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50

검색결과 20,861건 처리시간 0.058초

영도 절영산에서의 식물 집단 구조 (Plant Population Structure of Mt Jeolyoung in Young-do of Busan)

  • Huh, Hong-Wook;Park, Joo-Soo;Huh, Man-Kyu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459-466
    • /
    • 2004
  • 영도 절영산과 단절된 산림지 3곳에 대한 식물종, 목본류의 다양성 양상을 조사하기 위해 18 plot(12개 50$\times$50m plot와 6곳 10$\times$100 m plots)를 설정하였다. 50${\times}$50m plots에 는 총 68종이 동정되고 목본류의 개체는 1562개였다. 최소 유의성 차이(LSD)에서 A지점(절영산)이 B지점(낮은 구릉지역)보다 높았다. Shannon-wiener의 다양성 지수에서 세 지역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F=4.12, p<0.05). 곰솔-갈참나무군락이 대부분 지역에서 우점하였다. 절영산과 태종대 지역에서 곰솔군락이 다른 방향보다 NE방향에 잘 분포하였다. 천선과 나무-곰솔군락은 C지역의 남쪽 plot에 잘 분포하였다. 영도 절영산과 해안 지역에 대한 수목의 공간적 분포는 이질적이며 패치(patchy)구조를 나타내었다.

선이질풀 추출물의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 (The Anti-melanogenic Effect of Geranium krameri Extract)

  • 김현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72-76
    • /
    • 2016
  • 본 연구에서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 추출물은행에서 분양받은 에탄올 추출물 시료(시료번호: 4)인 선이질풀(Geranium krameri)에 대한 다양한 생리활성을 조사하여 기능성소재 응용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선이질풀 추출물은 멜라노마 세포에 대하여 낮은 세포독성을 나타냈다. 세포독성이 거의 없는 농도에서 선이질풀 추출물 처리 시 산화방지 활성($IC_{50}$, $8.72{\mu}g/mL$) 및 B. subtilis, E. coli, C. albicans에 대한 항균활성이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타이로시네이즈 활성저해($IC_{50}$, $456.86{\mu}g/mL$) 및 멜라닌 함량 저하($IC_{50}$, $50.35{\mu}g/mL$)를 보여주었다. 또한, B16F10 세포에서 선이질풀 추출물 농도 의존적으로 타이로시네이즈 발현이 억제되었으며, 이는 선이질풀 추출물이 직접적인 타이로시네이즈 활성저해 및 세포 내 타이로시네이즈 발현을 억제시킴으로서 멜라닌 합성을 저해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은 결과로 미루어볼 때 선이질풀 추출물은 피부미백 소재 등 피부개선 효과를 지닌 기능성 화장품에 활용하기 위한 매우 효과적인 재료가 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오크라 추출물의 멜라닌 생성저해 및 피부장벽개선 효과 (Effect of Abelmoschus esculentus extract on anti-melanogenesis and skin barrier function)

  • 김현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344-348
    • /
    • 2018
  • 본 연구에서 오크라(Abelmoschus esculentus)에 대한 다양한 생리활성을 조사하여 기능성소재 응용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오크라 추출물은 멜라노마 세포에 대하여 낮은 세포독성을 나타냈다. 세포독성이 거의 없는 농도에서 오크라 추출물 처리 시, 산화방지활성($ID_{50}$, $5.24{\mu}g/mL$), tyrosinase 활성저해($ID_{50}$, $102.12{\mu}g/mL$) 및 멜라닌 함량 저하($ID_{50}$, $17.85{\mu}g/mL$)를 보여주었다. 오크라 추출물 농도 의존적으로 tyrosinase 발현이 억제되었으며, 이는 오크라 추출물이 직접적인 tyrosinase 활성저해 및 세포 내 tyrosinase 발현을 억제시킴으로써 멜라닌 합성을 저해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오크라 추출물이 피부장벽 보호 지표물질로서 관련된 단백질인 involucrin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오크라 추출물은 피부미백 소재 등 피부장벽 개선 효과를 지닌 기능성 화장품에 활용하기 위한 매우 효과적인 재료가 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울릉도 민속식물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 (Anti-inflammatory Effect of Extracts from Folk Plants in Ulleung Island)

  • 김현준;이동준;구자정;최경;박광우;강신호;문철;이평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69-177
    • /
    • 2013
  • 울릉도 민속식물 31분류군 49점 추출물을 대상으로 최종농도 $50{\mu}g/mL$로 LPS에 의해 유도된 RAW 264.7 대식세포의 NO 생성량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다래(Actinidia arguta) 잎 가지, 헛개나무(Hovenia dulcis) 잎, 동백나무(Camellia japonica) 잎 가지, 말오줌나무(Sambucus sieboldiana var. pendula) 잎 가지, 왕호장근(Fallopia sachalinensis) 뿌리 순으로 항염 활성이 우수하게 나타났다. 이 중에서 다래 잎 가지, 헛개나무 잎, 동백나무 잎 가지 추출물을 LPS로 유도된 Raw 264.7 대식세포에서 최종농도가 10, 20, 40, $50{\mu}g/mL$로 처리하여 NO 생성량과 세포생존율, $PGE_2$ 생성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다래 잎 가지($IC_{50}=29.21{\mu}g/mL$), 헛개나무 잎($IC_{50}=27.34{\mu}g/mL$), 동백나무 잎 가지($IC_{50}=45.68{\mu}g/mL$) 모두 NO 생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성 있게 억제하였다. 또한 $PGE_2$ 측정결과 다래 잎 가지($IC_{50}=21.06{\mu}g/mL$), 헛개나무 잎($IC_{50}=33.47{\mu}g/mL$), 동백나무 잎 가지($IC_{50}=43.90{\mu}g/mL$)에서도 유의성 있는 억제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 다래 잎 가지, 헛개나무 잎, 동백나무 잎 가지의 추출물은 염증 유발의 중요 인자인 NO 및 $PGE_2$ 생성을 저해하여 우수한 항염증 효과를 보였다. 이들 소재에 대한 염증억제 유효성분 규명 및 그 작용기전을 추가적으로 연구함으로써 만성 염증질환의 예방과 치료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산 담수어류 피라미의 아기미에 기생하는 Myxobolus sp.에 관하여 (A report on the Myxobolus sp. (Myxosporea : Bivalvulida), found from the gills of the pale chub, Zacco platypus)

  • 지보영;김기홍;박수일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5-19
    • /
    • 1996
  • 피라미의 아가미로부터 검출된 Myxobolus sp.의 성숙 포자는 정면에서 특징적인 봉합융기가 없는 난형, 측면에서 직선적인 봉합면을 가진 레몬모양을 나타내었고 대칭적이며 표면이 평평한 포자각을 가졌다. 평균적인 포자의 길이, 넓이 및 두께는 각각 $10.4{\mu}m$, 7.7mm 및 $6.2{\mu}m$ 였고 평균적인 극낭의 길이와 넓이는 $4.6{\mu}m$$2.2{\mu}m$로 측정되었고 극낭속에 있는 극사는 6또는 7coil로 관찰되었으며 방출된 극사의 길이는 55-135㎛이었다. 한편으로 성숙 포자는 작은 극포간 돌기, 타원형의 요오드 친화성 공포 및 점막이 존재하는 것으로 관찰되었고 성숙 포자의 형태 및 크기는 M. cyprinicola Reuss, 1906과 가장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Somatic embryogenesis induction in four cassava landraces in East Java, Indonesia

  • Slameto;Indri Fariroh;Budi Kriswanto;Didik Pudji Restanto;Kacung Hariyono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50권
    • /
    • pp.11-18
    • /
    • 2023
  • Manihot esculenta Crantz, commonly known as cassava, is a staple aliment that is a significant source of revenue for farmers. The embryogenic callus is crucial in the genetic engineering of various crop species, including cassava. Four cultivar cassava landraces from East Java were assessed for their ability to produce friable embryogenic callus (FEC) for protoplast isolation. In this study, four cassava cultivars; (Kaspro, Kuning, Gajah, and Gendruwo); were used to obtain FEC, which involved the culture of immature leaf lobes (ILLs) and apical buds (ABs) media containing MS supplemented with 33 μM picloram and 2 μM of CuSO4 (M1) or MS supplemented with 50 μM 2,4-D and 2 μM CuSO4 (M2). The highest FEC induction efficiency ranged from 72% to 57%, and the highest FEC number ranged from 4.7 to 3.7 with AB explants in media containing MS + 33 μM pilocram and 2 μM CuSO4 (M1). On the other hand, the efficiency of somatic embryogenesis induction ranged from 67% to 53%, and the number ranged from 4.4 to 3.4. The efficiencies of FEC induction ranged from 48% to 42%, and the number ranged from 3.1 to 2.6 with AB explants in media containing MS + 50 μM 2,4-D and 2 μM CuSO4 (M2); the efficiency of FEC induction ranged from 56% to 50%, and the value ranged from 3.6 to 2.4 with ILL explants. The FEC induction of the Gendruwo cultivar, which was examined using AB and ILL explants, demonstrated the lowest efficiency. Nevertheless, all four cultivars showed the ability to generate FEC, even though their effectiveness differed depending on the explant genotype and the applied media.

Carboxylic acid amide계 살균제에 대한 고추 역병균 Phytophthora capsici의 감수성 기준 설정 (Establishment of Baseline Sensitivity of Phytophthora capsici Causing Pepper Phytophthora Blight to Carboxylic Acid Amide Fungicides)

  • 신진호;김주형;이경희;노창우;김흥태
    • 농약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456-462
    • /
    • 2010
  • 고추 주요 재배지에서 2005년부터 2008년까지 4년에 걸쳐 채집한 180개의 고추 역병균 Phytophthora capsici을 대상으로 carboxylic acid arnide(CAA)계열의 benthiavalicarb, iprovalicarb, dimethomorph에 대한 감수성/저항성 반응을 검정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3가지 살균제에 대한 $EC_{50}$값(병원균의 균사생장을 50% 억제하는 농도)은 benthiavalicarb가 0.033(0.015-0.049) ${\mu}g\;mL^{-1}$, iprovalicarb가 0.411(0.197-0.556) ${\mu}g\;mL^{-1}$, dimethomorph가 0.271(0.101-0.798) ${\mu}g\;mL^{-1}$로 나타났다. Benthiavalicarb와 iprovalicarb는 포장에서 살균제를 사용하기 시작한 2007년부터의 $EC_{50}$값과 사용하기 전의 $EC_{50}$값 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병원균의 $EC_{50}$값에 의한 분포에서도 저항성균의 발현은 찾아볼 수 없었다. Dimethomorph 역시 포장에서 저항성균이 발현하지는 않았지만, 연도별도 병원균의 $EC_{50}$값이 서서히 상승하고 있는 경향을 보여 주었다. 다른 작용기작을 갖는 metalaxyl과의 교차저항성 관계를 구명하기 위하여 $R^2$값을 조사하였는데, benthiavalicarb, iprovalicarb, imethomorph 각각과 metalaxyl과의 $R^2$값은 0.001, 0.009, 0.069로 매우 낮아 전혀 상관관계가 성립하지 않았다. 같은 계열에 속하는 mandipropamid와 실험에 사용한 세 종류의 살균제 각각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유사한 화학구조를 지니는 benthiavalicarb와 iprovalicarb, 그리고 dimethomorph와 mandipropamid간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 하지만 동일한 CAA계열의 다른 살균제와는 상관관계가 인정되지 않았다.

떡쑥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Dicaffeoylquinic Acid 유도체들의 항산화 및 타이로시네이즈 저해 활성 (Antioxidant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ies of Dicaffeoylquinic Acid Derivatives Isolated from Gnaphalium Affine D. DON)

  • 임나리;김해수;하지훈;노근영;박수남
    • 공업화학
    • /
    • 제26권4호
    • /
    • pp.470-476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떡쑥 추출물로부터 3가지 dicaffeoylquinic acid (DCQA)를 분리 정제하여 구조를 결정하고, 항산화 활성, 세포보호효과, 그리고 tyrosinase 저해 활성을 평가하였다. 떡쑥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에 대하여 크로마토그래피, $^1H$-NMR 및 MS 분석을 한 결과, 분리된 화합물은 총 3가지 DCQA 유도체 : 3,5-dicaffoylquinic acid (3,5-DCQA, 1), 4,5-dicaffeoylquinic acid (4,5-DCQA, 2), 1,5-dicaffoylquinic acid (1,5-DCQA, 3)로 나타났다. 분리된 compound 1-3의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 소거활성($FSC_{50}$)은 각각 3.70, 5.80 및 $5.50{\mu}M$로 지용성 항산화제로 알려진 (+)-${\alpha}$-tocopherol ($FSC_{50}=21.90{\mu}M$)과 비교하여 더 큰 free radical 소거활성을 나타내었다. compound 1-3의 $^1O_2$로 유도된 사람 적혈구의 광용혈에 대한 세포보호효과는 (+)-${\alpha}$-tocopherol과 유사한 세포보호활성을 나타내었다. Compound 1-3의 tyrosinase 저해활성($IC_{50}$)은 각각 0.15, 0.16, 및 0.13 mM로 미백성분으로 알려진 arbutin ($IC_{50}=0.33mM$)과 비교하여 높은 tyrosinase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들은 세 가지 DCQA가 식품 또는 화장품 산업에서 항산화 및 미백 기능성 소재로서 응용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산거울 추출물의 Elastase 활성 저해 및 Matrix Metalloproteinase-1 발현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s of Carex humilis Extract on Elastase Activity and Matrix Metalloproteinase-1 Expression)

  • 박선희;이강혁;한창성;김기호;김영희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29-136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산거울 추출물의 항주름 활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항산화, 엘라스타제 활성 억제, Matrix metalloproteinase-1 (MMP-1) mRNA 발현 및 단백질의 생성 억제 관련 실험을 진행하였다. 산거울의 뿌리부분을 95 % 에탄올로 추출하고 유기 용매로 분획하여 각 추출물 분획물에 대한 항산화 활성과 엘라스타제 억제 효능을 측정한 결과, EtOAc 분획이 각각 SC50=4.89 ${\mu}g/mL$, IC50=23.5 ${\mu}g/mL$ 로 가장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활성이 가장 좋은 EtOAc 분획물로 부터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활성물질을 분리하고, 분리된 물질이 ${\alpha}$-viniferin임을 분광학적 분석결과로 확인하였다. RT-PCR을 이용한 MMP-1 mRNA 발현능 평가에서 EtOAc 분획물과 ${\alpha}$-viniferin은 각각 50 ~ 60 % (10 ~ 100 ${\mu}g/mL$), 약 60 ~ 75 % (0.5 ~ 2 ${\mu}g/mL$)의 저해효과를 나타내었으며, Western-blot을 이용한 MMP-1 단백질 생성을 평가한 결과에서 역시 EtOAc 분획물과 ${\alpha}$-viniferin은 같은 농도에서 각각 50 ~ 65 %와 55 ~ 65 %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alpha}$-viniferin을 함유한 산거울의 EtOAc 분획층의 주름 개선용 기능성 화장품 개발을 위한 소재로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증숙 및 발효 더덕의 이화학적 특성 및 생리활성 변화 (Evaluation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Steamed and Fermented Deodeok (Codonopsis lanceolata))

  • 정래승;윤원병;박성진;박동식;안주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135-139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증숙 및 발효에 의한 더덕(Codonopsis lanceolata)의 이화학적 특성과 생리활성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건조된 더덕 시료를 증숙처리한 후 Lactobacillus rhamnosus를 접종하여 $37^{\circ}C$에서 7일간 혐기적 조건에서 발효시켰다. 비증숙과 비발효 더덕추출물(NS-NF)을 대조군으로 하여 처리군에는 비증숙과 발효 더덕추출물(NS-LF), 증숙과 비발효 더덕 추출물(S-NF), 증숙과 발효 더덕추출물(S-LF)을 포함한다. 총 폴 리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NS-NF(8.9 mg GAE/g)와 비교하여 S-NF와 S-LF에서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다(26 mg GAE/g).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S-NF(8.1 mg RE/mL)와 S-LF(7.8 mg RE/mL)에서 가장 높았다. S-NF와 S-LF의 $EC_{50}$ 값이 각각 0.8과 0.6 mg/mL으로 높은 항산화능을 보였다. Staphylococcus aureus, Listeria monocytogenes, Salmonella Typhimurium, Shigella boydii의 생육은 S-LF에 의해 효과적으로 저해되었다(MIC<9 mg/mL). NS-NF($EC_{50}$ <17 mg/mL)에 비교하여 NS-LF와 S-LF($EC_{50}$ <6 mg/mL)가 가장 높은 ${\alpha}$-glucosidase와 tyrosinase 저해효과를 나타냈다. Aacetylcholinesterase(AChE)는 S-LF($EC_{50}$ <32 mg/mL)에 의해 효과적으로 저해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증숙에 의해 더덕의 총 페놀 함량, 플라보노이드 함량, 항산화능이 향상되었으며 발효에 의해 특이적으로 항미생물 효과, 효소활성저해 및 인지기능 개선 등과 같은 생리활성을 효과적으로 증진시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