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D

검색결과 303건 처리시간 0.026초

ALTERNATIVE FLARE ACTIVITY INDICATOR: MAD

  • MOON Y-J.;YUN H. S.;PARK Y. D.
    • 천문학회지
    • /
    • 제29권spc1호
    • /
    • pp.323-324
    • /
    • 1996
  • In the present work we introduce a new flare activity indicator, MAD and examine its characteristics by analyzing a set of successive three days' observations of a typical active region, AR2372. The computed MAD is compared with conventional activity indicator such as separator. It is found that. (1) MAD traces very well the separator, (2) it. singles out. local discontinuity of magnetic field lines and (3) it. is a good measure of describing the evolutionary status of active region.

  • PDF

소형객체 변화탐지를 위한 화소기반 변화탐지기법의 성능 비교분석 (Comparison of Pixel-based Change Detection Methods for Detecting Changes on Small Objects)

  • 서정훈;박원규;김태정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77-198
    • /
    • 2021
  • 변화탐지 연구는 주로 토지이용/피복의 변화, 재난/재해 피해지역과 같은 토지의 변화, 수역, 식생과 같은 특정 넓게 분포하는 객체의 변화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한편, 위성영상의 공간/시간 해상도가 지속적으로 향상됨에 따라 위성영상으로부터 선박, 차량과 같은 면적이 작은 객체의 변화탐지의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위성영상으로부터 소형객체 변화탐지를 수행하기 위해 기존 화소기반 변화탐지기법의 성능을 분석하였다. 10일 이내의 짧은 시기에서 촬영된 Kompsat 3A 위성영상 및 Google Earth 영상을 이용하여 대표적인 화소기반 변화탐지기법인 차분, 주성분 분석, MAD 및 IR-MAD을 적용하였다. 영상에서 관측 가능한 소형 객체 주변으로 변화/비변화 참조자료를 정의하고 각 기법을 적용하여 얻어진 변화탐지 결과영상과 참조자료를 비교하여 성능을 분석하였다. 성능분석 결과 실험에 사용한 모든 영상에서 MAD, IR-MAD 기법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성능을 제공하였다. LULC, 식생변화 등 대규모 지역의 변화탐지에 우수한 성능을 보인 MAD, IR-MAD 기법이 소형객체의 변화탐지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변화탐지 대상인 소형객체에 높은 반사율 특성을 가지는 분광밴드를 변화탐지를 위한 분석에 포함하는 것이 소형객체 변화탐지율을 높일 수 있었다.

인체동작구분 퍼지추론시스템 (Human Motion Recognition using Fuzzy Inference System)

  • 진계환;이상복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722-727
    • /
    • 2009
  • 인체동작상태를 구분하는 기술은 인체활동에 따라 변하는 생체신호의 측정 분석분야, 수면장애의 진단 치료 효과의 스크리닝 검사분야, 만성질환 환자의 운동 상태 진단 운동처방분야에 필요한 기술이다. Armband에 내장된 아날로그 디바이스사의 ADXL202AE을 이용하여 수직방향신호의 평균치(LAA), 수평방향신호의 평균치(TAA), 수직방향 신호의 가속도 변화량의 절대치의 평균치(L-MAD), 수평방향신호의 가속도 변화량의 절대치의 평균치(T-MAD)의 획득과 데이터 처리하여, 인체동작상태(눕기, 앉기, 걷기, 뛰기)를 구분하는 퍼지규칙 기반의 퍼지추론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입력데이터(LAA, TAA, L-MAD, T-MAD)와 출력데이터(Lying, Sitting, Walking, Running)의 각 구역에서의 소속정도(menbership degree)와 퍼지규칙은 실험을 통해 얻은 수치 데이터를 사용하여 결정하였다. 눕기$\rightarrow$걷기$\rightarrow$뛰기$\rightarrow$눕기 순으로 생성한 모의실험용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눕기, 앉기, 걷기, 뛰기의 동작상태 구분율은 각각 100%이었다.

블록 평균 절대치 오차의 최소 및 최대 범위를 이용한 고속 블록 정합 알고리듬 (Fast Black Matching Algorithm Using The Lower and Upper Bound of Mean Absolute Difference)

  • 이법기;정원식;이경환;최정현;김경규;김덕규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4권9A호
    • /
    • pp.1401-1410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이웃 블록과 중첩된 탐색영역에서 현재 블록 평균 절대치 오차 (mean absolute difference; MAD)의 최소 및 최대 범위를 이용한 고속 블록 정합 알고리듬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방법에서는 먼저, 이웃 블록과 중첩된 탐색 영역에서 MAD의 최소 및 최대 범위를 이웃 블록의 MAD와 현재 블록과 이웃 블록간의 MAD를 이용하여 구한 뒤, 이를 이용하여 블록 정합을 행하여야 할 탐색점 수를 줄임으로써 고속으로 움직임을 추정하였다. 이 방법에서는 움직임 추정 오차 측면에서 전역 탐색 블록 정합 알고리듬 (full search block matching algorithm; FSBMA)에 매우 근접한 성능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블록 MAD의 최소 및 최대 범위뿐만 아니라 블록 내 화소의 부표본화를 이용하여 고속으로 움직임을 추정하였다. 이 방법에서는 움직임 추정에 필요한 계산량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었다. 제안한 방법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컴퓨터 모의 실험결과로부터 제안한 방법이 움직임 추정 오차 측면에서 FSBMA에 근접한 성능을 유지하면서도 계산량을 현저히 줄일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석청 섭취 후 고아밀라아제혈증이 합병된 1례 (A Case Report of Saliva-type Hyperamylasemia in Mad Honey Poisoning)

  • 이건우;박규남;이미진
    • 대한임상독성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66-169
    • /
    • 2006
  • Poisonings caused by 'mad honey' are known to occur in response to grayanotoxins, which bind to sodium channels in the cell membrane, increasing membrane sodium permeability and preventing inactivation. Mild symptoms of mad honey intoxication are dizziness, weakness, hypersalivation, nausea, vomiting, and paresthesia. Severe intoxication, however, leads to serious cardiac manifestations such as atrioventricular block, dose-dependent hypotension, bradycardia, and respiratory depression. Atropine and vasoactive drugs improve symptoms of both bradycardia and respiratory rate depression. We report an unusual case of saliva-type hyperamylasemia in a mad honey poisoning patient who developed clinically significant bradycardia. She recovered fully within 3 days following atropine administration and medical treatment.

  • PDF

웨이블렛 변환 영역에서 MAD 순서통계량을 이용한 SAR 영상의 화질개선 구현 (Implementation of Image Improvement using MAD Order Statistics for SAR Image in Wavelet Transform Domain)

  • 이철;이정석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1381-1388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지형의 형태 파악에 주로 이용되는 SAR(Synthetic Aperture Radar) 영상의 화질을 저해하는 주된 요소인 잡음을 제거하기 위하여 웨이블렛 변환 기반 MAD순서통계량 알고리즘을 논의한다. 효과적인 영상개선을 위하여 SAR 영상에 근사부분대역의 웨이블렛 계수에 가중평균(Weighted average)법으로 영상처리하고 상세 부분대역의 웨이블렛 계수에 중앙절대편차(MAD : Median Absolute Deviation)를 이용한 임계값을 설정하여 왜곡요소를 제거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특히 제안 방법의 임계값은 잡음과 같은 왜곡요소를 배재하고 영상의 통계량을 고려하여 설정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실시간처리를 보장하기 위하여 DSP와 FPGA를 이용한 하드웨어로 구현하였으며 Xilinx FPGA를 사용하여 실험 하였다.

TCP10L synergizes with MAD1 in transcriptional suppression and cell cycle arrest through mutual interaction

  • Shen, Suqin;Zuo, Jie;Feng, Huan;Bai, Meirong;Wang, Chenji;Wei, Youheng;Li, Yanhong;Le, Yichen;Wu, Jiaxue;Wu, Yanhua;Yu, Long
    • BMB Reports
    • /
    • 제49권6호
    • /
    • pp.325-330
    • /
    • 2016
  • T-complex protein 10A homolog 2 (TCP10L) was previously demonstrated to be a potential tumor suppressor in human hepatocellular carcinoma (HCC).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the molecular mechanism. MAX dimerization protein 1 (MAD1) is a key transcription suppressor that is involved in regulating cell cycle progression and Myc-mediated cell transformation. In this study, we identified MAD1 as a novel TCP10L-interacting protein. The interaction depends on the leucine zipper domain of both TCP10L and MAD1. TCP10L, but not the interaction-deficient TCP10L mutant, synergizes with MAD1 in transcriptional repression, cell cycle G1 arrest and cell growth suppression. Mechanistic exploration further revealed that TCP10L is able to stabilize intracellular MAD1 protein level. Consistently, the MAD1-interaction-deficient TCP10L mutant exerts no effect on stabilizing the MAD1 protein. Taken together, our results strongly indicate that TCP10L stabilizes MAD1 protein level through direct interaction, and they cooperatively regulate cell cycle progression.

블럭 정합 알고리즘을 위한 적응적 비트 축소 MAD 정합 기준과 VLSI 구현 (An Adaptive Bit-reduced Mean Absolute Difference Criterion for Block-Matching Algorithm and Its VlSI Implementation)

  • 오황석;백윤주;이흥규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27권5호
    • /
    • pp.543-550
    • /
    • 2000
  • 블럭 정합 알고리즘의 VLSI 구현시 복잡도를 줄이고, 수행 속도를 높이기 위하여 새로운 정합 기준인 적응적 비트 축소 MAD(adaptive bit-reduced mean absolute difference:ABRMAD)를 제안한다. ABRMAD는 기존의 MAD에서 화소의 모든 비트를 비교하는 대신, 화소를 구성하는 중요한 비트만을 고려하여 축소된 화소 값을 비교하여 움직임 벡터를 찾는다. 실험을 통하여, 제안한 정합 기준은 기존의 MAD 정합 기준에 비하여 낮은 하드웨어 복잡도를 가지면서 MSE(mean square error) 측면에서 유사한 성능을 가짐을 보인다. 또한 기존의 비트 수 축소형 정합 기준인 DPC(difference pixel counting), BBME(binary-matching with edge-map), 그리고 BPM(bit-plane matching)과 비교하여 같은 수의 비트를 사용하였을 경우 좋은 MSE 성능을 가짐을 보인다.

  • PDF

INJECTIVELY DELTA CHOOSABLE GRAPHS

  • Kim, Seog-Jin;Park, Won-Jin
    • 대한수학회보
    • /
    • 제50권4호
    • /
    • pp.1303-1314
    • /
    • 2013
  • An injective coloring of a graph G is an assignment of colors to the vertices of G so that any two vertices with a common neighbor receive distinct colors. A graph G is said to be injectively $k$-choosable if any list $L(v)$ of size at least $k$ for every vertex $v$ allows an injective coloring ${\phi}(v)$ such that ${\phi}(v){\in}L(v)$ for every $v{\in}V(G)$. The least $k$ for which G is injectively $k$-choosable is the injective choosability number of G, denoted by ${\chi}^l_i(G)$. In this paper, we obtain new sufficient conditions to be ${\chi}^l_i(G)={\Delta}(G)$. Maximum average degree, mad(G), is defined by mad(G) = max{2e(H)/n(H) : H is a subgraph of G}. We prove that if mad(G) < $\frac{8k-3}{3k}$, then ${\chi}^l_i(G)={\Delta}(G)$ where $k={\Delta}(G)$ and ${\Delta}(G){\geq}6$. In addition, when ${\Delta}(G)=5$ we prove that ${\chi}^l_i(G)={\Delta}(G)$ if mad(G) < $\frac{17}{7}$, and when ${\Delta}(G)=4$ we prove that ${\chi}^l_i(G)={\Delta}(G)$ if mad(G) < $\frac{7}{3}$. These results generalize some of previous results in [1, 4].

실험실의 과학 혁명-빅토리아시대 소설에 나타난 '미친' 과학자들의 실험실 (Scientific Revolution in the Lab: Mad Scientists' Labs in Victorian Novels)

  • 추재욱
    • 영어영문학
    • /
    • 제58권2호
    • /
    • pp.305-325
    • /
    • 2012
  • It is by the mad scientists that the ontological and epistemological turn was made in that scientific era. They achieved a scientific revolution although they were regarded as eccentric, comic, unsound, and evil ones in the dark and dismal labs. Likewise, a scientist who would like to create an anomaly, something novel and abnormal, tended to be considered mad and treated as such either because of his scientific theory which differed from those of other scientists or because his obstinate methodology was often blamed for its immorality and profaneness. Despite the fanciful purpose and the anomalous way in which the mad scientists did their experiments, these were attempts to explore new scientific terrain and find something new or unexpected, which often raised controversies between the old paradigm and the new one. As Thomas Kuhn manifests, subsequently, "an older paradigm is replaced in whole or in part by an incompatible new one" and then, "there must be a conflict between the paradigm that discloses anomaly and the one that later renders the anomaly lawlike." In that sense, Frankenstein's, Jekyll's, and Moreau's eerie challenges can be interpreted as efforts to achieve the ambitious goal of solving the scientific mysteries of the world in such unfavorable environmental conditions as specified in the three nove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