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50

검색결과 20,810건 처리시간 0.054초

천일염이 식물 성장 및 수분도에 미치는 영향: 스위트 바질(Ocimum basilicum)에 대한 사례 연구 (Effects of Sea Salt on Plant Growth and Moisture: A Case Study on Sweet Basil (Ocimum basilicum L.))

  • 박정숙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11호
    • /
    • pp.35-39
    • /
    • 2022
  • 염도와 관개용수는 작물에 있어서 물의 증발과 토양에 축적됨으로서 다양한 영향을 준다. 이러한 환경에 작물들은 영향을 받기에 본 연구에서는 천일염이 스위트 바질의 생장과 수분도, 토양의 수분도 및 염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방법으로 스위트 바질에 천일염을 0, 5, 50, 100, 및 200 mM 농도별로 처리하여 천일염의 농도가 스위트 바질의 성장과 염 스트레스 시간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 결과로 잎의 면적의 경우, 5 mM 처리에서 11%, 50 mM 처리에서 49%, 및 100 mM 처리에서 44%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잎의 길이는 5 mM 처리에서 16%, 50 mM 처리에서 59%, 및 100 mM 처리에서 82% 성장한 것으로 확인하였다. 향후 연구로 천일염이 스위트 바질의 잎과 길이 성장에 농도별 영향을 미치는 내용을 기초로 식용, 약용, 그리고 방향성 식물의 천일염 영향에 대해 더 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염은 작물에 있어서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만 있었지만, 본 연구에서 사용한 천일염을 활용하여 다양한 식용, 약용, 방향성 식물을 찾아 환경에 더 유익한 성분을 연구하는데 기초자료로 제공하는데 이바지 하고자 한다.

담쟁이덩굴 줄기 추출물의 세포 보호 작용과 항산화 활성 (Cellular Protective and Antioxidative Acivities of Parthenocissus tricuspidata Stem Extracts)

  • 조나래;박민아;채교영;박수아;전소하;하지훈;박수남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25-236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담쟁이덩굴 줄기 추출물의 HaCaT 세포와 사람 적혈구 세포에서의 세포 보호 효과 및 항산화능을 측정하였다. HaCaT 세포를 이용한 실험에서, 담쟁이덩굴 줄기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과 아글리콘 분획은 각각 $50{\mu}g/mL$$25{\mu}g/mL$의 농도에서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10 mM의 $H_2O_2$$30{\mu}M$의 rose bengal을 HaCaT 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에틸아세테이트 분획($6.25{\sim}50{\mu}g/mL$) 및 아글리콘 분획($6.25{\sim}25{\mu}g/mL$)은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를 보호하였다. 적혈구 광용혈에서 담쟁이덩굴 줄기 추출물은 $10{\mu}g/mL$의 농도에서 대표적인 지용성 항산화제인 ${\alpha}$-토코페롤보다도 큰 세포보호효과를 나타내었다. 담쟁이덩굴 줄기 추출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의 free radical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소거활성($FSC_{50}$)은 $18.5{\mu}g/mL$를 나타내었다. Luminol-의존성 화학발광법을 이용한 $Fe^{3+}$-EDTA/$H_2O_2$계에서 생성된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에 대한 담쟁이덩굴 줄기 추출물의 총항산화능($OSC_{50}$)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의 경우 $1.72{\mu}g/mL$, 아글리콘 분획은 $1.53{\mu}g/mL$로 대표적 항산화제인 L-ascorbic acid ($OSC_{50}=1.50{\mu}g/mL$)와 유사한 항산화능의 크기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들은 담쟁이덩굴 줄기 추출물이 ROS에 대항하여 세포를 보호함으로써 생체계, 특히 태양 자외선에 노출된 피부에서 세포보호제 및 천연항산화제로서 작용할 수 있음을 가르킨다.

하고초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성분 분석 (Antioxidative Activity and Component Analysis of Prunella vulgaris L. Extract/Fractions)

  • 서지영;성준섭;윤믿음;이예슬;하지훈;박동순;박수남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647-657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하고초(Prunella vulgaris L.)의 50% 에탄올 추출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및 아글리콘 분획을 대상으로 항산화 활성과 유효성분 분석 연구를 수행하였다.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를 이용한 자유라디칼 소거활성($FSC_{50}$)은 50% 에탄올 추출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및 아글리콘 분획에서 각각 $15.25{\mu}g/mL$, $8.68{\mu}g/mL$$8.25{\mu}g/mL$이었다. Luminol 발광법을 이용한 $Fe^{3+}-EDTA/H_2O_2$계에서 생성된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에 대한 하고초 추출물의 총항산화능($OSC_{50}$)은 50% 에탄올 추출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및 아글리콘 분획에서 각각 $4.68{\mu}g/mL$, $1.00{\mu}g/mL$$1.02{\mu}g/mL$이었다. $^1O_2$로 유도된 적혈구 세포손상에 대한 보호효과는 $1{\sim}25{\mu}g/mL$의 농도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고, 특히 $25{\mu}g/mL$ 농도에서 아글리콘 분획의 ${\tau}_{50}$이 337.9 min으로 높은 세포 보호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는 대표적인 항산화 물질로 알려진 (+)-${\alpha}$-tocopherol (${\tau}_{50}=38.7$ 분)보다도 9배나 큰 세포 보호 효과를 나타냄을 알았다. 실험에 사용된 하고 초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과 아글리콘 분획에 대하여 TLC와 HPLC를 이용한 성분 분석을 수행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에서는 caffeic acid, rosmarinic acid, quercetin 3-${\beta}$-D-glucoside, rutin, kaempferol-3-O-rutinoside, astragalin (kaempferol-3-O-glucoside)을 확인하였다. 아글리콘 분획에서는 caffeic acid, rosmarinic acid, quercetin 및 kaempferol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들로부터, 하고초 추출물 및 분획물은 $^1O_2$ 또는 ROS를 소거함으로써 세포막을 보호할 수 있는 천연 항산화제로서 화장품 분야에서 응용이 가능함을 시사하였다.

Anti-Melanogenic Effect of Oenothera laciniata Methanol Extract in Melan-a Cells

  • Kim, Su Eun;Lee, Chae Myoung;Kim, Young Chul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33권1호
    • /
    • pp.55-62
    • /
    • 2017
  • We evaluated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anti-melanogenic effects of Oenothera laciniata methanol extract (OLME) in vitro by using melan-a cells. The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 of OLME was 66.3 and 19.0 mg/g, respectively. The electron-donating ability,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radical-scavenging activity, and superoxide dismutase (SOD)-like activity of OLME ($500{\mu}g/mL$) were 94.5%, 95.6%, and 63.6%, respectively. OLME and arbutin treatment at $50{\mu}g/mL$ significantly decreased melanin content by 35.5% and 14.2%, respectively, compared to control (p < 0.05). OLME and arbutin treatment at $50{\mu}g/mL$ significantly inhibited intra-cellular tyrosinase activity by 22.6% and 12.6%, respectively, compared to control (p < 0.05). OLME ($50{\mu}g/mL$) significantly decreased tyrosinase, tyrosinase-related protein-1 (TRP-1), TRP-2, and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M (MITF-M) mRNA expression by 57.1%, 67.3%, 99.0%, and 77.0%, respectively, compared to control (p < 0.05). Arbutin ($50{\mu}g/mL$) significantly decreased tyrosinase, TRP-1, and TRP-2 mRNA expression by 24.2%, 42.9%, and 48.5%, respectively, compared to control (p < 0.05). However, arbutin ($50{\mu}g/mL$) did not affect MITF-M mRNA expression. Taken together, OLME showed a good antioxidant activity and anti-melanogenic effect in melan-a cells that was superior to that of arbutin, a well-known skin-whitening agent. The potential mechanism underlying the anti-melanogenic effect of OLME was inhibition of tyrosinase activity and down-regulation of tyrosinase, TRP-1, TRP-2, and MITF-M mRNA expression.

Pseudomonas synxantha A3가 생산하는 세포외 Guanine Deaminase의 성질 (The Properties of Extracellular Guanine Deaminase from Pseudomonas synxantha A3)

  • 전홍기;박정혜;이성태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441-446
    • /
    • 1986
  • Pseudomonas synxantha A3가 생산하는 세포외 guanine deaminase의 몇가지 성질을 검토하였다. 본 효소의 안정 pH는 6.5-7.5 부근이었으며, 열안정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각 온도에서 10분간 처리하였을 때 4$0^{\circ}C$까지 안정하였고 그 이상의 온도에서는 서서히 실활되었다. 또한 pH 8.0의 0.2M potassium phosphate 완충액에 본 효소를 보관하였을 때 실온에서 30일간 안정하였고 alcohol 및 acetone은 본 효소의 안정화에 효과가 없었다. 효소활성을 위한 최적온도 및 pH는 각각 5$0^{\circ}C$와 pH 7-8 부근이었다. 본 효소는 1mM의 Hg$^{++}$, Ag$^+$, Li$^+$에 의해 각각 50%이상 저해되었으며, 0.1mM의 Ag$^+$에 의해서도50%이상 저해되었다. Li$^+$에 의해 저해된 본 효소에 EDTA를 가하였을 때 효소의 활성회복에 효과가 있었다. 본 효소의 활성은 1mM의 pentachlorophenol에 의해 50%, p-CMB에 의해 40%정도 저해되었다. p-CMB에 의해 저해된 본 효소에 thiol compound를 가하였을 때에는, 사용된 시약 중 glutathione이 본 효소의 활성회복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서산, 태안 및 고흥 지역에서 마늘 흑색썩음병을 일으키는 Sclerotium cepivorum의 살균제 감수성 조사 (Sensitivity of Sclerotium cepivorum Causing Garlic White Rot Isolated from Taeahn, Seosan and Goheung Areas to Fungicides)

  • 김형조;최우봉;김흥태
    • 농약과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33-139
    • /
    • 2013
  • 주요 마늘 재배지인 서산, 태안, 고흥에서 2008년과 2009년에 채집한 병든 마늘로부터 단균핵 분리를 통하여 총 147개의 흑색썩음균핵병균 Sclerotium cepivorum 균주를 분리하여 살균제에 대한 감수성 정도를 조사하였다. 실험에는 현재 방제를 위하여 사용하고 있는 prochloraz, tebuconazole, flutolanil, iminoctadine, isoprothiolane 등 5종의 살균제를 선발하여 한천희석법으로 살균제에 대한 병원균의 감수성 정도를 조사하였다. Prochloraz, tebuconazole, flutolanil, iminoctadine, isoprothiolane에 대한 병원균의 평균 $EC_{50}$값을 연도별로 비교하여 보면, 2008년에는 각각 0.054, 0.012, 23.189, 0.901, $21.362{\mu}g\;mL^{-1}$이었으며, 2009년에는 0.030, 0.020, 10.367, 1.684, $33.406{\mu}g\;mL^{-1}$이었다. Flutolanil에 대한 평균 $EC_{50}$값은 2008년에 확보한 균주에 비하여 2009년에 확보한 균주 집단에서 현저히 감소하였다. 반면 iminoctadine과 isoprothiolane에 대해서는 2008년 균주 집단의 $EC_{50}$값보다 2009년 균주 집단의 $EC_{50}$값이 더 증가하였다. 병원균 분리 지역 간의 $EC_{50}$값을 비교하여 보면 고흥 지역에서 분리한 병원균 집단의 flutolanil과 isoprothiolane에 대한 $EC_{50}$값이 14.468과 $24.653{\mu}g\;mL^{-1}$로 서산과 태안에서 분리한 병원균 집단보다 낮았으며, prochloraz에 대해서는 태안 지역에서 분리한 균주의 집단이 $0.008{\mu}g\;mL^{-1}$로 가장 낮았다. 현재 마늘 흑색썩음균핵병방제를 위하여 사용하고 있는 5종의 살균제에 대해서 국내에서 분리한 S. cepivorum 균주 집단에는 저항성을 보이는 균주는 찾아 볼 수 없었다.

광음향 신호처리를 이용한 표면결함의 영상 기술 (Image Technique of Surface Defects by Using Photoacoustic Signal Processing)

  • 이종호;전계석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45-49
    • /
    • 1994
  • 본 논문에서는 출력이 2W이고 파장이 $10.6{\mu}m$인 CW $CO_{2}$ 레이저와 PZT 5A 음향변화 소자를 사용하여 광음향 영상처리 시스템을 구성하였으며 샘플로서 5mm 두께의 스텐레스강을 사용하여 그 표면에 폭과 깊이가 $50{\mu}m$, 선간격이 각각 $200{\mu}m$, $300{\mu}m$가 되도록 3선의 선형결함을 방전가공하고 $2.2mm\times2mm$의 스캔범위를 취하여 표면결함을 영상화한 결과 레이저 변조주파수가 100Hz 일때 $50{\mu}m$의 해상력을 갖는 양질의 영상을 보였다.

  • PDF

Anti-Cariogenicity of 2-Hydroxyethyl ${\beta}$-Undecenate from Cumin (Cuminum cymium L.) Seed

  • Ryu, Il-Hwan;Kang, Enn-Ju;Lee, Kap-San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5권4호
    • /
    • pp.516-522
    • /
    • 2006
  •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antimicrobial action of 2-hydroxyethyl ${\beta}$-undecenate purified from cumin (Cuminum cymium L.) seed against the oral anaerobe, Streptococcus mutans, which is associated with gingivitis, specifically focusing on the catabolic effect. 2-Hydroxyethyl ${\beta}$-undecenate inhibited the acid production and growth of S. mutans after 30 hr incubation at 50 mM. The glycolysis of S. mutans with glucose as substrate was similarly sensitive to 2-hydroxyethyl ${\beta}$-undecenate, with 70% inhibition of glucose utilization at 5 mM and 90% inhibition at 50 mM. In addition, this substance potently inhibited the glycolysis enzyme, glyceraldehyde-3-phosphate dehydrogenase (GADP); the phosphoenolpyruvate, glucose phosphotransferase (Glucose-PTS); and membrane ATPase, in a concentration dependent manner. The $IC_{50}$ values for inhibition of GADP, Glucose-PTS, and ATPase were 1, 0.9, and 5 mM, respectively. Furthermore, 2-hydroxyethyl ${\beta}$-undecenate inhibited teeth calcium ion elution by 80% at 50 mM. These results suggest that 2-hydroxyethyl ${\beta}$-undecenate is a potent inhibitor of carbohydrate metabolism and the growth of S. mutans JC-2.

Serratia marcescens에서 글리옥실산이 Prodigiosin 생합성에 미치는 연구 (Studies on the Effect of Glyoxylate on the Biosynthesis of Prodigiosin in Serratia marcescens)

  • 최병범;방선권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475-479
    • /
    • 1997
  • 최소 배지에 여러 아미노산과 대사 산물을 첨가하여 혐기성 조건하에서 배양시킨 Serratia marcescens ATCC 25419 세포 추출무에서 prodigiosin의 생합성을 조사한 결과 아미노산과 대사 산물들은 prodigiosin 생합성을 대조군보다 50-80% 정도 감소시켰다. 글리옥실산은 1-3mM에서 prodigiosin의 생합성을 대조군보다 20-40% 정도 증가시켰고, 특히 5mM의 농도에서는 최대 122% 증가시켰으나, 20-30mM에서 prodigiosin의 생합성을 50-90% 정도 감소시켰다. 한편, 혐기성과 호기성 조건의 피루브산과 $\alpha$-케토부티르산은 호기성 조건의 글리옥실산과 함께 조사한 모든 농도(0.5-30mM)에서 prodigiosin이 생성되지 않았으며 또한, 혐기성 조건하에서 높은 농도(20mM 이상)의 글리옥실산은 S. marcescens의 성장을 현저하게 억제시켰다.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글리옥실산은 피루브산과 $\alpha$-케토부티르산과는 다르게 낮은 농도(1-5mM)에서는 S. marcescens의 1, 2차 대사물질로 작용하여 prodigiosin 생합성을 증가시키지만, 높은 온도(20mM 이상)에서는 S. marcescens의 성장을 억제시켜 2차 대사물질인 prodigiosin의 생합성도 억제된다고 사료된다.

  • PDF

염분농도에 따른 나문재, 해홍나물, 퉁퉁마디의 생장반응 (Effects of Different NaCl Concentrations on the Growth of Suaedu asparagoides, Suaeda maritima, and Salicornia herbacea)

  • 남유경;백정애;장매희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349-353
    • /
    • 2007
  • 해안지대에 서식하는 염생식물인 명아주과의 나문재와 해홍나물, 퉁퉁마디의 염분농도에 따른 생육반응을 조사하여 해안간척지의 녹화용 소재 선발 실험을 ebb & flow system의 양액재배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배양액은 1/2의 Hoagland 액을 이용하였고 염처리는 NaCl 농도를 0, 50, 200, 400 mM로 처리하여 4개월간 재배하였다. 초장은 나문재와 해홍나물의 경우 0과 50 mM에서 높게 나타났고 그 이상의 NaCl 농도에서 감소하였으나 퉁퉁마디에서는 200mM까지 증가하였다. 생체중과 건물중은 나문재의 경우 NaCl농도 증가에 따라 감소하였으나 해홍나물과 퉁퉁마디의 경우 200 mM까지 증가하였다. 엽록소 함량은 종에 관계없이 NaCl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프롤린은 해홍나물 400 mM 처리구에서 그 함량이 가장 많았다. Water potential은 나문재와 해홍나물에서 무처리에 비해 50 mM에서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