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50

검색결과 20,803건 처리시간 0.056초

염 환경하에서 근대(Beta vulgaris var. cicla)의 생장과 항산화효소(SOD, APX, GR)의 활성변화 (Changes of Growth and Antioxidative Enzyme(SOD, APX, GR) Activities of Spinach Beet(Beta vulgaris var. cicla) Under Saline Condition)

  • 배정진;추연식;송승달
    • 생명과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658-667
    • /
    • 2003
  • 환경 스트레스에 대해 내성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진 명아주과에 속하는 근대(지상부길이 15 cm)를 이용하여, 다양한 염 농도에서의 건물함량 측정을 통한 생장반응과 항산화 효소(SOD, APX, GR)의 효과를 밝히기 위하여 다양한 농도(0, 50, 200, 1000 mM NaCl)의 염을 처리한 후 24시간 동안의 효소의 활성변화를 측정하였다. 근대는 처리 2시간째 200 mM NaCl처리구 에서 SOD, APX, GR의 최대활성을 보였으며, 50 mM NaCl처리구에서 가장 낮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PAGE에 의한 isoforms의 확인결과, 근대는 3개의 SOD isoforms(Fe-SOD, CuZn-SOD, Mn-SOD)를 함유하고 있었으며, major isoform은 CuZn-SOD로 밝혀졌다. APX의 경우, 9개의 bands 중 특별히 저분자 isoforms (No. 7,8)의 강한 발현양상을 보였다. SOD의 경우 50 mM NaCl처리에서 Mn-SOD isoform의 불활성을 보여 활성의 증감에 있어 Mn-SOD가 직접적인 연관성을 가질 것으로 생각된다. 근대의 항산화 효소는 염 처리후 단시간내 효소 활성의 증가양상(특별히 처리후 2시간째 200 mM NaCl처리구)을 보여, 고농도 염 환경하에서 항산화시스템의 빠른 작동을 통해 염스트레스에 의해 생성된 활성산소를 제거함으로써 염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해 효과적으로 대처해 나가는 것으로 생각된다. 검색어-근대, 염, 활성산소, SOD, APX, GR.

한국 남성의 혈중 Luteinizing Hormone과 Testosterone 수준의 연령-관련 변화 (Age-related Changes in Luteinizing Hormone and Testosterone Levels in Korean Men)

  • 이성호;안련섭;권혁방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2권1호
    • /
    • pp.57-66
    • /
    • 2008
  • 한국 남성의 연령 증가에 따른 혈중 luteinizing hormone(LH), testosterone(T), 그리고 타액 T 수준 변화를 조사하였다. 혈중LH 수준은 40대까지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나(20s, $2.5{\sim}1.0$; 30s, $2.7{\sim}1.5$; and 40s, $2.5{\sim}1.8\;mIU/mL$), 50대 이상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50s, $3.7{\sim}1.8$ and 60s, $3.1{\sim}1.7\;mIU/mL$). 또한, 혈중 T 수준도 40대까지는 변화하지 않았으나(20s, $5.3{\sim}2.6$, 30s, $4.4{\sim}1.4$, 40s, $4.1{\sim}1.5$ ng/mL), 50대 이후 유의하게 감소하였다(50s, $3.4{\sim}1.5$; 60s, $2.6{\sim}0.8\;ng/mL$). 타액 T 수준 또한 40대까지 약간의 변화가 나타났으나($20s{\sim}40s$, $0.11{\pm}0.015\;ng/mL$), 50대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0.08{\sim}0.03\;ng/mL$). 타액 T 대 혈중 T의 상대적인 비율은 모든 연령대에서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2.4{\sim}0.9%$). 직선회귀 분석(Linear regression analysis)에서 혈중 LH 수준은 매년 1.5%씩 증가하고 혈중 T와 타액 T 수준은 각각 매년 1%와 0.8%씩 감소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혈중 T/LH 비율은 40대까지 유의한 변화가 없었으나($20s{\sim}40s$; $2.27{\pm}0.14$) 50대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1.2{\sim}1.0$). 연령과 관련된 타액 T/LH 비율은 혈중 T/LH 비율과 대단히 유사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서 혈중 LH와 T, 그리고 타액 T 수준이 한국인 남성에서 40대까지는 유의하게 변화하지 않았고, 50대부터는 LH 수준이 증가하고 T 수준이 감소하였다. 이 결과는 50대경 노화과정에 의해 일어나는 원발성 정소부전(primary testicular failure)이 원인인 것으로 보인다. 또한, 본 연구결과는 비록 타액 T 수준이 혈중 총 T 수준과 약한 상관관계(r=0.53)를 갖지만, 혈중 free T 수준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타액 T 수준에 대한 정보는 연령과 관련해서 나타나는 남성 정소생리를 연구하는데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감태(Ecklonia cava) 추출물의 항산화 및 세포보호 활성 (Antioxidant and Cellular Protective Activities of Ecklonia cava Extracts against Reactive Oxyegen Species)

  • 유차영;김시윤;박정원;성수안;김다애;박지현;현송화;박수남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87-294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갈조류인 감태의 추출물과 그 분획들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모든 실험에서 감태의 50% 에탄올 추출물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아글리콘 분획을 사용하였다.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법을 이용한 자유 라디칼 소거 활성($FSC_{50}$)에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FSC_{50}=6.98{\mu}g/mL$)과 아글리콘 분획($7.03{\mu}g/mL$)은 비교물질인 (+)-${\alpha}$-tocopherol($8.98{\mu}g/mL$)과 유사한 활성을 나타냈다. 루미놀 발광법을 이용하여 $Fe^{3+}-EDTA/H_2O_2$계에서 활성산소 소거 활성(총 항산화능, $OSC_{50}$) 결과, 모든 추출물과 분획들 중에서 아글리콘 분획($OSC_{50}=14.48{\mu}g/mL$)이 가장 큰 항산화능을 나타내었으나, 강력한 항산화제인 L-ascorbic acid ($6.88{\mu}g/mL$)보다는 낮았다. $^1O_2$로 유도된 사람 적혈구 세포 손상에 있어서 50% 에탄올 추출물은 $5{\sim}50{\mu}g/mL$에서 농도 의존적인 세포보호 효과를 나타냈다. $10{\mu}g/mL$에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과 아글리콘 분획의 세포보호 효과(${\tau}_{50}$)는 각각 442.0 min 및 539.9 min으로 세포보호 활성이 크게 나타났다. 3종류의 감태 추출물 및 분획은 $10{\mu}g/mL$에서, 비교물질인 지용성 항산화제 (+)-${\alpha}$-tocopherol (40.6 min)보다 훨씬 더 큰 세포보호 활성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들은 감태 추출물과 그 분획물들이 항노화 관련 화장품 분야에서 항산화제로서 이용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하였다.

한국산 꾸구리속, Gobiobotia (Pisces: Cyprinidae) 3종의 핵형 (Karyotypes of Three Species of Gobiobotia (Pisces: Cyprinidae) in Korea)

  • 송호복;박갑만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59-166
    • /
    • 2005
  • 한국산 꾸구리속 (Gobiobotia) 어류인 꾸구리 (G. macrocephala), 돌상어 (G. brevibarba) 및 흰수마자 (G. nakdongensis)의 핵형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각각 25쌍의 배수체 염색체가 관찰되었 다. 핵형은 꾸구리가 2n = 50 (9M+7SM+9ST), NF = 100, 염색체의 길이는 $3.3{\sim}7.5{\mu}m$ 크기였으며, 돌상어는 2n = 50 (10M+7SM+4ST+4T), NF = 92, 염색체의 길이는 $2.7{\sim}6.3{\mu}m$의 크기였고, 흰수마자는 2n = 50 (5M+9SM+9ST+2T), NF = 96, 염색체의 길이는 $3.5{\sim}7.3{\mu}m$였다. 본 연구결과 꾸구리와 흰수마자의 핵형은 처음으로 보고되었다.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잎 용매추출에 따른 생리활성 (Biological Activities of Extracts from Leaf of Angelica gigas Nakai)

  • 이연리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81-186
    • /
    • 2021
  • Antioxidant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were analyzed for water extracts and 50% and 70% ethanol extracts of the leaf of Angelica gigas Nakai. The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in water, 50%, and 70% ethanol extract of the leaf of Angelica gigas Nakai, it was found that the polyphenol contents were 18.75 mg GAE/g, 28.95 mg GAE/g, and 34.73 mg GAE/g, respectively, and flavonoid contents were respectively. The DPPH IC50 scavenging activity was 45.84 mg/mL, 36.44 mg/mL, 19.11 mg/mL, respectively, and theABTS+ radical scavenging ability (1 mg/mL) was 28.73%, 22.79%, and 12.70%, respectively.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70% ethanol extract, 50% ethanol extract, and water extract 33.14%, and 4.53%, respectively. Nitrite scavenging activity, 70% ethanol extract, 50% ethanol extract, and water extract were in the order of 1 mg/mL scavenging activity, 36.43%, 34.80%, and 18.85%, respectively.

Physiological Influence of Combined Mental Activity with Experimental Subway Noise

  • ;;최석철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39-45
    • /
    • 2007
  • Numerous psychological stressors playa role in development of the cardiovascular disea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a combined mental activity with experimental subway noise affects hematological physiology. Fifty-four healthy volunteers were divided group I which underwent subway noise (n=24) and group II which underwent a combined mental activity with subway noise (n=30). Venous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for measuring CBC, prothrombine time (PT), 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e time (APTT),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ESR), D-dimer and high sensitive C-reactive protein (H-CRP) levels before, 50 min of stress task (S-50m) and 60 min of recovery (R-60m). Changed ratios of granulocyte, lymphocyte, monocyte and platelet counts at S-50m and R-60m were higher in group II compared to group I. RBC count and hematocrit level in group I increased whereas those in group II decreased at S-50m. PT, APTT and ESR in the both groups were shortened at R-60m and the decreased ratios were high in group II compared to group I. H-CRP and D-dimer in the both groups were elevated at S-50m and R-60m while the increased ratios in group II were greater than those in group I. These observations imply that a combined mental activity with experimental subway noise may be a stressor which affects hematological physiology.

  • PDF

천마(Gastrodia elate)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페놀성 물질의 멜라닌 생성 억제작용 (Anti-melanogenesis Effect of Phenolic Compounds Isolated from Gastrodia elata)

  • 김경태;김진국;박선희;이정하;이수희;김기호;박수남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33-38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천마(Gastrodia elata)추출물의 분획과 butanol 분획층의 연속적인 silicagel column chromatography를 통하여 유효성 분인 4-hydroxybenzyl alcohol 1. bis(4-hydroxyphenyl) methane 2. gastrodin(4-$\beta$-D-glucopyranosyloxybenzyl alcohol) 3을 분리하였다. 4-Hydroxybenzyl alcohol 1과 gastrodin(4-$\beta$-D-glucopyranosyloxybenzyl alcohol) 3은 tyrosinase에 대한 저해작용은 없으나 B16 melanoma 세포의 melanin 새성을 억제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Bis(4-hydroxyphenyl)methane 2 ($IC_{50}$/ = 400 $\mu\textrm{g}$/mL)은 arbutin ($IC_{50}$/ = 400 $\mu\textrm{g}$/mL) 보다 약 $\frac{1}{4}$의 tyrosinase 활성 저해작용을 나타내었지만 B16 melanoma 세포의 melanin 생성 억제는 오히려 arbutin 보다 높게 나왔다. 또한 butanol 분획층 ($IC_{50}$/ = 46$\mu\textrm{g}$/mL)의 tyrosinase에 대한 활성 저해 작용이 arbutin ($IC_{50}$/ = 114 $\mu\textrm{g}$/mL)보다 높은 억제 작용을 나타내었고 B16 melanoma 세포의 melanin 생성 억제도 arbutin 보다 높게 나왔다. 특히 butanol 분획층으로부터 분리된 페놀성 혼합물 ($IC_{50}$/ = 2.37 $\mu\textrm{g}$/mL)은 arbutin 보다 약 50배 가까운 매운 높은 tyrosinase 활성 억제 작용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천마추출물로부터 분리된 유효성분들이 tyrosinase에 대한 저해작용 뿐만 아니라 B16 melanoma 세포의 melanin 생성을 억제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지적장애 수영 국가대표 선수의 배영 100m 경기운영능력 분석 (Analysis of Backstroke 100m Race Management Ability of National Swimmer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김민창;류시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253-261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S14 등급 장애인 수영 국가대표 선수의 최근 4년간 배영 100m 경기에 대한 경기운영능력을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 변인은 출발 구간의 반응 시간, 잠영 거리 및 시간, 속도, 턴 구간의 턴 거리, 시간, 속도, 질주구간의 스트로크 횟수, 빈도, 길이, 효율성이다. 그 결과, 2015년에는 처음 50m 구간까지 서서히 질주하고, 마지막 100m 구간까지 빠르게 질주하는 경기운영을 보였으나 2016년부터 2018년에는 처음 50m 구간까지 빠르게 질주하고 마지막 100m 구간까지 처음에 비하여 약간 느리게 질주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잠영시간도 해를 거듭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2017년에 잠영거리와 시간이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잠영속도도 가장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4년간 평균 턴 거리는 약 7.51 m, 턴 시간은 4.34초, 턴 속도는 1.73 m/s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처음 50m 구간의 스트로크 효율성은 해를 거듭할수록 향상되었으나 50-100m 구간에서는 2017년에 가장 효율적인 스트로크를 구사하였다. 이 결과는 지적장애인 수영 선수 훈련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것이라 기대한다.

K+ 통로 조절 약물이 마우스 골격근의 피로현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otassium channel modulators on the fatigue velocity of mouse skeletal muscle)

  • 이기호;류판동;이문한;이항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245-254
    • /
    • 1995
  • The density of ATP-sensitive potassium($K_{APT}$) channels, that open as intracellular ATP concentration falls below a critical level, is very high in skeletal muscle surface membrane and those high density may imply that $K_{ATP}$ channels have very important physiological roles. To elucidate a role of $K_{ATP}$ in relation to fatigue, the modulating effects of potassium channel openers and blockers on the fatigue velocity(FV) of mouse extensor hallucis longus muscle(EHL) were investigated in vitro. Twitch contraction was induced by an electrical field stimulation (EFS: 24-48V, 20ms, 0.2-4Hz) and resulting contraction force was isometrically recorded. The twitch forces were gradually decreased to 25% of initial contraction force(ICF) in $37.52{\pm}1.55sec$($mean{\pm}s.e.m.$, n=135), indicating the fatigue phenomena. The mean velocity for development of the fatigue was measured during the period that twitch force decreased to half($FV_{0/0.5}$) and during the period from half to 25%($FV_{0.5/0.25}$) of ICF. The fatigue was induced once every one hour and the tissue response was stable for up to 4 hours. In control condition, ICF was $5.8{\pm}0.12g$ (n=144) and decreased to 50% of ICF with the mean fatigue velocity of $0.182{\pm}0.006g/sec$($FV_{0/0.5}$, n=135) and from 50% to 25% of ICF with $0.084{\pm}0.004g/sec$($FV_{0.5/0.25}$, n=135). Cromakalim($50{\mu}M$) significantly increased $FV_{0.5/0.25}$(n=4). Glibenclamide($IC_{50}>50{\mu}M$), $Ba^{2+}$($IC_{50}=10{\mu}M$), 4-aminopyridine($FV_{0/0.5}$, $IC_{50}=0.5mM$; $FV_{0.5/0.25}$, $IC_{50}=2mM$) decreased both $FV_{0/0.5}$ and $FV_{0.5/0.25}$ concentration-dependently up to 75%. $TEA^+$(30mM), E-4031($10{\mu}M$), tolbutamide(1mM) decreased $FV_{0.5/0.25}$, but apamin(300nM) and $TEA^+$(10mM) showed no significant effects. Our results suggest that activation of the $K_{ATP}$ channels may be major cause of $K^+$ outflux during development of the fatigue and the isolated EHL muscle could be an useful experimental preparation in studying the fatigue phenomena in skeletal muscle. In addition, the possibility of activation of delayed rectifier during the fatigue development remains to be studied further.

  • PDF

추출방법에 따른 상지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Effect of Extraction Methods on Antioxidant Activities of Mori ramulus)

  • 박혜미;홍주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11호
    • /
    • pp.1709-1715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진다고 알려져 있는 상지의 산업적 이용 증대 및 고부가가치 소재 개발을 목적으로 열수추출, 50% 에탄올추출, 초음파추출 및 가압추출 공정을 사용하여 상지 추출물의 추출방법에 따른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추출수율은 가압추출, 초음파추출, 50% 에탄올추출 및 열수추출 순으로 나타났으며, 총 페놀 함량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50% 에탄올 추출물에서 각각 334.66 mg/g 및 35.64 mg/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ORAC은 50% 에탄올 추출물에서 g당 $3,483.37{\mu}M$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DPPH radical 소거 활성은 50% 에탄올 추출물이 $100{\sim}1,000{\mu}g/mL$ 농도에서 17.34~65.84%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ABTS radical 소거 활성은 모든 시료에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소거 활성이 증가하였다. Superoxide radical 소거 활성은 추출방법별 $100{\sim}500{\mu}g/mL$ 농도에서 62.56~98.74%로 높은 소거 활성을 나타내었다. FRAP 및 환원력은 50% 에탄올 추출물이 $100{\sim}1,000{\mu}g/mL$ 농도에서 각각 $189.00{\sim}974.80{\mu}M$ 및 0.12~0.82로 가장 우수하였다. Tyrosinase 저해 활성은 50% 에탄올 추출물이 $1,000{\mu}g/mL$에서 67.20%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50% 에탄올 추출방법이 상지의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추출물 제조방법으로 적합하였으며 산업적으로 적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