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RK3

검색결과 805건 처리시간 0.037초

Seaweed ethnobotany of eastern Sorsogon, Philippines

  • Dumilag, Richard V.;Belgica, Teresa Haide R.;Mendoza, Lynn C.;Hibay, Janet M.;Arevalo, Abel E. Jr.;Malto, Mark Ariel D.;Orgela, Elden G.;Longavela, Mabille R.;Corral, Laurence Elmer H.;Olipany, Ruby D.;Ruiz, Caesar Franz C.;Mintu, Cynthia B.;Laza, Benilda O.;Pablo, Mae H. San;Bailon, Jinky D.;Berdin, Leny D.;Calaminos, Franklin P.;Gregory, Sheryll A.;Omoto, Annie T.;Chua, Vivien L.;Liao, Lawrence M.
    • ALGAE
    • /
    • 제37권3호
    • /
    • pp.227-237
    • /
    • 2022
  • Knowledge on the seaweeds of eastern Sorsogon in the Philippines is uneven. Not only is eastern Sorsogon among the areas of high seaweed diversity but locals there have interacted with seaweeds for ages. Despite seaweeds' assumed importance to Sorsoganon, ethnobotanical records are missing. In this study, we documented the traditional knowledge on seaweed use and determined the rate of knowledge transmission among the locals of eastern Sorsogon. Vernacular names and modes of preparation were given of the 12 identified species bearing culinary and medicinal importance. Ten species were eaten while three were used therapeutically. Based on ethnobotanical indices, Caulerpa chemnitzia ecad turbinata and Gelidiella acerosa were the most important seaweeds. The least cited was Caulerpa racemosa. Our study demonstrated that most of the seaweed resources in eastern Sorsogon remain largely untapped, as the identified ethnotaxa were only about 5% of the total seaweed species diversity reported for the area. The seaweed knowledge in eastern Sorsogon appeared to be homogenous across age groups with primary sources of knowledge biased towards female relatives (mothers and grandmothers) and to children as inheritors. Cessation of seaweed knowledge may come at a potential cost, as a significant fraction of the population did not transmit their knowledge to others. Our study furthered the interest in providing sophisticated resource management recommendations that consider the relationships of traditional and scientific knowledge of seaweed selection and use in eastern Sorsogon and beyond.

Gender Affirming Surgery in Nonbinary Patients: A Single Institutional Experience

  • Allison C. Hu;Mengyuan T. Liu;Candace H. Chan;Saloni Gupta;Brian N. Dang;Gladys Y. Ng;Mark S. Litwin;George H. Rudkin;Amy K. Weimer;Justine C. Lee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50권1호
    • /
    • pp.63-69
    • /
    • 2023
  • Background An increasing number of nonbinary patients are receiving gender-affirming procedures due to improved access to care. However, the preferred treatments for nonbinary patients are underdescrib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goals and treatments of nonbinary patients. Methods A retrospective study of patients who self-identified as nonbinary from our institutional Gender Health Program was conducted. Patient demographics, clinical characteristics, surgical goals, and operative variables were analyzed. Results Of the 375 patients with gender dysphoria, 67 (18%) were nonbinary. Over half of the nonbinary patients were assigned male at birth (n = 57, 85%) and nearly half preferred the gender pronoun they/them/theirs (n = 33, 49%). A total of 44 patients (66%) received hormone therapy for an average of 2.5±3.6 years, primarily estrogen (n = 39). Most patients (n = 46, 69%) received or are interested in gender-affirming surgery, of which, almost half were previously on hormone therapy (n = 32, 48%). The most common surgeries completed or desired were facial feminization surgery (n = 15, 22%), vaginoplasty (n = 15, 22%), mastectomy (n = 11, 16%), and orchiectomy (n = 9, 13%). Nonbinary patients who were assigned male at birth (NB-AMAB) were more often treated with hormones compared to nonbinary patients assigned female at birth (NB-AFAB) (72% vs. 30%, p = 0.010). Conversely, patients who were AFAB weremore likely to complete or desire surgical intervention than those who were AMAB (100% vs. 63.0%, p < 0.021). Conclusion Majority of nonbinary patients were assigned male at birth. NB-AFAB patients all underwent surgical treatment, whereas NB-AMAB patients were predominantly treated with hormone therapy.

Vitrification of Highly Active Liquid Waste(II) (The thermal decomposition of HARVEST feed slurries and the characterization of the product)

  • Chun, K.S.;Morris, J.B.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11권3호
    • /
    • pp.203-212
    • /
    • 1979
  • Magnox 핵연료 재처리에서 발생되는 모의고준위 방사성폐액의 열분해와 이 폐액의 유리화를 위한 첨가제가 함유된 HARVEST 공급스러리 (SN과 SG)의 열분에 관하여 연구되었다. 폐액과 스러리는 500-55$0^{\circ}C$ 범위에서 거의 완전히 가소 처리된다. 90$0^{\circ}C$ 이하에서 스러리로부터 얻어지는 고화물들은 유사한 색체를 띄지만, 이 이상에서 대단히 짙은 색으로 변한다. 스러리는 90$0^{\circ}C$에서 유리화하기 시작하여 1000-105$0^{\circ}C$에서 완전히 유리화 된다. 한편, SN 스러리내에 불순물로 존재하는 황화물은 75$0^{\circ}C$ 이상에서 황색반점을 분리시키는 영향이 있다. 650-$700^{\circ}C$ 이하에서 얻어지는 고화물의 밀도는 대단히 낮고 700-80$0^{\circ}C$에서는 밀도가 2g/㎤로 급증됨으로서 650-$700^{\circ}C$에서 용융되기 시작하는 것같다. 50$0^{\circ}C$까지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고화물의 강도가 감소하고, 그 이상에서는 고화물의 소질현상으로 인하여 강도가 증가하게 된다. 50$0^{\circ}C$ 이하의 SN 고곡물은 SG 고화물에 비하여 강도가 훨씬 크고, 불순물로 존재하는 황화물은 silica의 반응도를높여 준다는 것을 암시하고 있다.

  • PDF

Myocardial Blood Flow Quantified by Low-Dose Dynamic CT Myocardial Perfusion Imaging Is Associated with Peak Troponin Level and Impaired Left Ventricle Function in Patients with ST-Elevated Myocardial Infarction

  • Jingwei Pan;Mingyuan Yuan;Mengmeng Yu;Yajie Gao;Chengxing Shen;Yining Wang;Bin Lu;Jiayin Zhang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0권5호
    • /
    • pp.709-718
    • /
    • 2019
  • Objective: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of myocardial blood flow (MBF) quantified by dynamic computed tomography (CT) myocardial perfusion imaging (MPI) with troponin level and left ventricle (LV) function in patients with ST-segment elevated myocardial infarction (STEMI). Materials and Methods: Thirty-five STEMI patients who successfully had undergone reperfusion treatment within 1 week of their infarction were consecutively enrolled. All patients were referred for dynamic CT-MPI. Serial high-sensitivity troponin T (hs-TnT) levels and left ventricular ejection fraction (LVEF) measured by echocardiography were recorded. Twenty-six patients with 427 segments were included for analysis. Various quantitative parameters derived from dynamic CT-MPI were analyzed to determine if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hs-TnT levels and LVEF on admission and again at the 6-month mark. Results: The mean radiation dose for dynamic CT-MPI was 3.2 ± 1.1 mSv. Infarcted territories had significantly lower MBF (30.5 ± 7.4 mL/min/100 mL versus 73.4 ± 8.1 mL/min/100 mL, p < 0.001) and myocardial blood volume (MBV) (2.8 ± 0.9 mL/100 mL versus 4.2 ± 1.1 mL/100 mL, p = 0.044) compared with those of reference territories. MBF showed the best correlation with the level of peak hs-TnT (r = -0.682, p < 0.001), and MBV showed a moderate correlation with the level of peak hs-TnT (r = -0.437, p = 0.026); however, the other parameter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hs-TnT levels. As for the association with LV function, only MBF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LVEF at the time of admission (r = 0.469, p = 0.016) and at 6 months (r = 0.585, p = 0.001). Conclusion: MBF quantified by dynamic CT-MPI is significantly inversely correlated with the level of peak hs-TnT. In addition, patients with lower MBF tended to have impaired LV function at the time of their admission and at 6 months.

치위생과 신입생들의 전공 및 직업의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wareness of Dental Hygiene Freshmen of Major and Occupation)

  • 임미희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277-284
    • /
    • 2006
  • 본 연구는 치위생과 신입생들의 전공 및 직업의식을 알아보기 위해 경기 지역에 위치한 3개 대학의 치위생과 신입생 36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으며, SPSS WIN 11.5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직업에 관련된 견해에서 직장을 선택하는 조건으로는 보수가 많은 직장 M = 2.97점으로 가장 우선적으로 선택하였고, 직업에 대한 견해로는 생활수입을 위한 수단 M = 1.60점, 치과병의원 수익에 대한 견해로는 기계구입,시설확장, 기술개발 등 발전에 재투자해야 한다가 M = 2.00점으로 각각 가장 우선적인 선택으로 조사되었다. 2. 입학동기에 따른 전공만족와의 관계에서는 매우 만족과 만족하는 경우 적성에 맞는것 같아서 96.6%, 안정된 직업을 얻기 위해서 82.6%, 가족 친지 담임교사의 권유에 의해서 62.8%, 입학성적에 맞추어서 59.1%순이었으며, 경제적 사정으로 진학한 경우는 불만족 100%로 조사되어 입학동기에 따른 전공에 대한 만족도는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 < 0.01). 3. 전반적인 직업의식은 3.10점이었고, 각 유형별 직업의식은 대인관계 직업의식 및 근로윤리 직업의식이 각각 3.19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학술관련 직업의식 3.04점, 전문직종 직업의식 2.99점으로 가장 낮게 조사되었다. 4.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업의식 정도에서는 입학동기와 입학당시의 정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 < 0.05), 전공 만족에 따른 직업의식 정도에서는 전공학과, 직업유지, 직업전망 및 전공교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 < 0.01).

  • PDF

먹이제한과 단기 수온하강 조건에서 넙치의 스트레스 반응과 생리학적 대사활성 변화 (Changes of Stress Response and Physiological Metabolic Activity of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Following to Food Deprivation and Slow Temperature Descending)

  • 명정인;강덕영;김효찬;이정호;노재구;김현철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87-94
    • /
    • 2011
  • 본 연구는 통상적으로 활어 수송을 위해 사용되는 수온 $15{\pm}2^{\circ}C$ 범위에서 단기 수온 강하와 단기간 먹이제한을 했을 때 넙치의 스트레스 반응과 생리상태를 혈중 생화학 인자와 4종류의 갑상선호르몬의 변화를 통해 파악하고, 이 결과들을 바탕으로 어류의 스트레스 및 생리활성 지표로서 분석 인자들의 효용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먹이제한 실험은 1년생 넙치 양성어(전장 $32.9{\pm}1.2$ cm, 체중 $348.0{\pm}34.7$ g)를 이용해 8일간 실시하였고, 수온변화 실험은 1년생 양성어(전장 $32.7{\pm}1.2$ cm, 체중 $327.1{\pm}33.6$ g)를 이용해 8일간 수온을 $15.8^{\circ}C$에서 $13.3^{\circ}C$로 하강시키며 실시하였다. 혈중 생화학적 분석 인자는 ALT, AST, TP, GLU, 전해질($Na^+$, $K^+$, $Cl^-$), thyroid hormones (total $T_3$ & $T_4$ free $T_3$ & $T_4$)의 혈중 변화로 이루어졌다. 먹이섭식 제한 결과, AST, ALT 및 전해질에서는 절식기간 동안 어떠한 유의한 변화를 찾아볼 수 없었지만, TP와 GLU는 유의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갑상선호르몬 농도의 경우, 조사된 4종류 모두 절식기간이 길어지면서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통계적으로 $FT_4$$TT_3$가 개시에 비해 실험 종료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수온하강 실험의 경우, AST, ALT, TP 및 전해질 및 갑상선호르몬 농도에서 유의한 변화는 없었으나, GLU에서는 온도하강에 따른 농도 감소가 관찰되었다(P<0.05).

금강 지류 백곡천의 어류군집 및 천연기념물 미호종개 Cobitis choii의 서식양상 (Community Structure of Fish and Inhabiting Status of Natural Monument Cobitis choii in the Baekgok Stream, a Tributary of the Geum River Drainage Systrem of Korea)

  • 고명훈;홍양기;김해림;방인철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99-111
    • /
    • 2014
  • 금강 지류인 충북 진천군 백곡천의 어류군집 및 멸종위기종 미호종개의 서식양상을 밝히기 위하여 2012년 조사를 실시하였다. 상류 (St. 1~3)는 하천형이 계곡형인 Aa 또는 Aa-Bb형이고 하상은 주로 큰돌과 돌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10~14종의 어류가 서식하고 있었고, 중류 (St. 4~5)는 중류형인 Bb형 또는 Bb-Bc형으로 하상은 돌과 큰돌, 자갈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15~21종의 어류가 서식하고 있었다. St. 6은 백곡저수지로 하상은 대부분 펄이었고 9종이 서식하고 있었으며, St. 7은 백곡저수지 유출지점으로 하천형이 Aa-Bb형이고 하상은 주로 큰돌과 돌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7종이 채집되었다. 하류(St. 8~9)는 중류형인 Bb형으로 하상은 주로 돌과 모래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20~23종의 어류가 서식하고 있었다. 백곡천에 출현한 종수는 모두 10과 35종이었으며, 우점종은 피라미(34.7%)였고, 아우점종은 돌고기(9.4%)와 돌마자(9.0%)였으며, 그 다음으로 민물검정망둑(8.2%), 모래무지(5.9%), 붕어(4.6%), 참몰개(3.7%), 밀어(3.0%) 순으로 우세하게 출현하였다. 출현종 중 고유종은 10종 (28.6%)이었으며, 외래어종은 떡붕어와 배스 2종이었다. 천연기념물이며 멸종위기종인 미호종개는 St. 5의 유속이 느리고 수심 0.3~1.0 m이며 하상이 모래인 곳에 주로 서식하고 있었다. 이들의 생태적 특징을 조사한 결과 서식개체수는 $7,838{\pm}6,290$개체가, 연령은 당년생 전장 38~45 mm, 1년생 46~60 mm, 2년생 61~80 mm, 3년생 이상은 81~93 mm로 추정되었고, 비만도지수 (${\times}10^5$)는 암컷 0.36~0.39, 수컷 0.35~0.38이었으며, 기생충의 일종인 이생충(digenea)이 13.5%가 감염되어 있었다. 그 밖에 백곡천 미호종개의 건강성과 위협요인, 보전에 대해 논의하였다.

뇌졸중 환자의 주간 재활간호센터에 대한 요구 (The Needs for Rehabilitation Day Care Center in Stroke Patients)

  • 고선화;이명하
    • 가정간호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14-128
    • /
    • 2002
  • In order to provide information for the establishment and maintenance of a rehabilitation day care center for stroke patients. this study is to assess needs for the rehabilitation day care center of the stroke patients and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needs for the center. The data were collected face-to-face interview with 223 stroke patients.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from September 24. 2001 to November 20. 2001.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Most of the participants($94.6\%$) needed rehabilitation day care center for stroke patients. $95.5\%$ of participants were willing to use the rehabilitation day care center. 2. Also the score of the needs for the center's health services was $2.84\pm60$ out of 4.00. In regards to the sub-contents. while the physical exercise therapy showed the highest mark($3.54\pm71$) in the needs. the following marks showed physical therapy($3.48\pm79$), training for the memory. thinking and judgment($3.30\pm93$). training for ADL($3.09\pm99$). health education program($3.04\pm93$). In the meantime. the expected effects from the use of the center are $2.89\pm61$ out of 4 and its sub-contents showed that the center would promote their physical and mental well-being($3.30\pm74$) and the center would be more effective than in home care($3.12\pm70$). 3. Meanwhile. the desired frequency of use in the future and distance had significant interrelation with their families living together(p<.05). In addition those who paid to use it differentiat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ir ages and the types of insurance they had(p<.05). 4. The needs in degrees of speech disorder therapy and hobbies & amusements. the patients with other disease had significantly higher degrees than those patients without it (p<.05). Also in regard to the need degrees for physical therapy. healthy education programs and individual counseling including their families. the degrees of the patients with speech disorder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patients without the disorder (p<.05). On the other hand. the patients with speech disorder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patients without it in the need degree of the speech disorder therapy (p=.000). And the needs in degree concerning about speech disorder therapy. physical exercise therapy. training for ADL. medicinal substances therapy and family education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ADL (r=-.236$\sim$.305, (p<.005). 5. Finally. the expected effect of using the rehabilitation day care center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statistically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y had other disease (p<.05). In conclusion. the study showed the stroke patients were willing to use the center and had a high requirements for it and they especially had relatively high need degrees for the physical exercise therapy. physical therapy. training for memory. thinking and judgment. and healthy education program. And significant factors for the use of the center were their ages. types of insurance. family cohabitation. complications and speech disorders. ADL and so forth. Accordingly. the rehabilitation day care center needs to be established for the stroke patients and the center should develop rehabilitation care programs. which are individual and special programs customized for each patient's characteristics and health conditions.

  • PDF

오징어 연골을 이용한 Chitosan 및 Acetylchitosan의 제조와 특성 (Chitosan and Acetylchitosan from Squid Pen and Their Characteristics)

  • 최현미;황선영;박성민;이근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563-569
    • /
    • 2001
  • 1. 오징어 연골과 chitin, chitosan의 질소함량은 각각 $12.1\%,\;8.1\%,\;5.8\%$이며 회분함량은 각각 $0.8\%,\;9.4\%,\;0.2\%$로 나타났으며 오징어 연골로부터 최종적으로 만들어지는 chitosan의 수율은 $25\pm3\%$ 이었다. 2. 재탈아세틸화 하여 얻어진 chitosan의 탈아세틸화도는 $92\%$로 이는 NMR을 분석한 결과 chitin의 NMR 분석에서 보여지는 $CH_3$와 C=O기의 peak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며 또한 $C_3, C_5$$\beta-chitin$에서는 역평행 구조로서 2개의 signal로 나타나는데 본 실험에서는 $\beta-chitin$에서 보여지는 단일의 signal로 나타났다. 3. Chitosan을 0.2M AcOH-0.1 M AcONa 용액에 녹여 $30^{\circ}C$에서 점도를 측정한 결과 Mark-Houwink 식과 Rinaudo의 상수로부터 $[\eta]=1.424\times10^{-5}M^{0.96}$이었으며 분자량은 $1.15\times10^6$이었다. 4. I.R spectrum을 측정한 결과 chitin은 $1,653 cm^{-1}$에서amide I bend가 $1,558 cm^{-1}$에서 amide II bend가 나타났으며 chitosan은 $1,601 cm^{-1}$에서 1개의 넓은 bend가 생겼다. N-acetylchitosan의 경우 chitin과 마찬가지로 $1,655cm^{-1}$에서 amide I bend가 $1,560 cm^{-1}$에서 amide II bend가 나타났다. 5. 아세틸 함량은 N-acetylchitosan 분말이 $5.9\%$, acetylchitosan bead가 $63.2\%$ , N-ACF-1이 $56\%$ , N-ACF-2가 $58.7\%$ 이었다. 6. Chitin, chitosan 및 N-acetylchitosan을 formic acid에 용해하여 실온에서 시간에 따른 고유점도 변화를 관찰한 결과 chitosan이 chitin, N-acetylchitosan 보다 비교적 점도가 높았지만 3개 모두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도가 현저히 저하되어 25일째에는 chitosan이 14.39 dL/g, chitin이 1.31 dL/g, N-acetylchitosan이 1.06 dL/g이었다.

  • PDF

전산화 단층촬영 모의치료기 정도관리 팬텀의 유용성 평가 (Efficiency Evaluation of CT Simulator QA Phantom)

  • 황세하;민제순;이제희;박흥득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89-95
    • /
    • 2009
  • 목 적: 전산화단층촬영 모의치료기의 일일 정도 관리를 편리하고 신속하게 시행 할 수 있는 팬텀을 제작하여 유용성을 평가한다. 대상 및 방법: 폴리스타일렌 팬텀($250{\times}250{\times}100\;mm$)에 영상에서의 측정치와 실측정치의 정확성 확인을 위하여 홈($1{\times}100{\times}1\;mm$)을 만들었으며 테이블 이동의 정확성 평가를 위하여 중심부에서 위와 아래쪽 100 mm 지점에 직경 1 mm 크기의 홈을 만들어 방사선 비 투과 물질을 삽입하였다. 레이저의 정확성 평가를 위하여 팬텀 좌, 우측 수직선상에 십자 표시를 하였고 CT Number의 정확성 평가를 위하여 직경 25 mm, 깊이 50 mm의 원기둥 3개를 만들어 뼈 등가물질, 물, 공기를 삽입하였다. 제작한 팬텀을 전산화단층촬영 모의치료기(Brilliance BigBore, Philips, Netherlands)를 사용하여 촬영한 후(촬영조건 120 KVp, 100 mAs, 단면 두께 1 mm 연속촬영) 영상을 이용하여 측정치와 실측정치의 정확성, 테이블 이동, 레이저, CT Number의 정확성을 평가 하였다. 결 과: 제작한 팬텀을 이용하여 2008년 1월 7일부터 3월 7일까지 약 2개월 동안 본원에 설치되어 있는 전산화단층촬영 모의 치료기의 일일 정도관리에 사용해 본 결과 영상에서의 측정치와 실측정치의 정확성은 ${\pm}0.3\;mm$, 테이블 이동의 정확성은 ${\pm}0.3\;mm$, 레이저 정확성은 ${\pm}0.5\;mm$로 기준치인 ${\pm}1\;mm$ 오차범위 이내로 측정 되었으며 CT Number의 정확성 평가에서 뼈 등가 물질은 ${\pm}8\;HU$, 공기는 ${\pm}5\;$, 물은 ${\pm}5\;HU$로 기준치인 ${\pm}10\;HU$ 오차범위 이내로 측정되었다. 결 론: 본원에서 제작한 팬텀의 이용으로 신속하고 간편하게 레이저 장치의 정확성과 전산화단층촬영 모의치료기의 성능평가를 동시에 시행 할 수 있었으며 기존에 실시하던 일일 정도관리 항목에 영상을 이용한 평가 항목을 추가 보완함으로서 보다 정확한 치료 계획 과정을 수립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