

검색결과 93건 처리시간 0.025초

배선용 및 누전차단기 오동작 실태조사 (A Survey on the Actual Conditions of False-Tripping of MCCB ard ELB)

  • 유재근;이상익;전정채;정종욱;임용배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04년도 학술대회 논문집
    • /
    • pp.223-227
    • /
    • 2004
  • False-tripping of MCCB(Molded Case Circuit Breaker) and ELB(Earth Leakage Circuit Breaker), using to protect overload and ground-fault accidents in power system raise direct and indirect losses like as information loss, facilities damage, slipup of goods production in industry place. Cause of false-tipping of MCCB and ELB is various and cause analysis of false-tripping is mostly made up by inference because trip is not reappeared. This paper investigated and analyzed causes and influences of false-tripping of MCCB and ELB by making up a question to safety managers of two hundred and eighteen electrical facilities for private use. Also, the necessity of experimental study on the effect of harmonics on false-tipping of MCCB and ELB was presented.

  • PDF

전자기력의 영향을 포함한 MCCB 기구부의 동역학적 모델링 방법 연구 (Study on the Dynamic Modeling of a MCCB Mechanism Including Electro-Magnetic Force Effect)

  • 강경록;유홍희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25권3호
    • /
    • pp.362-368
    • /
    • 2001
  • To design a limiting MCCB (Molded Case Circuit Breaker) mechanism, a dynamic modeling of the mechanism in which the electro-magnetic force effects are incorporated needs to be developed. Conventionally, electro-magnetic effects were considered separately for the design of the mechanism. In this paper, an electro-magnetic force that is induced by limited current is identified and included in the dynamic modeling of the mechanism. Thus, the electro-magnetic which is defined as a external force and the mechanical effects are simultaneously considered for the design of the mechanism which is composed of contactor, spring , link, latch and so on.

Implementing a Dielectric Recovery Strength Measuring System for Molded Case Circuit Breakers

  • Cho, Young-Maan;Rhee, Jae-ho;Baek, Ji-Eun;Ko, Kwang-Cheol
    • Journal of Electrical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13권4호
    • /
    • pp.1752-1758
    • /
    • 2018
  • In a low-voltage distribution system, the molded case circuit breaker (MCCB) is a widely used device to protect loads by interrupting over-current; however the hot gas generated from the arc discharge in the interrupting process depletes the dielectric recovery strength between electrodes and leads to re-ignition after current-zero. Even though the circuit breaker is ordinarily tripped and successfully interrupts the over-current, the re-ignition causes the over-current to flow to the load again, which carries over the failure interrup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dielectric recovery process and the dielectric recovery voltage of the MCCB. To determine these characteristics, a measuring system comprised of the experimental circuit and source is implemented to apply controllable recovery voltage and over-current. By changing the controllable recovery voltage, in this work, re-ignition is driven repeatedly to obtain the dielectric recovery voltage V-t curve, which is used to analyze the dielectric recovery strength of the MCCB. A measuring system and an evaluation technique for the dielectric recovery strength of the MCCB are described. By using this system and method, the measurement to find out the dielectric recovery characteristics after current-zero for ready-made products is done and it is confirmed that which internal structure of the MCCB affects the dielectric recovery characteristics.

1ϕ 2 W MCCB의 기준 비교 및 내열 특성 평가에 관한 연구 (Comparison of Standards for a 1ϕ 2 W MCCB and Study on the Evaluation of Heat Resistance Characteristics)

  • 최충석;이재혁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8권4호
    • /
    • pp.21-28
    • /
    • 2014
  • 단상 2선식 MCCB의 관련 기준을 분석하고, 내열 특성을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KS C 8321은 IEC 60947-2의 규격을 부합화되어 관련 규정 대부분이 유사하다. NFPA는 사용자 중심의 안전 규정을 제시한 것으로 시험 또는 검사 등의 세부 사항은 없으나 안전에 직접 관련이 있는 규정이 구체적으로 명시되어 있다. KS C 8321은 시험과 검사에 대한 항목이 세부적으로 분류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IEC 60947-2와 IEEE C37.51의 경우 시험 및 검사 항목을 간소화하거나 일부 생략되어 있다. 내열 실험 장치를 이용하여 MCCB를 $180^{\circ}C$에서 6 hr 동안 열적 스트레스를 인가하였을 때 작동 손잡이의 변형이 확인되었고, 트립 상태로 이동한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고정걸이의 대부분은 녹아서 기능이 상실되었다. $90^{\circ}C$에서 MCCB가 열적 스트레스를 받았을 때 특이 사항이 없었고, $105^{\circ}C$$120^{\circ}C$의 온도에서는 고정걸이가 일부 변형되었다. $150^{\circ}C$에서는 고정걸이의 변형 및 명판의 변색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MCCB의 내부 분석에서 트립바가 녹아서 없어진 것을 알 수 있었고, 상하 가동편은 상부로 이동한 것이 확인되었다. 내전압 6 kV를 60 s 동안 5회 인가한 실험에서 모든 항목이 안전하였다. 또한 절연저항계로 직류 500 V를 인가한 절연 성능 평가 역시 양호하였다.

자가용 수용가에서 배선용 및 누전차단기 오동작에 대한 조사연구 (Survey on the Malfunction of MCCB and ELB in Private Electrical Facilities)

  • 유재근;이상익;전정채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87-93
    • /
    • 2005
  • 최근 수용가의 부하회로 및 설비가 복잡해짐에 따라 배선용 및 누전차단기의 원인모를 동작 또는 오동작이 증가하고 있지만 오동작에 대한 실태조사는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218개소 자가용 수용가의 전기안전 관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배선용 및 누전차단기의 오동작 원인과 그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배선용 및 누전차단기 사용 장소의 $70[\%]$ 이상이 오동작을 경험하고 있고 오동작 원인은 노후화($25(\%)$ 이상), 원인불명($22(\%)$ 이상), 제품불량($20(\%)$ 이상), 고조파와 같은 이상전원($20(\%)$ 이상), 기타($9(\%)$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오동작로 인한 피해는 제품생산 차질, 기기고장, 정보손실, 업무 및 조업중단, 기타 순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현장에서 배선용 및 누전차단기의 오동작 원인을 분석할 때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460[V]/225[A]/50[kA] 한류형 배선용 차단기 소호부 개발 (Development of Contact System in 460[V]/225[A]/50[kA] Molded Case Circuit Breaker)

  • 최영길;구태근;이광식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137-144
    • /
    • 2002
  • 배선용 차단기(MCCB)는 신속한 고장전류 차단과 전원시스템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배전시스템에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MCCB의 소호부 형상에 따른 차단성능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성능향상을 꾀하고자 3차원 자계해석을 이용한 차단성능 평가해석기법을 개발하고, 개발한 평가해석기법을 각 모델 차단기에 적용한 바를 기술하였다. 또한, 소호부내 3분할 다단형 아크런너을 구성하여 불연속 통전경로를 형성함으로 해서 차단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끝으로, 이상의 연구내용을 토대로 새로운 소호부 형상을 고안하여 국내 최초로 460[V]/225[A]/50[kA] 대전력 단락시험에 성공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저압용 설비에 적용된 Plug-In MCCB의 온도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emperature Properties of Plug-In MCCB Applied Installment for Low Voltage)

  • 이병설;최충석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63-64
    • /
    • 2013
  • 개발된 Plug-In MCCB를 저압용 부스바에 설치하여 온도 특성을 분석한 결과 모든 상(phase)에서 기준 범위보다 적은 값을 나타냈고, 가장 높게 측정된 곳의 온도 역시 $13.7^{\circ}C$ 이었다. 또한 단시간 전류 시험 및 기계적 동작 시험 후의 온도 상승 시험에서도 $18.5^{\circ}C$로 측정되어 모든 부분의 특성이 양호한 것을 알 수 있다.

  • PDF

배선용 차단기의 전자 반발력에 관한 연구 (Analysis of Electromagnetic Repulse Forces of MCCB)

  • 김길수;임기조;강성화;조현길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593-596
    • /
    • 2001
  • It is necessary for calculation of repulsion forces acting on the closed electric contacts flowing over-current, e.g. inrush current and overload currents, to do optimum design of switching devices. In this paper, the farces and flux densities generated by currents at the contact point when circuit breakers are in closed state are obtained by using 3D finite element methode. To be convinced of the results, we measure electrogmanetic repulsion forces on contacts by measuring voltage between opened contacts in MCCB.

  • PDF

배선용 차단기(MCCB) 차단성능 평가해석 기법 (Analytic Estimation of Interrupting capability on contact system in MCCB)

  • 최영길;정진교;김인용;박인호;황규찬;이광식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2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B
    • /
    • pp.628-632
    • /
    • 2002
  • Low voltage circuit breakers which interrupt rapidly and raise the reliability of power supply are widly used in power distribution systems. In the paper, it was investigated how much Interrupting capability was improved by correcting the shape of the contact system in molded case circuit breaker(below MCCB), especially arc runner. Prior to the interrupting testing, it was necessary for the optimum design to analyze electromagnetic forces on the contact system, generated by current and flux density. This paper presents both our compuational analysis and test results on contact system in MCCB

  • PDF

배전반에 설치된 Plug-In MCCB의 접촉 저항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tact Resistance of Plug-In MCCB Placed in Distributing Board)

  • 이병설;최충석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3년도 춘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56-57
    • /
    • 2013
  • Plug-In MCCB는 전원부의 연결 단자가 없으며, 차단기 후면에 설치된 하우징 형태(housing type)의 플러그 유닛으로 부스바에 원터치(one touch) 설치 및 분리 등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차단기의 교체 시간이 짧고, 전원 복구가 신속하여 설비의 효율적 운용에 기여할 수 있다. 차단기의 후면에 있는 플러그 유닛이 동 부스바에 연결되었을 때 저항 특성을 초저항측정기(Resistance Tester)로 분석하였다. 3상 3선식 플러그인 배선용차단기를 동 부스바에 설치했을 때 R-phase과 플러그 단자 사이의 접촉 저항은 $0.51m{\Omega}$으로 확인되었다. 즉, 개발된 Plug-In MCCB를 이용하여 부스바에 설치할 때 접촉(속)부의 전기적 특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