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RINE ENVIRONMENT

검색결과 7,085건 처리시간 0.034초

선박폐수 처리공정의 개발에 관한 사례 (A Cas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New Process for Treatment of Waste Waters from Ships)

  • 최상모;허인석;양석준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71-78
    • /
    • 2009
  • 해양환경관리공단은 MARPOL 73/78에 따른 해양환경 보전을 위하여 1998년 정부로부터 전국 13개 주요 항만에 위치한 선박폐수 처리시설을 위탁받아 운영해왔다. 이 시설은 선박폐수를 처리함에 있어 단순히 해양환경관리법에서 정한 유분농도(n-H 광유류) 15ppm을 충족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운영되어 왔다. 그러나 선박폐수에는 n-H 광유류 뿐만 아니라 유기물에 의한 악취와 각종 불순물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이 처리되지 않고 그대로 해양에 배출됨으로써 해양오염은 물론 주변 인가 등으로부터 민원의 대상이 되었다. 이에 따라 공단은 지난 2007년 선박폐수 처리공정 개선 작업을 시행하여 새로운 수처리 약품을 개발하여 적용하고, 오존을 이용하여 기존의 공정을 3${\sim}$4 단계 줄이면서도 배출수의 유분농도 뿐만 아니라 콜로이드물질, ABS, 인, 질소 등 난분해성 유기물질과 미생물 분해에 의한 악취를 효과적이고 혁신적으로 저감 시킬 수 있는 새로운 공정을 개발하여 현장에 적용시켰다. 새로운 공정은 각종 오염물질과 악취를 획기적으로 제거할 뿐만 아니라 공정의 단순화를 통해 시설 유지비 10% 이상 절감 등 13개 선박폐수 처리시설 운영비를 매년 1억6천만원 이상 줄일 수 있는 획기적인 공정으로 방법특허를 출원하였다.

  • PDF

2015-2019년 한국 연안습지에 서식하는 바닷새 분포 현황 (Distribution of Seabird in Coastal Wetland of Korea in 2015-2019)

  • 김용희;이용우;박치영;한승우;이시완;김영남;조수연;황인서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27권3호
    • /
    • pp.158-172
    • /
    • 2022
  • 2015~2019년에 한국의 주요 연안습지 24~34개소를 중심으로 바닷새의 분포 현황을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출현한 바닷새는 총 7목 16과 111종이었고, 연간 출현종은 51~89종으로 2018년에 가장 많았다. 연간 관찰된 개체수는 92,821~265,783개체였으며, 2018년에 가장 많았다. 권역별로는 전라남부권역에서 가장 많은 종 수(55~72종)가 확인되었으며, 가장 많은 개체수(연평균 62,542개체)는 충청권역에서 관찰되었다. 조사지점별로는 2016년에 순천만 조사지점에서 68종으로 가장 많이 출현하였으며, 비인/장안 지역에서 2018년에 95,399개체로 가장 많이 관찰되었다. 서식지 이용 유형별 바닷새 조성비는 해안성조류가 평균 38%로 가장 많이 출현하였으며, 다음으로 헤엄치는 조류, 섭금류, 해양조류, 맹금류 순이었다. 법정보호종은 해양보호생물 8종, 멸종위기 야생동물 19종(I급 6종, II급 13종), 천연기념물 12종이 확인되었다. 주요 연안습지에서 바닷새는 조사시기에 따라 출현종 및 개체수의 차이를 보여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실태조사 및 서식지 특성을 고려한 보전 정책 반영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어류가두리 양식장의 물질수지 산정 (Mass Balance of Finfish Cage Farm in South Korea)

  • 심보람;김형철;윤상필;홍석진;정우성;강성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6권4호
    • /
    • pp.473-483
    • /
    • 202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better understand the impact of marine fish farming by estimating mass balances of carbon and nitrogen. According to the results, 94.55% of carbon and 95.66% of nitrogen inputs were from the feed supplied in the farm. Of the total carbon emissions in the farm, 47.28% was due to fish respiration, which was subsequently released into seawater. Advection and diffusion in the farm contributed to 30.29% of the carbon released. In the case of nitrogen, 50.70% of the nitrogen released into the seawater was produced by fish excreta, and 31.37% was advected and diffused into the system. The sedimentary environment received 3.82% and 3.10% of the carbon and nitrogen released from the farm, respectively. The fish feed used for healthy growth contained 11.64% carbon and 9.17% nitrogen. Since the feed type was floating pellets, the load released into the sedimentary environment was relatively lower than that released into the marine environmen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identification of an optimal fish feed that respects fish physiology and preserves a healthy ecology is critical for the future of aquaculture. Furthermore, ecosystem-based aquaculture systems that decrease environmental burden, while endeavoring to improve environmental health, are required.

울산-온산연안 표층퇴적물 내 미량금속 오염도 및 생태위해성 평가 (Pollution and Ecological Risk Assessment of Trace Metals in Surface Sediments of the Ulsan-Onsan Coast)

  • 선철인;김동재;이용우;김성수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45-253
    • /
    • 2015
  • 완전산분해법과 단일시약(1 M HCl) 추출법을 이용하여 울산-온산연안 표층퇴적물 내 미량금속의 오염도 및 생태위해성을 평가하였다. 표층퇴적물 내 미량금속 중 Cu, Cd, Pb, Zn, Hg의 농도는 울산연안에 비해 온산연안에서 2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단일시약 추출 분석 결과, Cd과 Pb은 총함량 중 가용성부분의 평균 함량이 각각 72%, 78%로 인위적 기원에 의해서 주로 공급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Cr, Li, Ni, As는 잔류성부분에서 평균 80% 이상 존재하여 주로 자연적 기원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해저퇴적물 해양환경기준과 비교한 결과, Cu, Pb, Zn, Hg의 총농도는 온산연안 일부 정점에서 관리기준을 초과하였으며, Cr, Ni은 모든 정점에서 주의기준 이하였다. 미량금속의 오염도 및 생태위해성을 다양한 지수(EF, $I_{geo}$, m-PEL-Q, ERI)로 평가한 결과, 울산-온산연안에서 미량금속 중 Cu, Cd, Pb, Zn, Hg의 오염도가 높았으며, 생태계에 잠재적 위해성은 Cd과 Hg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해양플랜트 기자재의 화재저항 성능에 관한 시험방법 및 설비의 개요 (The fire resistance performance test methods and equipment overview on the marine plant)

  • 전준표;김정식;최태진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발표회 초록집
    • /
    • pp.113-116
    • /
    • 2012
  • 플랜트란 산업 기계, 전기 통신 기계등 여러 가지를 생산하는 공장을 의미하고 있다. 해양플랜트는 바다위에 설치된 시설이라고 볼 수 있으며 주로 원유 및 가스를 채취하여 시중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정유공정까지 거치는 대규모 설비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가연성 물질을 생산, 적재함으로 화재 및 폭발의 위험성이 상존하며 화재가 발생하면 인화성 물질로 인한 대규모 화재와 폭발로 인하여 인명과 재산피해의 규모 또한 가름하기가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해양플랜트 화재시 화재와 폭발 두 가지 위험성 중 제트화재에 저항을 가지는 기자재를 평가할 수 있는 ISO 22899-1 시험방법과 설비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 PDF

해상에 위치한 고속도로교량에 대한 내염보수 공법 적용(1) - 염해조사 및 보수계획 (Repair of Highway Bridge Damaged by Chloride Attack in Marine Environment(l) - Investigation/Diagnosis and Repair)

  • 정해문;안태송;류종현;지한상;한복규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4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제16권1호
    • /
    • pp.822-825
    • /
    • 2004
  • Corrosion of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in marine environmen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mechanism of deterioration. The conventional repair techniques of concrete structure damaged by chloride attack consist of removing damaged concrete, cleaning rebar and patching with cement-based materials. However, recently, this method was considered to be ineffective for marine concrete structure in tidal zone. It is necessary to select proper repair method for domestic marine environment which shows broad tidal zone. This paper reports the results of repair of highway concrete bridge damaged by chloride attack in domestic marine environment.

  • PDF

Distribution of Certain Chlorobenzene Isomers in Marine Sediments from the Southeastern Coastal Areas of Korea

  • Moon Hyo-Bang;Choi Hee-Gu;Kim Sang-Soo;Lee Pil-Yong;Kim Hak-Gyoon;Ok Gon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4권2호
    • /
    • pp.58-64
    • /
    • 2001
  • Eight chlorobenzenes (out of a total of 12 in the congener series) were measured in the sediments from 21 stations in the southeastern coastal areas of Korea. The levels of total chlorobenzene isomers varied between 2.08 and 12.45 ng/g dry weight. The highest contents of total chlorobenzenes (CBs) were found in the sediments from Pohang coast. Trichloro­benzenes (the sum of 1,3,5-, 1,2,4- and 1,2,3-trichlorobenzene) were dominant classes among four congeners, whereas tetrachlorobenzenes (the sum of 1,2,3,5-, 1,2,4,5- and 1,2,3,4-tetra­chlorobenzene) and pentachlorobenzene were low levels. The contributions of total CBs showed similar patterns for all stations with positiv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in CBs species. It means that CBs contamination in the southeastern coasts of Korea came from the similar source.

  • PDF

Levels and Patterns of Polychlorinated Dibenzo-p-dioxins and Dibenzofurans in Sediments from Korean Coast

  • Moon Hyo-Bang;Choi Hee-Gu;Kim Sang-Soo;Jeong Seung-Ryul;Lee Pil-Yong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4권2호
    • /
    • pp.51-57
    • /
    • 2001
  • Polychlorinated dibenzo-p-dioxins (PCDDs) and dibenzofurans (PCDFs) were measured in sediment samples from 19 stations in the coastal areas of Korea from February to July 2000. PCDDs and PCDFs were detected in all sediment samples. The concentrations of these con­taminants ranged from 18.2 to 804.0 pg/g dry weight and I-TEQ concentrations varied from 0.1 to 5.5 pg/g dry weight. Examination of homologue groups showed that octachlorinated dibenzo-p-dioxin (OCDD) was predominant congener in Korean coast. This pattern was similar to homologue profiles of marine sediments in which the main source of PCDDs/DFs was derived from the atmospheric deposition of particulate matters generated from various industrial activities. Grain size and total organic carbon (TOC) distribution are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governing PCDDs/DFs concentration in this stud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