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50

검색결과 20,825건 처리시간 0.062초

구아바 잎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과 성분 분석 (Antioxidative Activity and Component Analysis of Psidium guajava Leaf Extracts)

  • 양희정;김은희;박수남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33-244
    • /
    • 2008
  • 본 연구는 구아바 잎 추출물의 항산화 성분 분석 및 tyroinase와 elastase 저해 효과에 관한 조사를 수행하였다. 추출물의 free radical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소거활성 $(FSC_{50})$은 50% 에탄올 추출물$(7.05{\mu}g/mL)$ < ethyl acetate 분획 (3.36) < 당을 제거시킨 플라보노이드 aglycone 분획 (3.24) 순으로 증가하였다. Luminol-의존성 화학발광법을 이용한 $Fe^{3+}-EDTA/H_2O_2$계에서 생성된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에 대한 구아바 잎 추출물의 총 항산화능은 50% 에탄을 추출물$(OSC_{50},\;2.17{\mu}g/mL)$ (ethyl acetate분획(0.64) < aglycone분획(0.39) 순으로, aglycone 분획에서 가장 큰 환성을 나타내었다. 구아바 잎 추출물에 대하여 rose-bengal로 증감된 사람 적혈구의 광용혈에 대한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구아바 잎 추출물의 경우 $1{\sim}10{\mu}g/mL$의 농도에서 광용혈을 억제하였다. 특히 당을 제거시킨 플라보노이드 aglycone 분획은 $1{\mu}g/mL$ 농도에서 ${\tau}_{50}$이 107.5 min으로 매우 큰 세포보호 효과를 나타내었다. 구아바 잎 추출물 중 ethyl acetate 분획의 당 제거 반응 후 얻어진 aglycone 분획은 TLC와 HPLC (360 nm)에서 1개의 피이크로 나타났으며, 그 성분이 quercetin 임을 확인하였다. 구아바 잎 추출물의 ethyl acetate 분획의 TLC 크로마토그램은 5개의 띠로 분리되었고, HPLC 크로마토그램도 5개의 피이크를 나타내었다. TLC와 HPLC의 띠와 피이크를 확인한 결과, HPLC의 5개의 피이크는 용리순서로 피이크 1 (10.32 %)은 quercetin 3-O-gentobioside, 피이크 2 (13.30 %)는 quercetin 3-O-${\beta}$-D-glucoside (isoquercitin), 피이크 3 (11.34 %)는 quercetin 3-O-${\beta}$-D-galactoside (hyperin), 피이크 4 (19.70%)는 quercetin 3-O-${\alpha}$-L-arabinoside (guajavarin) 피이크 5 (45.33%)는 quercetin 3-O-${\beta}$-L-rhamnoside (quercitrin)로 확인되었다. 미백 및 주름억제 효과측정으로는 각파 tyrosinase 및 elastase의 활성 저해 효과를 측정하였다. Tyrosinase의 활성 저해 효과$(IC_{50})$는 50% 에탄올 추출물 $(149.67{\mu}g/mL)$ (ethyl acetate분획(30.67) < aglycone 분획(17.10) 순으로 나타났으며, elastase의 활성 저해 효과 $(IC_{50})$는 50% 에탄올 추출물$(6.60{\mu}g/mL)$ < aglycone 분획(5.66) < ethyl acetate 분획(3.44)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은 구아바 잎 추출물리 $^1O_2$ 혹은 다른 ROS를 소광시키거나 소거함으로써 그리고 ROS에 대항하여 세포막을 보호함으로써 생체계, 특히 태양 자외선에 노출된 피부에서 항산화제로서 작용할 수 있음을 가리키며, 구아바 잎 성분에 대한 분석과 ethyl acetate분획의 당 제거 실험 후 얻어진 aglycone분획의 elastase 저해활성은 구아바 잎 추출물이 주름개선 기능성 화장품원료로서 응용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포푸라 내염성(耐塩性) 개체(個體)의 기내선발(器內選拔) (In Vitro Selection for Salty Tolerance of Populus nigra ${\times}$ P. maximowiczii)

  • 박용구;손성호;박수정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6권
    • /
    • pp.75-85
    • /
    • 1988
  • 포푸라(양황철)의 기내배양(器內培養)에서 대량증식(大量增殖)한 유전적(遺傳的)으로 균일(均一)한 시료(試料)를 이용(利用), NaCl내성(耐性)을 검정(檢定)한 결과(結果) 50mM이 생육한계(生育限界)임을 밝혀냈다. 엽표피(葉表皮)를 침(針)으로 뚫어 MS 기본배지(基本培地)에 Auxin과 Cytokinin의 효과(效果)를 검정(檢定)한 결과(結果) Cytokinin에서는 많은 개체(個體)가 발생(發生)하였으며 특(特)히 BAP $0.8mg/{\ell}$에서는 127.6개의 많은 개체(個體)가 발생(發生)하였다. NaCl 내성개체(耐性個體) 선발(選拔)을 위(爲)해 같은 배지(培地)에 NaCl 10mM부터 100mM까지 10단계로 처리(處理)하여 침(針)으로 자극한 시료(試料)를 접종(接種)한 결과(結果) 50mM 이상(以上)에서 13.7~15.7개의 여러가지 개체(個體)를 얻었다. 특(特)히 90mM에서 10.7개 100mM에서도 8.3개의 개체(個體)를 얻었다. 비선발(非選拔) 개체(個體)는 50mM 이상(以上)의 NaCl 첨가(添加)배지에서 생장(生長)이 완전(完全)히 중지(中止)된 반면(反面)에 기내선발개체(器內選拔個體)는 고농도(高濃度) NaCl의 계대배양에서도 생장(生長)를 계속하였다. 이상(以上)의 결과(結果)에서 임목(林木)에 있어서도 기내배양법(器內培養法)를 이용(利用)하여 내성(耐性) 개체(個體)를 선발(選拔)할 수 있는 가능성(可能性)을 추정(推定)할 수 있었다.

  • PDF

관류 흰쥐 간에서 1,2-Dioctanoyl-sn-Glycerol에 의한 글루코오스의 유리작용 (Glucose Release Induced by 1,2-Dioctanoyl-sn-Glycerol in Perfused Rat Liver)

  • 황영은;문은순;김미영
    • 약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509-514
    • /
    • 1991
  • The effect of diacylglycerol on glucose release was studied by using 1,2-dioctanoyl-sn-glycerol ($diC_8$), a cell permeable diacylglycerol, in perfused rat liver. The glucose release was increased by $diC_8(50\;{\mu}M$), and the effect was depended on calcium ions. The increment of glucose release by $diC_8(50\;{\mu}M$) was inhibited by indomethacin ($50\;{\mu}M$); the amount of glucose release was almost the same with that of control group. Arachidonic acid($200\;{\mu}M$) also increased glucose release and the release was inhibited by indomethacin. There was no synergistic effect on glucose release by the combination of $diC_8(50\;{\mu}M$) and phenylephrine($10\;{\mu}M$).

  • PDF

Sub-50nm Double Gate MOSFET의 특성 분석 (Characteristics analysis of Sub-50nm Double Gate MOSFET)

  • 김근호;고석웅;이종인;정학기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2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486-489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50nm 이하의 double gate MOSFET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1.5V의 main gate 전압과 3V의 side gate 전압이 인가될 때 I-V 특성으로부터 IDsat=510$\mu$A/$\mu\textrm{m}$을 얻을 수 있었다. 이때, 전달 컨덕턴스는 111$\mu$A/V, subthreshold slope는 86mV/dec, DIBL값은 51.3mV이다. 그밖에 TCAD tool이 소자 시뮬레이터로서 적합함을 나타내었다.

  • PDF

Acute Toxicity Assessment of New Algicides of Thiazolidinediones Derivatives, TD53 and TD49, Using Ulva pertusa Kjellman

  • Yim, Eun-Chae;Park, In-Taek;Han, Hyo-Kyung;Kim, Si-Wouk;Cho, Hoon;Kim, Seong-Jun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25권4호
    • /
    • pp.273-278
    • /
    • 2010
  • Objectives : This study was aimed to examine the acute toxicity assessment of two new algicides, thiazolidinediones derivatives (TD53 and TD49), which were synthesized to selectively control red tide, to the marine ecosystem. Methods : The assessment employed by a new method using Ulva pertusa Kjellman which has been recently accepted as a standard method of ISO. The toxicity was assessed by calculating the $EC_{50}$ (Effective Concentration of 50%), NOEC (No Observed Effect Concentration) and PNEC (Predicted No Effect Concentration) using acute toxicity data obtained from exposure experiments. $EC_{50}$ value of TD49 and TD53 was examined by 96-hrs exposure together with Solutol as a TD49 dispersing agent and DMSO as a TD53 solvent. Results : $EC_{50}$ value of TD53 was $1.65\;{\mu}M$. From the results, values of NOEC and PNEC were calculated to be $0.63\;{\mu}M$ and 1.65 nM, respectively. DMSO under the range of $0{\sim}10\;{\mu}M$, which is same solvent concentration used in examining TD53, showed no toxic effect. $EC_{50}$ value of TD49 was $0.18\;{\mu}M$ and that of Solutol was $1.70\;{\mu}M$. NOEC and PNEC of TD49 were $0.08\;{\mu}M$ and 0.18 nM, respectively and those for Solutol were $1.25\;{\mu}M$ and 1.25 nM, respectively. Conclusions : From the values of NOEC, PNEC of TD53 and TD49, TD49 showed 9 times stronger toxicity than TD53. On the other hand, DMSO showed no toxicity on the Ulva pertusa Kjellman, but Solutol was found to be a considerable toxicity by itself.

Monitoring mRNA Expression Patterns in Macrophages in Response to Two Different Strains of Probiotics

  • Sang-Pil Choi;Si-Won Park;Seok-Jin Kang;Seul Ki Lim;Min-Sung Kwon;Hak-Jong Choi; Taehoon Chun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703-711
    • /
    • 2023
  • As an initial study to elucidate the molecular mechanism of how probiotics modulate macrophage activity, we monitored mRNA expression patterns in peritoneal macrophages (PMs) treated with two different strains of probiotics. After treatment with either Weissella cibaria WIKIM28 or Latilactobacillus sakei WIKIM50, total RNAs from PMs were isolated and subjected into gene chip analyses. As controls, mRNAs from vehicle (phosphate-buffered saline, PBS)-treated PMs were also subjected to gene chip analysis. Compared to vehicle (PBS)-treated PMs, WIKIM28-treated and WIKIM50-treated PMs exhibited a total of 889 and 432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with expression differences of at least 4 folds, respectively. Compared to WIKIM28-treated PMs, WIKIM50-treated PMs showed 25 up-regulated genes and 21 down-regulated genes with expression differences of more than 2 folds. Interestingly, mRNA transcripts of M2 macrophage polarization marker such as anxa1, mafb, and sepp1 were increased in WIKIM50-treated PMs comparing to those in WIKIM28-treated PMs. Reversely, mRNA transcripts of M1 macrophage polarization marker such as hdac9, ptgs2, and socs3 were decreased in WIKIM50-treated PMs comparing to those in WIKIM28-treated PMs. In agreement with these observations, mRNA expression levels of tumor necrosis factor-α and interleukin-1α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WIKIM50-treated macrophages compared to those in WIKIM28-treated macrophages. These results may indicate that probiotics can be classified as two different types depending on their ability to convert macrophages into M1 or M2 polarization.

Antioxidant and Xanthine Oxidase Inhibition Activities of Cynomorium songaricum Extracts

  • Seo, Soo-Jung;Han, Mi-Ra;Lee, Yang-Suk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6권4호
    • /
    • pp.307-312
    • /
    • 2011
  •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antioxidant activities and xanthine oxidase inhibition effects of water and ethanol extracts of Cynomorium songaricum. The ethanol extract of C. songaricum (EE) contained more phenolic and flavonoid compounds than the water extract (WE).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extracts were increased as the concentration of the extract increased. The WE has better effectiveness than the EE for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The nitrite scavenging abilities of WE were 90.02% ($EC_{50}$ 653.15 ${\mu}g$/mL) at conditions of pH 1.2 and 2,000 ${\mu}g$/mL, and 84.34% ($EC_{50}$ 817.17 ${\mu}g$/mL) at pH 3.0. The EE has more effective SOD-like activity and XO inhibition than WE. The SOD-like activity of EE was 81.47% at a concentration of 2,000 ${\mu}g$/mL, $EC_{50}$ was 951.70 ${\mu}g$/mL. The xanthine oxidase inhibition of the EE, with an $EC_{50}$of 112.47 ${\mu}g$/mL, is greater than that of ascorbic acid, which was 192.50 ${\mu}g$/mL (p<0.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 songaricum is a potentially useful antioxidant source for the development of nutraceuticals and medicines.

Sesamin에 의한 PC12 세포중의 Dopamine 생합성 촉진작용 (Enhancement of Dopamine Biosynthesis by Sesamin in PC12 Cells)

  • 장민;최현숙;이명구
    • 생약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21-226
    • /
    • 2010
  • The effects of sesamin on dopamine biosynthesis in PC12 cells were investigated. Sesamin at concentration ranges of 20-75 ${\mu}M$ significantly increased intracellular dopamine levels and tyrosine hydroxylase (TH) activities at 24 h: 50 ${\mu}M$ sesamin increased dopamine levels to 132% and TH activities to 128% of control levels. Sesamin (50 ${\mu}M$) induced the phosphorylation of TH, cyclic AMP-dependent protein kinase (PKA) and cyclic AMP-response element binding protein (CREB) for 0.5-24 h. Sesamin (50 ${\mu}M$) also increased the mRNA levels of TH and CREB for 3-24 h. In addition, sesamin (50 ${\mu}M$) associated with L-DOPA (50 and 100 ${\mu}M$) further increased the intracellular levels of dopamine for 24 h compared to L-DOPA alone. These results suggest that sesamin enhances dopamine biosynthesis and L-DOPA-induced increase in dopamine levels by inducing TH activity and TH gene expression, which is mediated by PKA-CREB systems in PC12 cells. Therefore, sesamin could serve as an adjuvant phytonutrient for neurodegenerative diseases.

Nitric Oxide 화합물 첨가가 돼지 체외수정란의 체외발육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nitric Oxide Compounds on the Development of Porcine IVM/IVF Embryos)

  • 박기은;박춘근;김정익;정희태;박동헌;양부근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63-69
    • /
    • 2001
  • 본 연구는 돼지 미성숙 난포란을 체외에서 성숙, 수정시킨 후, 체외배양액내에 NO Scavenger인 hemoglobin과 억제제인 L-NAME의 첨가 배양이 돼지 체외수정란의 체외발육에 미치는 효과를 검토하였다. 체외배양 44시간에 NCSU 배양액에 hemoglobin을 각각 0, 1 및 5$\mu\textrm{g}$/$m\ell$가 첨가된 처리구에서 상실배기 이상 발육된 수정란의 체외 발육율은 각각 52.4%, 57.6% 및 57.4%로써 hemoglobin 첨가군이 대조군에 비해 다소 높은 발육성적을 나타냈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P〉0.05). 체외배양 96시간에 NCSU23 배양액에 hemoglobin을 0, 1 및 5$\mu\textrm{g}$/$m\ell$ 첨가한 처리구에서 상실배이상 발육된 체외 발육성적은 각각 66.2%, 70.8% 및 62.8%로 1$\mu\textrm{g}$/$m\ell$ hemoglobin을 첨가한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다 (P〉0.05). 체외배양 44시간에 NCSU23 배양액에 L-NAME를 각각 0, 10, 50 및 100mM을 첨가한 처리구에서 상실배기 이상 발육된 체외발육율은 각각 65.2%, 73.5%, 70.1% 및 58.8%로 L-NAME를 10mM첨가한 처리구와 50mM 첨가한 구가 무 첨가구와 100mM 첨가구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성적을 얻었다 (P<0.05). 각 처리구에서 생산된 배반포기수정란의 세포수에는 커다란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 PDF

CT 선량 측정 프로그램을 이용한 PET/CT 검사 환자의 예측 유효 선량의 분석 (Analysis of Patient Effective Dose in PET/CT; Using CT Dosimetry Programs)

  • 김정선;정우영;박승용
    • 핵의학기술
    • /
    • 제14권2호
    • /
    • pp.77-82
    • /
    • 2010
  • PET/CT 기기의 설치가 증가함에 따라 PET/CT 검사 시감쇄 보정을 위한 CT 검사 역시 증가하여 검사 과정에서 피폭 선량이 증가 되고 있어 의료 피폭의 저감 대책을 포함한 방사선 안전 관리의 체계적인 구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PET/CT 검사에서의 환자 선량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환자 선량 저감을 위한 초석을 세우기 위해 CT 선량 측정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CT를 사용한 투과 스캔 시 환자가 받는 CT의 예측 유효 선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BIO40, BIO16, DSTe8 에서 $^{18}F$-FDG PET/CT 검사를 시행한 18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각 기기 별로 남, 여 30명씩 선량의 평균을 분석하였다. 자동 노출 제어 시스템으로 선량 조절 시 가장 큰 영향을 줄 수 있는 환자의 체중 별로 50 kg미만, 50-60 kg 미만, 60 kg 이상 세 집단으로 나누어 선량의 평균을 분석하였다. CT-Expo v1.7과 ImPACT v1.0을 사용하여 선량 측정을 한 값을 비교 분석하고 체중과 유효 선량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BIO40에서 검사한 환자의 유효 선량을 CT-Expo v1.7과 ImPACT v1.0을 사용하여 예측하였을 때, 남자 환자 30명은 각각 $6.46{\pm}1.18$ mSv, $6.54{\pm}1.21$ mSv, 여자 환자 30명은 각각 $6.29{\pm}0.97$ mSv, $5.87{\pm}1.09$ mSv 이었다. BIO16 에서 검사한 환자의 유효 선량은 남자 환자 30명은 각각 $9.36{\pm}1.96$ mSv, $8.36{\pm}1.69$ mSv 여자 환자 30명은 각각 $10.02{\pm}2.42$ mSv, $8.43{\pm}1.89$ mSv 이었다. DSTe8에서 검사한 환자의 유효 선량은 남자 환자 30명은 각각 $9.36{\pm}1.96$ mSv, $9.74{\pm}2.55$ mSv, 여자 환자 30명은 각각 $9.05{\pm}2.27$ mSv, $9.19{\pm}2.29$ mSv 이었다. 각 기기에서 검사를 시행한 환자의 체중에 따른 환자의 선량을 비교하기 위해, BIO40에서 검사를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50 kg 미만, 50~60 kg 미만, 60 kg 이상으로 체중별로 세 개의 집단으로 나누어 환자 선량을 측정하였다. CT-expo v1.7로 측정을 하였을 때 각각 $6.05{\pm}1.77$ mSv, $6.18{\pm}1.05$ mSv, $6.80{\pm}1.06$ mSv이었고 ImPACT v1.0으로 측정했을 때 각각 $5.06{\pm}1.46$ mSv, $5.72{\pm}0.86$ mSv, $6.42{\pm}0.96$ mSv이었다. BIO16에서 검사를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50 kg 미만, 50-60 kg 미만, 60 kg 이상으로 체중 별로 나누어 환자 선량을 측정하였다. CT-Expo v1.7로 측정을 하였을 때 각각 $7.74{\pm}0.66$ mSv, $8.58{\pm}0.93$ mSv, $10.88{\pm}1.32$ mSv이었고 ImPACT v1.0으로 측정했을 때 각각 $6.60{\pm}0.54$ mSv, $7.45{\pm}0.69$ mSv, $9.43{\pm}1.11$ mSv이었다. DSTe8에서 검사를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50 kg 미만, 50-60 kg 미만, 60kg 이상으로 체중 별로 나누어 환자 선량을 예측하였다. CT-Expo v1.7로 측정했을 때 각각 $5.03{\pm}0.95$ mSv, $8.25{\pm}1.66$ mSv, $10.33{\pm}1.68$ mSv 이었고 ImPACT v1.0으로 측정했을 때 각각 $5.20{\pm}1.01$ mSv, $8.51{\pm}1.53$ mSv, $10.9{\pm}1.87$ mSv이었다. 체중과 유효 선량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을 때 CT-Expo v1.7과 ImPACT v1.0에서 Pearson 정률 상관계수가 각각 0.743, 0.692으로 매우 강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피폭 선량의 예측이 필요할 경우 이와 같은 상용화된 선량 평가 프로그램을 사용하면 Phantom 연구를 시행하지 않더라도 유효 선량의 예측 및 평가가 가능하고, CT 선량 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수집하는데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