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RPOL Annex VI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9초

The Study on ensuring Effectiveness of IMO Instrument regarding GHG emission from Ships - focusing on MARPOL73/78 Annex VI

  • Doo, Hyun-Wook;Lee, Yun-Cheol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511-517
    • /
    • 2013
  • UNFCCC was adopted in 1992 in order to prevent global warming. However, as a lack of concrete reduction goal and implementation plan, UNFCCC could not have effectiveness. In 1997, Kyoto Protocol to UNFCCC was adopted and UNFCCC regime started practically binding on the parties. Global warming takes the leading role in changing marine environment such as the rising of water level and sea water temperature. Also, Ocean plays the vital role in storing carbon to prevent global warming. Meanwhile ships which get the propulsion generated by consuming the fossil fuel are identified as GHG source and the discussions regarding the control of GHG emitted from ships are still in progress in IMO. IMO instrument has some legal conflicts with UNFCCC in principle. Therefore, this paper reviews the present UNFCCC regime and UNCLOS. Also, it surveys activities of IMO and analyze the Amendment to MARPOL73/78 Annex VI which entered into force on January 1, 2013. Finally, conclusions suggest the improvements in order to ensure effectiveness the new Amendment to MARPOL73/78 practically.

IMO MEPC 62차 회의 결과 및 향후 연구동향 (A study on the results of IMO MEPC 62nd session and future discussion points)

  • 김경민;남정길
    •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 2011년도 후기공동학술대회 논문집
    • /
    • pp.39-40
    • /
    • 2011
  • The 62nd session of the MARINE Environment Protection Committee was held in London from 11 to 15 July 2011. Mandatory measures to reduce emissions of greenhouse gases (GHGs) from international shipping were adopted at the Committee. The amendment to MARPOL Annex VI includes a new chapter 4 to make mandatory the Energy Efficiency Design Index (EEDI) for new ships and the Ship Energy Efficiency Management Plan (SEEMP) for all ships. This first mandatory measures on energy efficiency will enter into force on 1 January 2013. This amendment to MARPOL Annex VI will significantly influences the vast majority of the international maritime community. This paper mainly discusses the main results of MEPC 62nd session including the recent Emission Control Area.

  • PDF

울산항 선박으로부터의 대기오염 배출량 산정에 관한 연구 (A studies on the Air pollutant Emission Rate calculation from vessels in the Ulsan Port)

  • 정광현;김성주;박흥석
    • 해양환경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해양환경안전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발표회
    • /
    • pp.111-118
    • /
    • 2005
  • 국제해사기구(IMO)에서 1997년 9월 선박으로부터의 대기오염방지를 위한 협약(MARPOL 부속서VI)을 채택하여 U년 5월 19일 협약 발효를 앞두고 있다. 따라서 향후 선박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 중에 포함된 아황산가스(SOx)와 질소산화물(No%)등 대기오염 물질의 배출 규제와 항만이나 터미널에서 유조선으로부터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배출금지 등의 규제가 강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이에 대한 대비와 관리방안을 모색하고자 외국에서 이용되는 선박의 배출오염물질 산정 방법을 이용하여 선박에서 배출되는 SOx, NOx의 배출량을 산정하였다. 또한 울산항 특성을 감안하여 액체화물 적$\cdot$양하시 발생되는 휘발성유기화합물(VOCs)의 양을 산정하는 방법에 대해 고찰하고 그 배출량을 산정하였다.

  • PDF

산적 액체 화물 작업중 배출되는 VOCs 분석방법 및 오염 측정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Method and Pollution Measure of existed VOCs during the Bulk Liquid Cargo Operation at Vessels)

  • 정광현;이인호
    • 해양환경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해양환경안전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발표회
    • /
    • pp.21-26
    • /
    • 2007
  • [ ${\ulcorner}$ ]1978년 의정서 및 1997년 의정서에 의하여 개정된 선박으로부터의 오염방지를 위한 1973년 국제협약${\lrcorner}$의 부속서 VI ${\ulcorner}$선박으로부터의 대기오염방지를 위한 규칙${\lrcorner}$이 발효 (2005.5.19) 함에 따라 동 내용의 수용을 위한 개정 (2005.12.29, 공포, 2006. 6.29. 시행)이 되었음에도 유중기배출제어장치의 설치가 되어있지 않았거나 설치되어 있어도 사용하지 않는 유류 터미널이 대부분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하고 체계화되지 않은 VOCs 의 시료채취 및 분석방법을 고찰하고 산적 액체 위험물작업중에 배출되는 VOCs의 현 실태를 파악하여 VOCs 에 대한 보다 체계화된 접근을 시도해보고자 하였다. VOCs 에 대한 시료채취방법 중 Tedlar bag 은 화학반응 및 흡착현상에 의한 농도감소현상이, 용매추출을 이용한 방법은 추출시의 실험오차요인이, 흡착관은 흡착시 파과에 의한 오차요인이 분석의 신뢰도를 떨어뜨리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Canister를 이용한 방법은 상기 방법의 단점을 보완한 가장 안정한 방법으로 파악된다. 선박에서 산적 액체 화물 작업중 배출된 유해성대기오염물질의 분석자료와 오염물질에 관한 VOCs 배출 연구분석자료는 충분하지 않다. 그러므로, 향후 선박 작업중에 배출되는 VOCs 관리에 대한 지속적인 Monitoring이 필요하다고 사료되며 선원들의 건강상 안전을 위해서라도 이 분야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으면 한다.

  • PDF

선박동력용 SOFC시스템의 성능 및 안전성 해석 (Performance and Safety Analysis of Marine Solid Oxide Fuel Cell Power System)

  • 김명환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3권2호
    • /
    • pp.233-243
    • /
    • 2009
  • The strengthened regulations for atmospheric emissions from ships like MARPOL Annex VI have caused a necessity of new, alternative power system in ships for the low pollutant emissions and the high energy efficiency. This paper attempts to investigate the configuration of SOFC system for LNG tanker taking into account the safety and to analyze the influence of design parameters on the system performance. The simulation results provide the basic data for the design and efficiency improvement of SOFC system and indicate the guidelines for the safe system operation.

선박동력용 SOFC/GT 하이브리드시스템의 성능 및 안전성 해석 (터빈 냉각 및 TIT 일정 조건을 중심으로) (Performance and Safety Analysis of Marine Solid Oxide Fuel Cell and Gas Turbine Hybrid Power System (under Conditions of Turbine Cooling and Constant TIT))

  • 김명환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3권4호
    • /
    • pp.484-496
    • /
    • 2009
  • The strengthened regulations for atmospheric emissions from ships like MARPOL Annex VI have caused a necessity of new, alternative power system in ships for the low pollutant emissions and the high energy efficiency. This paper attempts to investigate the configuration of SOFC/GT hybrid power system for LNG tanker taking into account the safety and to analyze the influence of design parameters on the system performance. The simulation results provide the basic data for the design and efficiency improvement of SOFC/GT hybrid system and indicate the guidelines for the safe system operation.

디젤엔진의 NOx 배출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NOx Discharge Characteristics of Diesel Engines)

  • 남정길;최주열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27권3호
    • /
    • pp.373-380
    • /
    • 2003
  • According to the NOx regulations of annex Vi to IMO MARPOL 73/78, all diesel engines with a power output of more than 130 kW should be delivered so as to comply with the IMO speed dependent NOx limit. It is inevitable to adopt this regulations for marine engines Therefore, most of diesel engines which are being currently built should be designed and tested in accordance with the NOx technical code In this study, NOx concentrations of 4 type engines were measured with portable NOx measuring system recommended by ISO-8178. As the results NOx concentrations of each engine by variation of engine speed and engine load were visualized Also these results can be utilized for the basic design and development of diesel engine for NOx reduction.

미세먼지와 항만, 4차산업시대의 대응전략 (PM and Port, Counter Strategy in the Era of the Forth Industrial Revolution)

  • 이중우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64-166
    • /
    • 2018
  • 최근 전 세계적으로 수송수단과 산업시설에서의 배출로 인한 대기오염의 심각성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항만과 공항에서도 대기오염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있고 지역별 대기오염물질 배출 및 대기오염도 현황을 분석하여 각 시설에서의 종합관리방안을 도출하고 있다. 2020년부터 시행되는 국제해사기구(IMO)의 선박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 즉, 황성분을 포함한 연소배기가스 중 CO2, SOX,NOX, PM2.5의 배출규제에의 대응과 배출규제해역(ECA)제도 도입에 따른 업계와 정부, 학회의 대비도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부산항에서도 항내계류선박과 하역장비에서의 오염물질 배출을 억제하기 위한 대체전력공급(AMP, Cold Ironing)에 대해 대응하고 있다. 본 연구는 도시주민의 건강을 위협하는 미세먼지(PM2.5)의 심각성과 배출가스의 저감을 위한 방안을 소개하고 오히려 이를 해운항만에서의 4차산업 발전의 계기로 대응하도록 하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산업화 과정에서 필연적인 대기오염을 저감시키는 방안이 새로운 해양산업으로 전환하기를 기대한다.

  • PDF

선박용 잔사유의 품질에 대한 기초연구 (Basic study of residual marine fuels quality)

  • 박희우;천강우;김진희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40권4호
    • /
    • pp.362-368
    • /
    • 2016
  • 최근 국제해사기구(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이하 IMO) 해사안전위원회(Maritime Safety Committee, 이하 MSC) 제 93차 회의에서 ICS(International Chamber of Shipping) 및 IPTA(International Parcel Tankers Association)는 저유황유 수요 증가에 따른 연료유내 희석제의 사용량 증가 문제, 저인화점 연료유 사용 시 기관실내 연료유 기화에 의한 점화 문제, 선박 엔진 손상을 일으키는 연료유 등에 대해 보고하였다. 연료유 품질 문제와 관련하여 IMO 사무국에서는 전 세계에 공급되는 선박용 연료유 품질 모니터링 기관을 지정하였고 공급된 연료유가 MARPOL Annex VI regulation 14.8 (황분함유량이 0.5 % 이하)에 만족하는지 결정하기 위한 통신작업반 (Correspondence group)을 구성하여 연료유 품질 문제에 대응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선박용 연료유의 품질 문제 제기 및 이에 대한 대응을 위해 국내외에서 이루어지는 연구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연구를 수행하였다. 기초연구를 위해 싱가포르 항구에서 수급되는 실제 선박용 연료유(잔사유)의 기본품질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기본품질 데이터를 통해 연료유의 품질기준 (ISO 8217:2012) 미달 비율, 밀도분포 경향, 총발열량 및 연료유 내 성분 간 상관관계 등을 포함한 분석들을 수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