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3-competition

검색결과 246건 처리시간 0.028초

Presence of Pituitary Specific Transcription Factor Pit-1 in the Rat Brain: Intracerebroventricular Administration of Antisense Pit-1 Oligodeoxynucleotide Decreases Brain Prolactin mRNA Level

  • Tae Woo Kim;Hyun-Ju Kim;Byung Ju Lee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3권3호
    • /
    • pp.311-317
    • /
    • 1999
  • Prolactin (PRL) was reported to be locally synthesized in many brain areas including the hypothalamus, thalamus (TH) and hippocampus (HIP). In the pituitary lactotrophs, PRL synthesis is dependent upon a pituitary-specific transcription factor, Pit-1. In the present study, we attempted to identify Pit-1 or Pit-1-like protein in brain areas known as the synthetic sites of PRL.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and Northern blot analysis showed the same Pit-1 transcripts in brain areas such as the medial basal hypothalamus (MBH), preoptic area (POA), TH, and HIP with the Pit-1 transcripts in the anterior pituitary (AP). Electrophoretic mobility shift assay (EMSA) was run with nuclear protein extracts from brain tissues using a double strand oligomer probe containing a putative Pit-1 binding domain. Shifted bands were found in EMSA results with nuclear proteins from MBH, POA, TH and HIP. Specific binding of the Pit-1-like protein was further confirmed by competition with an unlabeled cold probe. Antisense Pit-1 oligodeoxynucleotide (Pit-1 ODN), which was designed to bind to the Pit-1 translation initiation site and block Pit-1 biosynthesis, was used to test Pit-1 dependent brain PRL transcription. Two nmol of Pit-1 ODN was introduced into the lateral ventricle of a 60-day old male rat brain. RNA blot hybridization and in situ hybridization indicated a decrease of PRL mRNA signals by the treatment of Pit-1 ODN. Taken together,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Pit-1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transcriptional regulation of local PRL synthesis in the brain.

  • PDF

Progesterone 측정을 위한 액상(液相) 효소면역측정법(酵素免疫測定法)의 최적조건에 관한 연구 (Optimization of liquid phase enzyme immunoassay for determining of progesterone)

  • 강정부;최일관;손민수;허주형;김철호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429-434
    • /
    • 199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an effective liquid-phase double antibody enzyme immunoassay for determining of progesterone. The optimum conditions of assay system, 1st and 2nd antibodies, enzyme conjugate, and time reaction were invested. The bovine plasma progesterone level in dairy cattle and korean native bulls were also analyzed.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The reproducibility of petroleum ether was superior to that of ethyl ether as extract solvent of progesterone in plasma. 2. The optimum dilution rate of 1st and 2nd antibody was 30,000 and 10 times, respectively. Affer the reaction of enzyme conjugate to progesterone 1st antibody, and then 2nd antibody competition reaction was enough for over 1hr. 3. Average plasma progesterone level in 4 pregnant and 9 nonpregnant Holstein was $2.5{\pm}0.5$ and $0.7{\pm}0.2ng/m{\ell}$, respectively. Average plasma progesterone level of 10 Korean native bulls was $0.1{\pm}0.001ng/m{\ell}$ From these results, by using liquid phase double antibody enzyme immunoassay for progesterone is applicable to detect of early pregnancy diagnosis, factorial analysis of reproductive disorder, and also reproductive physiological function such as monitoring of cyclicity during the post-partum period.

  • PDF

C-terminal Truncation Mutant of the Human ${\beta}_2$-adrenergic Receptor Expressed in E. coli as a Fusion Protein Retains Ligand Binding Affinity

  • Shin, Jin-Chul;Lee, Sang-Derk;Shin, Chan-Young;Lee, Sang-Bong;Ko, Kwang-Ho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4권1호
    • /
    • pp.97-102
    • /
    • 1996
  • To investigate whether human $\beta$$_2$-adrenergic receptor devoid of the C-terminal two transmembrane helices retain its ligand binding activity and specificity, 5'780-bp DNA fragment of the receptor gene which encodes amino acid 1-260 of human $\beta$$_2$-adrenergic receptor was subcloned into the bacterial fusion protein expression vector and expressed as a form of glutathione-S-transferase (GST) fusion protein in E. coli DH5$\alpha$. The receptor fusion protein was expressed as a membrane bound form which was verified by SDS-PAGE and Western blot. The fusion protein expressed in this study specifically bound $\beta$-adrenergic receptor ligand [$^3$H] Dihydroalprenolol. In saturation ligand binding assay, the $K_{d}$ value was 7.6 nM which was similar to that of intact $\beta$$_2$-adrenergic receptor in normal animal tissue ( $K_{d}$=1~2 nM) and the $B_{max}$ value was 266 fmol/mg membrane protein. In competition binding assay, the order of binding affinity of various adrenergic receptor agonists to the fusion protein was isoproterenol》epinephrine norepinephrine, which was similar to that of intact receptor in normal animal tissue. These results suggest that N-terminal five transmembrane helices of the $\beta$$_2$-adrenergic receptor be sufficient to determine the ligand binding activity and specificity, irrespective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C-terminal two transmembrane helices.s.s.s.

  • PDF

암절취(岩切取) 훼손(毁損)비탈면에 대한 환경생태적(環境生態的)으로 안정(安定)된 녹화공법(綠化工法)에 관(關)한 연구(硏究)(I) -산림표층토(山林表層土)를 이용(利用)한 녹화토(綠化土)의 효능분석(效能分析)을 위한 실내실험(室內實驗)- (Studies on the Environmentally and Ecologically Stable Revegetation Measures on Rock Cut-Slopes - Availability of Forest Topsoil as a Hydroseeding Material in Greenhouse Experiment -)

  • 우보명;김경훈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7권2호
    • /
    • pp.308-315
    • /
    • 1998
  • 암절취(岩切取) 훼손(毁損)비탈면에 적용할 수 있는 종비토(種肥土)뿜어붙이기공법(工法)용 녹화토양자재(綠化土壤資材)로서 산림표층토(山林表層土)의 이용(利用) 가능성(可能性)을 파악하기 위하여, 1996년 3월부터 현지조사 및 파종실험을 실시하였다. 산림토양(山林土壤)의 유형(類型) 및 토양의 피복(被覆)두께에 따른 식생생육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분할구배치법(分割區配置法)(주구(主區) : 산림토양의 유형과 토양피복두께, 세구(細區) : 파종량)에 의한 요인실험(要因實驗)을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산림토양(山林土壤)에 함유된 잠재종자원(潛在種子源)의 발아 생육으로 외래초종(外來草種)을 파종하지 않는 시험구에서는 5~9종/$0.07m^2$이 자연적으로 발생하였다. 외래초종의 파종량을 증가시킬수록 초기에 우점된 외래초종의 영향으로 공시초종 3종외에 자연적으로 출현한 종은 2~6종/$0.07m^2$으로 감소하였다. 식생의 총 출현개체 수는 침엽수토양을 이용한 실험구에서 가장 높았으며, 자연적으로 발생한 종의 비율은 활엽수토양을 이용한 실험구에서 약 30%로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잠재종자원(潛在種子源)을 함유한 산림토양을 생육기반으로 사용할 경우, 초기에 파종된 외래종(外來種)과 자연적으로 발생한 종의 공생으로 기존의 종자 사용량을 1,000본/$m^2$(발생기대본수) 수준으로 감소시켜도 조기에 다양한 식생을 조성할 수 있었다. 종비토뿜어붙이기공법에 적용시 파종한 종과 자연출현종과의 경쟁, 표층부의 건조, 하부에 매몰되는 종자원을 고려할 때 토양의 피복두께는 5cm 이상으로 하는 것이 다양한 식생의 생육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의사결정나무 분석을 통한 세계핸드볼 승패결정요인 분석 (A Study of Influencing Factors on World Handball Win-Loss using the Decision Tree Analysis)

  • 김현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5호
    • /
    • pp.461-468
    • /
    • 2021
  • 이 연구는 2019년 남녀 핸드볼 세계선수권대회에 참가하는 모든 국가를 대상으로 국제핸드볼연맹이 제공한 공식 기록을 수집해 팀 경기 기록의 승패를 가리는 중요한 슈팅 변수를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19 핸드볼 세계선수권대회에 참가한 24개국 남녀대표팀의 총 192경기를 수집해 승패 그룹에 따른 대회 기록의 차이를 검증한 이후 8가지 슈팅 변수에 따라 승패요인을 분류하기 위해 데이터마이닝 기법의 하나인 의사결정 트리 방식(CART 알고리즘)을 적용해 분석했다. 분석 결과 9m 슈팅성공률과 Near 슈팅성공률이 남녀 모두에게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평가됐다. 남자는 9m 슈팅성공률이 32.5% 이상, Near 슈팅성공률이 67.5% 이상이면 83.3% 승리하며, 여자는 9m 슈팅성공률이 75%이상, Near 슈팅성공률이 51% 이상이면 75%를 승리한다. 또한, 여자팀은 페널티 요인 중 옐로카드는 승패를 결정짓는 중요 변수로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국제핸드볼 경기에서 승리와 패배 팀의 기록 특성 차이와 승패를 구분하는 중요 슈팅 변수를 남녀 모두에서 확인 할 수 있었다.

조 재배 시 피복비닐 제거시기에 따른 잡초발생과 조의 생육 및 수량 변화 (Change of Weeds Occurrence, Growth and Yield of Foxtail Millet Cultivation by Polyvinyl Chloride Removing Time)

  • 황재복;박태선;최영대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5권4호
    • /
    • pp.236-240
    • /
    • 2016
  • 조의 피복비닐의 적정 제거시기를 구명하고자 조 생육특성과 잡초방제에 미치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표토관리별조의 초장은 파종 후 30일에 피복비닐을 한 관행구가 75.2 cm이었으며, 무처리구가 57.5 cm로 초기생육에서는 피복비닐 처리구가 초기 지온과 수분의 영향으로 양호하였다. 조의 출수기는 피복비닐을 제거한 구가 무처리구보다 2-3일 정도 빨랐다. 표토관리별 토양수분 함량은 파종 후 20일과 30일에 피복비닐을 제거한 구, 그리고 무처리구가 피복비닐을 제거하지 않은 파종 후 40일구와 대조구에 비해 높았다. 표토관리별 잡초발생량은 피복비닐을 파종 후 20일, 30일에 제거한 구에서 각각 86.5%, 84.0% 정도로 방제효과가 있었다. 수량은 파종 후 30일에 피복비닐을 제거한 구가 $355kg\;10a^{-1}$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파종 후 20일 순이었으며, 대조구는 도복에 의한 수량 감소로 $275kg\;10a^{-1}$이었다. 조재배 시 피복비닐의 제거시기는 파종 후 30일이 수량이 가장 높은 것으로 보아 가장 적절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친환경 고추밭 바랭이와 가는털비름 발생밀도에 따른 고추 수량 반응 (Yield Response of Red Pepper by Densities of D. ciliaris and A. patulus in Eco-firendly Cultivated Field)

  • 원종건;장길수;황지은;권오훈;권태영;문병철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1권4호
    • /
    • pp.38-43
    • /
    • 2012
  • 2011년 경상북도 농업기술원 영양고추시험장 고추 친환경 재배포장에서 밭 잡초로 가장 문제시 되고 있는 잡초 중 바랭이와 가는털비름을 대상으로 잡초 밀도별 고추와의 경합력을 구명하고 Rectangular hyperbola 모델을 기초로 잡초의 밀도에 따른 건고추 수량 감소를 예측하여 경제적인 방제 필요수준을 구명하였다. 잡초를 완전 방제 했을 경우를 가상한 건고추 수량은 바랭이에서 10a당 304.7 kg으로 가는털비름의 281.3 kg보다 다소 높았으며, 고추와 잡초의 경합력은 바랭이에서 0.063으로 가는털비름의 0.1723 보다 낮았고, 수량 예측식은 바랭이가 y=304.7 kg/(1+0.063x), $R^2$=0.967, 가는털비름이 y=281.3 kg/(1+0.1723x), $R^2$=0.952로 나타났다. 제초제 구입 비용을 10a당 6,500원, 제초제 살포 인건비를 20,000원, 건고추의 가격을 kg당 8,000원, 제초제 방제가 95%로 적용하여 구한 경제적 피해 한계 밀도는 잡초 완전 방제시 수량이 10a당 304.7 kg이고 잡초 1본당 수량 감수 정도가 0.063인 바랭이는 $100m^2$당 18.2본, 잡초 완전 방제시 수량이 281.3 kg이고 잡초 1본 당 수량 감수 정도가 0.1723인 가는털비름은 $100m^2$당 7.2본이었다.

수도(水稻) 이품종(異品種)의 재배양식(栽培樣式)에 따른 잡초(雜草) 경합구조(競合構造) 해석(解析) (Differential Weed Competition of Two Rice Cultivars under Various Cropping Patterns)

  • 구자옥;권삼열;허상만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57-68
    • /
    • 1983
  • 다양(多樣)한 재배양식하(栽培樣式下)에서 수도(水稻) 두 품종(品種)의 잡초경합진전양상(雜草競合進展樣相)을 구조적(構造的)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전보(前報)와 동일(同一)한 처리하(處理下)에서 무잡초구(無雜草區)와 무제초구(無除草區)로 나누어 관리(管理)하였다. 초장(草長) 분벽(分蘗) 및 발생본수(發生本數) 생체중(生體重)을 경시적(經時的)으로 조사하고, I.V, C-Value, 생장비(生長比), 수직(垂直) 및 수평분포상(水平分布上)의 경합진전(競合進展), 순생산량(純生産量) 등(等)을 조사하였다. 결과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이앙(移秧) 6 주후(週後)까지는 관행(慣行) 및 만기이앙구(晩期移秧區)에서 경지면적당(耕地面積當)의 순생산량(純生産量)이 높았고 (수도이앙묘(水稻移秧苗)), 9 주후(週後)에는 사도미노리의 직파구(直播區)와 조기이앙구(早期移秧區)에서 높았다 (잡초군(雜草群)의 생장속도(生長速度)). 2. 관행이앙구(慣行移秧區)는 생육초기(生育初期)부터, 기계(機械) 및 조기이앙구(早期移秧區)는 이앙(移秧) 후(後) 9 ~ 12주(週)부터 작물잡초간(作物雜草間)에 등생장(等生長)을 하고 밀양(密陽) 23호(號)의 조기이앙구(早期移秧區)는 잡초(雜草)의 우생장(優生長)을, 그리고 사도미노리의 기계이앙(機械移秧)은 작물(作物)의 우생장(優生長)을 나타내었다. 3. 수직분포상(垂直分布上)의 경합(競合)은 직파(直播)에서 화본과(禾本科) 및 사초과 잡초군(雜草郡)이 작물(作物)에 우위(優位)였고, 기계(機械) 및 조기이앙(早期移秧)에서는 작물(作物)-잡초(雜草)가 등생장(等生長)을, 그리고 관행(慣行) 및 만기이앙(晩期移秧)에서는 작물(作物)이 잡초(雜草)에 우생장(優生長)하는 경향이었다. 4. 수평분포상(水平分布上)의 경합(競合)은 만기이앙(晩期移秧) 및 직파(直播)에서는 작물(作物)이 우생장(優生長)을, 그리고 조기(早期) 관행이앙구(慣行移秧區)에서는 이앙(移秧) 후(後) 9 주경(週頃)부터 사초과잡초군(雜草群)의 발생본수(發生本數) 증가에 따른 작물(作物)의 열생장(劣生長)이 인정되었다 5. 직파(直播)에서는 잡초(雜草)가, 만기(晩期)에서는 작물(作物)이 높은 군락비(群落比)를 나타내었으며, 밀양(密陽) 23 호(號)의 기계이앙(機械移秧)에서는 서서히 잡초군락비(雜草群落比)가 증가하나 사도미노리의 경우 및 관행(慣行) 조기(早期) 만기이앙구(晩期移秧區)에서는 이앙(移秧) 후(後) 6~9주(週) 사이의 유의적(有意的)인 잡초군락비(雜草群落比) 증대가 인정되었다. 6. 경합가(競合價)는 직산파(直散播)<직조파(直條播)<조기이앙(早期移秧)<기계이앙(機械移秧)<관행이앙(慣行移秧)<만기이앙(晩期移秧)의 순(順)으로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7. 대부분의 재배양식하(栽培樣式下)에서 밀양(密陽) 23호(號)보다는 사도미노리가 높은 잡초경합력(雜草競合力)을 구비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8. 수량구조경로(收量構造經路)로 보아 화목과잡초군(禾木科雜草群)의 발생은 큰 영향이 없었고 밀양(密陽) 23 호(號)는 생육(生育)이 진전(進展)되면셔 일단 야기된 잡초경합해(雜草競合害)는 회복하지 못하는 반면 사도미노 라는 빠른 회복가능성을 보였으며 두 품종(品種) 모두 작물(作物) 생체중(生體重)의 증가(增加)에 따라 면적당수수(面積當穗數)는 증대(增大)되나 등숙율(登熟率)은 감소(減少)되면셔 수량(收量)은 구성(構成)하는 특성(特性)을 보였다.

  • PDF

Water treatment sludge for removal of heavy metals from electroplating wastewater

  • Ghorpade, Anujkumar;Ahammed, M. Mansoor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23권1호
    • /
    • pp.92-98
    • /
    • 2018
  • Suitability of aluminium-based water treatment sludge (WTS), a waste product from water treatment facilities, was assessed for removal of heavy metals from an electroplating wastewater which had high concentrations of copper and chromium along with other heavy metals. Batch tests with simulated wastewater in single- and multi-metal solutions indicated the influence of initial pH and WTS dose on removal of six metals namely Cu(II), Co(II), Cr(VI), Hg(II), Pb(II) and Zn(II). In general, removal of cationic metals such as Pb(II), Cu(II) and Zn(II) increased with increase in pH while that of anionic Cr(VI) showed a reduction with increased pH values. Tests with multi-metal solution showed that the influence of competition was more pronounced at lower WTS dosages. Column test with diluted (100 times) real electroplating wastewater showed complete removal of copper up to 100 bed volumes while chromium removal ranged between 78-92%. Other metals which were present in lower concentrations were also effectively removed. Mass balance for copper and chromium showed that the WTS media had Cu(II) and Cr(VI) sorption capacities of about 1.7 and 3.5 mg/g of dried sludge, respectively. The study thus indicates that WTS has the potential to be used as a filtration/adsorption medium for removal of metals from metal-bearing wastewaters.

A Study on the Magnetic Properties of the Sm2Fe17Nx-type Material Produced by a Combination of HDDR Process and Nitrogenation

  • Pan, Y.R;Kwon, H.W
    • Journal of Magnetics
    • /
    • 제3권4호
    • /
    • pp.99-104
    • /
    • 1998
  • The $ Sm_2Fe_{17}N_x $materials were prepared by the combination consisting of the HDDR (hydrogenation, disproportionation, desorption, and recombination) process and nitrogenation or by the conventional way consisting of nitrogenation only, and the magnetic and thermomagnetic properties of the materials were investigated. The magnetic characterisation of the prepared $ Sm_2Fe_{17}N_x $ materials was performed using a VSM. Thermal stability of the materials was evaluated using a DTA under Ar gas atmosphere. The thermomagnetic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s were examined using a Sucksmith-type balance. The previously HDDR-treated Sm2Fe17parent alloy was found to be nitrogenated more easily compared to the ordinary $ Sm_2Fe_{17}N_x $alloy. The $ Sm_2Fe_{17}N_x $ material produced by the combination method showed a high coercivity (12.9 kOe) even in the state of coarse particle size (around 60 ${\mu}{\textrm}{m}$). It was also revealed that the $ Sm_2Fe_{17}N_x $ material produced by the material produced by the combination showed an unusual TMA tracing featured with a low and constant magnetisation at lower temperature range and a peak just before the Curie temperature. This thermomagnetic characteristic was interpreted in terms of the competition between two counteracting effects; the decrease in magnetisation due to the thermal agitation at an elevated temperature and the increase in magnetisation resulting from the rotation of magnetisation of the fine grains comparable to a critical single domain size due to the decreased magnetocrystalline anisotropy at an elevated temperatur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