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50

검색결과 20,826건 처리시간 0.051초

염분농도에 따른 나문재, 해홍나물, 퉁퉁마디의 생장반응 (Effects of Different NaCl Concentrations on the Growth of Suaedu asparagoides, Suaeda maritima, and Salicornia herbacea)

  • 남유경;백정애;장매희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349-353
    • /
    • 2007
  • 해안지대에 서식하는 염생식물인 명아주과의 나문재와 해홍나물, 퉁퉁마디의 염분농도에 따른 생육반응을 조사하여 해안간척지의 녹화용 소재 선발 실험을 ebb & flow system의 양액재배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배양액은 1/2의 Hoagland 액을 이용하였고 염처리는 NaCl 농도를 0, 50, 200, 400 mM로 처리하여 4개월간 재배하였다. 초장은 나문재와 해홍나물의 경우 0과 50 mM에서 높게 나타났고 그 이상의 NaCl 농도에서 감소하였으나 퉁퉁마디에서는 200mM까지 증가하였다. 생체중과 건물중은 나문재의 경우 NaCl농도 증가에 따라 감소하였으나 해홍나물과 퉁퉁마디의 경우 200 mM까지 증가하였다. 엽록소 함량은 종에 관계없이 NaCl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프롤린은 해홍나물 400 mM 처리구에서 그 함량이 가장 많았다. Water potential은 나문재와 해홍나물에서 무처리에 비해 50 mM에서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약용식물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Activities of Medicinal Plant Extracts)

  • 주신윤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512-519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으로 질병치료와 예방의 목적으로 사용되어온 약용식물 10종을 선정하여 총 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였다. 약용식물의 총 페놀 함량을 측정한 결과 화피 추출물이 320.10 mg/g, 갈근이 153.93 mg/g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화피 추출물이 226.25 mg/g, 황금 추출물이 101.98 mg/g으로 높았다. 약용식물 중 가장 높은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낸 시료는 화피로 $IC_{50}$ $5.39{\mu}g/mL$를 나타냈으며, 그 다음으로 헛개나무($IC_{50}$ $24.87{\mu}g/mL$), 오가피($IC_{50}$ $27.79{\mu}g/mL$)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아질산 소거 활성 측정결과 헛개나무가 $IC_{50}$ $173.96{\mu}g/mL$, 화피 추출물이 $IC_{50}$ $167.94{\mu}g/mL$로 비슷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Superoxide^-$ 라디칼 소거능과 $ABTS^+$ 라디칼 소거능에서는 화피와 오가피가 유의적으로(p<0.001) 높은 소거능을 보였다. 환원력에 대한 흡광도 값을 측정한 결과는 10종의 약용식물 중에서 화피 추출물이 2.72의 흡광도를 나타내어, 양성대조군인 비타민C의 3.04과 비교해도 크게 뒤떨어지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 화피, 헛개나무, 오가피 추출물은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높고, 항산화 활성도 높게 나타나 식품첨가물 및 식품보존제 등 기능성 소재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토끼의 적출장관 운동에 대한 Choline Esters의 $pD_2$ ($pD_2$ Value of Choline Esters on Motility of Isolated Rabbit Jejunum Segment)

  • 박준형;김영환;김길수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7권
    • /
    • pp.231-235
    • /
    • 1989
  • Choline과 choline esters인 acetylcholine, methacholine, carbachol, bethanechol이 토끼의 적출장관 운동에 미치는 영향과 각 약물의 $pD_2$값을 산출하여 각각 비교를 하였다. Choline은 최대유효농도가 $10^{-2}M$이었으며 $ED_{50}$$2.4{\times}10^{-3}M$이었고 $pD_2$값은 2.619이었다. Acetylcholine은 최대유효농도가 $10^{-4}M$이었으며 $10^{-9}M$에서는 거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고 $ED_{50}$$0.5{\times}10^{-5}M$이었고 $pD_2$값은 5.154이었다. Methacholine은 최대유효농도가 $10^{-5}M$이었으며 $10^{-9}M$에서는 거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고 $ED_{50}$$9{\times}10^{-5}M$이었고 $pD_2$값은 6.045이었다. Carbachol은 최대유효농도가 $10^{-5}M$이었으며 $10^{-11}M$에서는 거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고 $ED_{50}$$5.7{\times}10^{-7}M$이었고 $pD_2$값은 6.244이었다. Bethanechol은 최대유효농도가 $10^{-4}M$이었으며 $10^{-8}M$에서는 거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고 $ED_{50}$$3.3{\times}10^{-6}M$이었고 $pD_2$값은 5.480이었다. Choline esters는 토끼의 적출장관 운동에 대하여 수축을 일으켰으며 각 약물의 potency의 순서는 carbachol이 가장 강하게 나타났고 methacholine, bethanechol, acetylcholine, choline의 순으로 나타났다.

  • PDF

수치고도모형을 이용한 본류하천길이에 관한 프랙탈 차원의 해석 (The Analysis of Fractal Dimension on the Main-Stream Length using Digital Elevation Model)

  • 차상화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1권9호
    • /
    • pp.915-923
    • /
    • 2002
  • Recently,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is used to extract various hydrological factors from DEM(Digital Elevation Model) in river basin. Therefore, this study aims at the determination of river fractal dimension using DEM. In this paper, the main-stream length in river basin was grid-analyzed for each scale(1/5,000, 1/25,000, 1/50,000) and each cell size(5m$\times$5m, l0m$\times$l0m, 20m$\times$20m, 30m$\times$30m, 40m$\times$40m, 50m$\times$50m, 60m$\times$60m, 70m$\times$70m, 80m$\times$80m, 90m$\times$90m, 100m$\times$l00m, 120m$\times$120m, 150m$\times$150m) using GIS. Also, fractal dimension was derived by analyzing correlation among main-stream lengths, scale, and cell size which were calculated here. The result of calculating fractal dimension for each cell size shows that the fractal dimension on the main-stream length is 1.028.

원산지별 감초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n Antioxidative Activity of Glycyrrhiza uralensis and Glycyrrhiza glabra Extracts by Country of Origin)

  • 한샛별;구현아;김수지;김혜진;권순식;김해수;전소하;황준필;박수남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8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중국 감초(Glycyrrhiza uralensis) 및 우즈베키스탄 감초(Glycyrrhiza glabra)를 이용하여 원산지별 감초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에 관한 비교 연구를 수행하였다. 감초 추출물의 자유 라디칼(1, 1-phenyl-2-picrylhydrazyl, DPPH) 소거활성($FSC_{50}$)은 각 3가지 원산지 중 한국 감초가 50% 에탄올 추출물(21.15 ${\mu}g/mL$), 에틸아세테이트 분획(29.15 ${\mu}g/mL$), 아글리콘 분획(3.26 ${\mu}g/mL$)에서 모두 가장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루미놀-의존성 화학발광법을 이용한 $Fe^{3+}-EDTA/H_2O_2$ 계에서 생성된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에 대한 감초 추출물의 총 항산화능($OSC_{50}$)은 중국 감초의 50% 에탄올 추출물(1.00 ${\mu}g/mL$)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0.34 ${\mu}g/mL$)이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Rose-bengal로 증감된 사람 적혈구의 광용혈에 대한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을 때 원산지별 감초의 50% 에탄올 추출물과 아글리콘 분획 모두 농도범위(5 ~ 50 ${\mu}g/mL$)에서 농도의존적으로 세포 보호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아글리콘 분획(10 ${\mu}g/mL$)의 경우 한국 감초(${\tau}_{50}$ = 847.4 min)가 동일한 종인 중국 감초(${\tau}_{50}$ = 194.3 min)보다 약 4배 더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미백 소재로만 주로 사용되어오던 감초 추출물이 천연 항산화제로서 화장품 분야에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세포보호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보아 감초 추출물이 자외선으로 유도된 $^1O_2$와 외 ROS로부터 피부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골풀 부위별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Effect of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Juncus effusus L.)

  • 최창환;원두현;황준필;박수남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75-282
    • /
    • 2012
  • 이번 연구에서 우리는 골풀의 부위별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골풀의 부위는 상층부와 하층부, 고갱이 부위로 결정하였다. 실험은 골풀 50 % 에탄올 추출물,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분획, 아글리콘(aglycone) 분획 세 가지로 진행하였다. 항산화 활성 중 라디칼인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 소거활성($FSC_{50}$)을 살펴본 결과 50 %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고갱이 부위(42.9 ${\mu}g/mL$)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은 지하 부위(12.1 ${\mu}g/mL$), 아글리콘 분획은 지하 부위(12.1 ${\mu}g/mL$)가 가장 높은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Luminol 발광법을 이용한 $Fe^{3+}$-EDTA/$H_2O_2$ 계에서 생성된 활성산소종에 대한 소거활성(총 항산화능, $OSC_{50}$)을 살펴본 결과, 50 % 에탄올 추출물은 고갱이 부위(0.29 ${\mu}g/mL$),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은 지하 부위(0.25 ${\mu}g/mL$), 아글리콘 분획은 고갱이 부위(0.20 ${\mu}g/mL$)가 가장 높은 총 항산화능을 나타내었다. Rose-bengal로 증감된 $^1O_2$에 의한 적혈구 파괴에 대한 세포보호 효과는 10 ${\mu}g/mL$ 농도에서 고갱이 부위의 아글리콘 분획이 ${\tau}_{50}$ 321.0 min으로 가장 높은 세포 보호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항산화 효과로 볼 때 골풀의 지하 부분과 고갱이 부위의 추출물은 천연 항산화제로서 여러 산업 분야에 응용 가능할 것이라 생각된다. 특히 높은 ${\tau}_{50}$ 값을 갖는 것으로 보아, 태양광 노출에 의해서 $^1O_2$이 많이 생성되는 부위인 피부를 효과적으로 보호해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Protective Effect Against Hydroxyl Radical-induced DNA Damage and Antioxidant Mechanism of [6]-gingerol: A Chemical Study

  • Lin, Jing;Li, Xican;Chen, Li;Lu, Weizhao;Chen, Xianwen;Han, Lu;Chen, Dongfeng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5권6호
    • /
    • pp.1633-1638
    • /
    • 2014
  • [6]-Gingerol is known as the major bioactive constituent of ginger. In the study, it was observed to effectively protect against ${\bullet}OH$-induced DNA damage ($IC_{50}$ $328.60{\pm}24.41{\mu}M$). Antioxidant assays indicated that [6]-gingerol could efficiently scavenge various free radicals, including ${\bullet}OH$ radical ($IC_{50}$ $70.39{\pm}1.23{\mu}M$), ${\bullet}O_2{^-}$ radical ($IC_{50}$ $228.40{\pm}9.20{\mu}M$), $DPPH{\bullet}$radical ($IC_{50}$ $27.35{\pm}1.44{\mu}M$), and $ABTS{^+}{\bullet}$radical ($IC_{50}$ $2.53{\pm}0.070{\mu}M$), and reduce $Cu^{2+}$ ion ($IC_{50}$ $11.97{\pm}0.68{\mu}M$).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ossible mechanism, the reaction product of [6]-gingerol and $DPPH{\bullet}$ radical was further measured using HPLC combined mass spectrometry. The product showed a molecular ion peak at m/z 316 $[M+Na]^+$, and diagnostic fragment loss (m/z 28) for quinone. On this basis, it can be concluded that: (i) [6]-gingerol can effectively protect against ${\bullet}OH$-induced DNA damage; (ii) a possible mechanism for [6]-gingerol to protect against oxidative damage is ${\bullet}OH$ radical scavenging; (iii) [6]-gingerol scavenges ${\bullet}OH$ radical through hydrogen atom ($H{\bullet}$) transfer (HAT) and sequential electron (e) proton transfer (SEPT) mechanisms; and (iv) both mechanisms make [6]-gingerol be oxidized to semi-quinone or quinone forms.

혈청 농도가 다제내성 억제제 BIBW22의 nucleoside 수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rum Concentration on Inhibition of Nucleoside Transport by Multidrug Resistance Inhibitor BIBW22)

  • 이동권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3권2호
    • /
    • pp.116-121
    • /
    • 1995
  • Some multidrug resistance inhibitors have been known to be influenced by the serum concentration. In this study, effect of serum concentration on inhibition of nucleoside transport by BIBW22, a new multidrug resistance inhibitor derived from dipyridamole (DPM), was studied. When 5% or 100% (v/v) of fetal bovine serum (FBS) was contained in the culture, DPM dose for which nucleoside transport was inhibited by 50% (lD$_{50}$) was 0.42 $\mu$M or 1.17 $\mu$M, respectively. BIBW22 also showed the same trend as DPM did in response to increase of FBS concentration. However, ID$_{50}$ value for DPM in the absence or presence of human plasma was 0.007 $\mu$M or 1.02 $\mu$M respectively showing 145 times increase of ID$_{50}$ value. ID$_{50}$ value for BIBW22 in the presence of human plasma was 0.028 $\mu$M showing only 5 times increase in ID$_{50}$ value. This result suggests that potency of BIBW22 was much less affected by the plasma concentration and BIBW22 could be a good candidate for a clinical use in multidrug resistance treatment.treatment.

  • PDF

WAITING TIME DISTRIBUTION IN THE M/M/M RETRIAL QUEUE

  • Kim, Jeongsim;Kim, Jerim
    • 대한수학회보
    • /
    • 제50권5호
    • /
    • pp.1659-1671
    • /
    • 2013
  • In this paper, we are concerned with the analysis of the waiting time distribution in the M/M/m retrial queue. We give expressions for the Laplace-Stieltjes transform (LST) of the waiting time distribution and then provide a numerical algorithm for calculating the LST of the waiting time distribution. Numerical inversion of the LSTs is used to calculate the waiting time distribution. Numerical results are presented to illustrate our results.

애기박쥐과에 속하는 한국산 박쥐류 6종에 대한 핵형학적 연구 (A Karvotvpic Studv on Six Korean Vespertilionid Bats)

  • 유동호;윤명희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489-496
    • /
    • 1992
  • The karyotypes of 4 Korean Myotis species (M. mystucinus gracilis, M. jormous tsuensis, M. duubentonii ussuriensis and M. macrodoctvlusp and 2 Pipistrelfus species (p. coreensis and p. abramusl belonging to the Vespertilionidae were examined. The 4 Mvotis species had the karyotypes of 2n : 44 with FN : 50 (M. m. gracilis and M. f. tsuensisl or 52 (M. d. ussuriensis and M. mncrodactylus). Furthermore the karyotype of R obrumus (2n : 26, FN : 441 seemed advanced compared with that of U coreensis (2n : 44, FN : 501 which is similar to the original karyotype of Mvotis species (2n : 44, FN : 50).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