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PLE

검색결과 209건 처리시간 0.034초

Maple 6을 활용한 고등학교 수학교육

  • 김도현;김석만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12권
    • /
    • pp.233-248
    • /
    • 2001
  • 제7차 수학과 교육과정에서는 기술 공학적 교구를 수학-교수 학습에 적극적으로 활용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Computer Algebra System인 Maple 6을 고등학교 수학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영역과 방안에 대하여 알아보고, Maple 6을 활용한 학습 자료를 개발해 봄으로써 7차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수학 수업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 PDF

수학교육에서 Maple 모듈의 활용 방안 -고등학교 이차곡선을 중심으로-

  • 박용범;박일영;김한희;임기문;허만성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12권
    • /
    • pp.211-232
    • /
    • 2001
  • 수학 교수-학습에서 기호 연산 조작이 가능한 수학 응용소프트웨어인 Maple을 활용한 지도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Maple의 내장함수를 단순히 이용하는 것보다 모듈을 사용하여 학습자가 학습내용에 능동적으로 단계적인 풀이과정과 수학적 개념을 찾아갈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위해 Maple Procedure를 사용하여Package를 생성하고, 이를 Cell sheet에 적용시켜, 이차곡선에 대한 일반화된 개념 확립과 교사 - 매체 - 학생간의 원활한 상호작용으로 학생들의 문제해결력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교수-학습 모형을 탐색해 보고자 한다.

  • PDF

웹기반 그래프 알고리즘 탐구학습을 위한 Maple 워크시트 개발 (Development of Maple Work Sheet for Web Based Graph Algorithm Exploratory Learning System)

  • 서정현;이형옥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5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32 No.1 (B)
    • /
    • pp.910-912
    • /
    • 2005
  • Maple은 수학적 표현에 가까운 프로그래밍 언어로, 함수, 표현열(sequence), 집합, 리스트, 배열, 테이블, 등의 자료구조를 가지고 있다. 단순히 과학 계산과 관련된 수식처리뿐만 아니라 수식기호와 표현을 해석하여 그 문법과 의미를 파악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Maple을 이용하여 그래프 이론 학습에 사용할 수 있는 white box형 워크시트를 개발하고, 개발된 워크시트를 웹에서 서비스 할 수 있도록 html로 변환하였다.

  • PDF

도시홍수예보를 위한 공간규모분할기법을 이용한 레이더 강우예측 기법 개발 (Development of radar-based quantitative precipitation forecasting using spatial-scale decomposition method for urban flood management)

  • 윤성심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0권5호
    • /
    • pp.335-346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공간규모분할 기법(SCDM)을 적용하여 레이더 예측강우를 산정하고, 도시홍수예보 관점에서 기상청 현업 레이더 예측강우(MAPLE 및 KONOS)와 함께 수문학적 활용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공간규모분할 기법은 강우를 층운형과 대류성 강우로 분리하여 각각의 이동속도를 고려하여 개별예측 및 재합성하는 것이다. 수도권 영역의 세 호우 사례를 대상으로 기상청 MAPLE 및 KONOS와의 예측강우 정확도를 평가한 결과, 본 연구에서 적용한 예측기법은 기법의 단순함에 비해 양호한 예측 정확도를 보였다. 또한, 강남유역을 대상으로 각 예측강우의 수심모의 정확도를 평가한 결과, MAPLE 및 SCDM에 비하여 KONOS가 첨두수심을 보다 정확하게 모의하였으나, 호우의 시간적 패턴 구현의 정확도가 높지 않았다. SCDM의 경우 정량적인 오차는 다소 크게 나타났지만, 전체적으로 관측수심과 유사한 모의 양상을 보였다. 추후 부족한 정량적 정확도를 보정 기법 및 수치예보자료와의 결합을 통해 개선한다면 SCDM의 예측강우가 홍수예보를 위한 입력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토사재해 예경보를 위한 초단기 예측강우의 활용에 대한 연구 (A Study on Application of Very Short-range-forecast Rainfall for the Early Warning of Mud-debris Flows)

  • 전환돈;김수전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66-374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토사재해 예경보를 위하여 초단기 예측강우의 적용성을 검토하는 것이다. 초단기 예측자료를 활용하기 위한 방법으로 신경망 모형을 적용하였다. 여기에서 레이더와 AWS의 관계를 이용하여 신경망을 학습하고 레이더 강우를 초단기 예측강우(MAPLE)로 대체하여 대상지역에 대한 강우량을 예측하였다. 6hr, 12hr, 24hr의 누적강우에 대한 토사재해 예경보기준을 이용하여 MAPLE 예측강우의 적용성을 Test-bed 지점에 설치한 AWS 강우량과 비교 평가하였다. 평가결과 MAPLE 예측강우를 이용할 경우 AWS를 이용할 경우 보다 선행하여 토사재해 예경보를 발령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MAPLE 강우예보자료를 활용한 유출량 예측 (Flood Estimation Using MAPLE Forecasted Precipitation Data)

  • 최창원;이재응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2년도 학술발표회
    • /
    • pp.984-984
    • /
    • 2012
  • 지구온난화와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전 지구적으로 이상홍수, 이상가뭄, 한파와 같은 이상기상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2010년 추석 광화문 침수사태와 2011년 우면산 산사태와 같은 국지성 집중호우로 인한 인적 물적 피해가 속출하고 있다. 전통적으로 시기나 양적인 측면에서 대부분 장마기간에 국한되었던 강우집중현상이 과거와 달리 특정기간에 상관없이 발생하고 단기성, 국지성을 지닌 호우의 발생빈도가 높아지는 등 국내 강우의 특성이 변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 강우예측과 유출량예측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시도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강우예측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기상청에서는 단기예보를 목적으로 전지구 통합모델과 지역 통합모델을 연계한 동네예보를 수행하고 있으며, 초단기 예보를 위한 목적으로 VSRF, SCAN, VDRAS, MAPLE 등의 예보를 수행하고 있다. 홍수량 예측에서는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물리적 기반의 모형에 레이더강우와 같은 격자형 강우자료를 사용하여 정확성을 높이거나, 기존의 집중형 모형을 분포형 모형으로 대체하기 위한 연구 등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모형 구축이 간편하고 예측 정확도가 우수하다는 장점으로 인해 신경회로망이나 퍼지추론기법 등을 사용한 연구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자원분야에 산재한 불확실성을 적극적으로 인정하고 수학적으로 해석하기 위한 이론인 퍼지이론에 신경망 이론을 도입한 neuro-fuzzy 기법을 사용하여 홍수량을 예측하였다. 모형의 입력자료로는 관측된 강우자료와 유출량자료 및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MAPLE(McGill Algorithm for Precipitation Nowcasting by Lagrangian Extrapolation) 강우예측자료를 사용하여 적용성을 평가해보았다. 모형의 적용성을 평가하기 위해 시험유역을 충주댐 상류 유역으로 선정하였으며, 2010년 2011년 홍수기의 충주댐 유입량을 예측하였다. 모형의 입력자료를 변경하여 입력자료의 변화에 따른 결과를 비교하였고, clustering 반경의 변화에 따른 정확도를 비교하였다. 모형의 정확도는 평균제곱근오차와 첨두수위오차를 통해 비교하였으며, 비교결과 전반적으로 lead time이 길어질수록 MAPLE 사용 시 예측 정확도가 우수하였고, clustering 반경은 0.5일 때 가장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 PDF

PATTERNS IN IRREGULAR MULTI-DIMENSIONAL ARRAYS

  • BENTIBA AHMED
    • Journal of applied mathematics & informatics
    • /
    • 제17권1_2_3호
    • /
    • pp.297-305
    • /
    • 2005
  • In this paper, we study irregular 3D-Arrays with pyramid shapes. Some computation using Maple software and C++ language have been carried out to illustrate some novel and interesting patterns of numbers in these arrays.

바이올린용 소재의 진동모드 해석에 관한 연구 -제2보. 소재 연륜폭 및 절삭방향이 브릿지의 공진주파수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the vibrational modal analysis of solid woods for the violin making II, Effect of annual ring width and cutting direction on the resonant frequency of the bridges)

  • 정우양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7-23
    • /
    • 2005
  • European maple is famous for the optimum solid wood for making bridge which is the most important part in violin acoustic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variation of main features, i. e. annual ring width and cutting direction of costly imported violin bridge blanks and to examine the effect of these features of the blanks on the vibrational characteristics of bridge blanks. Imported violin bridge blanks had somewhat large variation in major macroscopical and physical properties and there was little relationship between annual ring density and weight of maple blanks. Resonant frequency of violin bridge blanks had some positive correlation with weight, however, damping having negative relationship with frequency was seldom affected by any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ple blanks. Deviation from the radial cutting of tail side(ray direction from top toward feet on the edge of bridge blank) lowered the resonant frequency. Consequently, weight and ray direction should be taken for the critical quality decisive factors(QDF) of incoming bridge blanks by not only inspectors also luthiers who tune the bridge by shaping and are responsible for the final timbre quality of this complicate instrument.

  • PDF

New Antioxidant Sources; Tinged Autumnal Leaves of Maple and Cherry Trees

  • Lee, Jeong-Jae;Lee, Chung-Woo;Cho, Young-Ho;Park, Sung-Min;Lee, Bum-Chun;Pyo, Hyeong-Bae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43-52
    • /
    • 2001
  • Living systems constantly suffer from atmospheric reactive oxygen species and also produce inevitably them by the course of metabolism. Therefore, antioxidants play important roles in protecting the systems from various diseased caused by them.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various tinged autumnal leaves as antioxidant sources. Among the, the red leaf extracts of Acer Palmatum THUNBERG.(Aceraceae: maple tree) and Prunus Donarioum Sieb. Var. spontanea Makino(Rosaceae : cherry trees) showed the highest anti-oxidativities. The major antioxidants in their red leaves were isolated and identified as vitexin from maple leaves and isoscutellarein-4'-O-$\beta$-glucopyranoside from cherry leaves. Finally, we evaluated the efficacy of skin care products containing the extracts by human use study. As a result, the tinged leaves of maple and cherry trees were evaluated as good antioxidant sources on the bases of antioxidativities, cytotoxicities, cell proliferation effects and human use study.

  • PDF

바이올린 브릿지의 음향적 특성 및 SDM 시뮬레이션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Acoustical Characteristics of Violin Bridges and SDM Simulation)

  • 정우양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47-55
    • /
    • 2001
  • Violin bridge blank cut from maple wood with good quality has typical pattern of the radial direction in the side edge with minimal dispersion. This experimental study was designed and carried out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physical and macroscopical characteristics on the compressive creep of violin bridge blank which had been imported from European manufacturer. This research arose from the idea that the maple solid wood with heterogeneous wood density and ray direction in the side edge would have uneven rheological property of violin bridge blank which is supposed to be pressed by the tension of strings. Experimentally, the compressive creep of bridge blank became smaller with the higher density of imported maple wood and showed clear density-dependence for the duration of load under the string tension of 5 kgf. Every bridge blank showed the behavior of primary creep stage(stress stabilization) having logarithmic regression creep curve with high correlation coefficient under the designed stress level. Even th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ressive creep and ray direction on the side edge of bridge was not so clear contrary to expectation, we could conclude that wood density and ray direction should be the quality decisive factors affecting the acoustical characteristics and performance of the bridge, the core member of violin-family bow instrumen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