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 hapla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24초

더덕에서 약용식물을 이용한 당근뿌리혹선충 증식 억제 효과 (Some Medicinal Plants Suppressed Reproduction of Meloidogyne hapla on Codonopsis lanceolata Trautv)

  • 임주락;황창연;류정;최영근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347-355
    • /
    • 2006
  • 약용식물 25종 중 지모, 창포, 쇠무릎, 짚신나물, 패랭이, 큰뱀무, 약모밀, 원추천인국, 아주까리, 현삼, 흑참깨, 기린초, 오이풀 등 13종의 식물체 추출액 5배와 10배의 희석농도에서 살선충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덕을 Pot에 파종하여 13종의 식물 추출액 5배액의 살선충 효과를 평가한 결과 짚신나물을 제외한 12종의 식물체 추출액에서 살선충 효과가 있었고, 지모, 쇠무릎, 창포, 패랭이, 원추천인국, 아주까리 등 6종의 추출액은 80% 이상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선발된 약용식물을 재배했었던 포장에 더덕을 파종하고 당근뿌리혹선충의 감염정도를 조사한 결과, 대조구에 비해 짚신나물을 제외한 지모 등 12종의 식물 포장에서 뿌리혹 및 토양 내 유충밀도가 적게 발생하였으며, 80% 이상의 방제가를 나타내었다. 선발된 약용식물을 퇴비처럼 처리한 포장에 더덕을 파종하였을 때는, 뿌리혹수 및 난낭수, 토양 내 유충밀도가 무처리에 비해서 흑참깨 처리를 제외하고는 적게 발생하였으나, 방제효과는 선발된 약용식물을 재배했던 포장에 비해 크게 떨어졌으며, 쇠무릎과 창포 처리의 방제가만 70% 이상으로 다른 식물에 비해 좋았다.

약용작물거생선충에 관한 연구 (Nematodes Associated with Medicinal herbs)

  • 박소득;추연대;정기채;박선도;최대웅;최영열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96-415
    • /
    • 1992
  • 약용작물에 대한 기생선충의 분포상황 및 선충에 의한 약용작물의 피해상황, 작부체계에 따른 선충의 기생정도 등을 구명하기 위하여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기생식물별 선충기생상황은 작약의 25개 작물중에서 총 10과 15속 25종의 식물기생선충이 검출되었으며, 가장 밀도가 높은 것은 Meloidogyne hapla였고, 다음이 Tylenchus sp., Ditylenchus dipsaci., Aphelenchoides sp., Tylenchorhynchus claytoni등의 순으로 많이 검출되었는데, 바이러스 매개충인 Xiphinema sp. 과 Trichodorus sp. 도 검출되어 바이러스 감염도 우려되었다. 선충 기생에 의한 피해조사에서 작약, 방풍, 백지, 내궁, 인상, 당귀, 시호가 Meloidogyne hapla, M. incognita에 의해 심하게 기생당하였으며, 포장감염율은 54.5~88%였고 재배년수가 경과 할수록 선충기생에 의한 뿌리혹(Gall), 난낭(Egg mass), 유충(2nd larvae)의 밀도가 높았는데, 지하부 뿌리의 분지수는 뿌리혹선충의 기생이 많을 수록 높았다. 뿌리혹선충 기생에 의한 약용작물별 감수율을 조사한 결과 건전주의 근중에 비해 당귀에서는 57.8, 작약은 49.1, 시호는 27.9%의 감수율을 보였으며, 피해도는 23.2~88%로 작물별 차이가 컸고, 감염된 포장에서는 피해가 컸으며, 뿌리혹선충 유충의 밀도는 토양 300g당 50~1890마리로 밀도 범위가 컸다. 작약포장에서 작부체계에 따른 선충증식정도를 조사한 결과 논포장에서 벼재배후 작약재배나, 밭에서 참깨재배후 작약재배한 것이 고추나 작약연속 재배한 포장보다 선충의 밀도가 훨씬 낮았다.

  • PDF

더덕포장 선충발생 상황 및 당근뿌리혹선충에 의한 피해 (Occurrence of plant parasitic nematodes in Codonopsis lanceojata field and its damage by Meloidogyne hapia)

  • 임주락;황창연;김종엽;박춘봉;김대향;최정식;추병길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317-323
    • /
    • 2005
  • 우리나라 더덕의 주 재배지인 전라남북도, 경상북도, 경기도, 강원도, 제주도, 울릉도 등 15지역 116개 재배포장을 대상으로 한 식물기생선충의 분포와 피해를 조사하였다. 분포가 확인된 9속의 선충 중 Ditylenchus citri, Meloidogyne hapla, M. incognita, Pratylenchus neglectus, Tylenchorynchus claytoni 등 5종이 동정되었다. 이들 중 M. hapla의 포장검출률이 61.9%로 가장 높았고, Tylenchu spp. 16.1%, Pratylenchus neglecrus 7.8%, Ditylenchus citri 5.1%, Helicotylenchus sp. 5.1%순이었다. 더덕 2년생을 대상으로 한 지역별 당근뿌리혹선충에 의한 피해는 포장감염률과 감염주율이 각각 67.0%, 60.2%였으며 평균 감수율은 10%였다. 전북지역 더덕 재배지에서 당근뿌리혹선충에 의한 피해는 재배년수가 길어질수록 많았고, 평야지가 산간지나 중산간지보다 많은 경향이었다.

Effects of Soil Textures on Infectivity of Root-Knot Nematodes on Carrot

  • Kim, Eunji;Seo, Yunhee;Kim, Yong Su;Park, Yong;Kim, Young Ho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3권1호
    • /
    • pp.66-74
    • /
    • 201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infectivity (penetration and gall and egg-mass formations) of the root-knot nematodes, Meloidogyne incognita and M. hapla, on carrots grown in soil conditions of 5 different soil textures consisting of bed-soil (b) and sand (s) mixtures (b-s mixtures) at the ratios of 10:0, 7:3, 5:5, 3:7, and 0:10. For M. incognita, the nematode penetration rates in b-s of 0:10 (100% sand)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other b-s mixtures, more greatly at 2 and 5 days after inoculation than at 10 DAI, whil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enetration rates were mostly shown for M. hapla at the above DAI. However, for both nematodes, gall and egg-mass formations were remarkably increased in the b-s mixture of 0:10, compared to the other b-s mixtures, which is coincided with the general aspects of severe nematode infestations in sandy soils. This suggests the increased gall and egg-mass formations of M. incognita should be derived from the increased penetration rates in the sandy soil conditions, which provide a sufficient aeration due to coarse soil nature for the nematodes, leading to their mobility increased for the enhanced root penetration. For M. hapla, it is suggested that the sandy soil conditions affect positively on the healthy plant growth with little accumulation of the inhibitory materials and sufficient aeration, enhancing the nematode growth and feeding activities. All of these aspects provide information reliable for the development screening techniques efficient for the evaluation of the nematode resistance in the breeding programs.

Biological Control of Meloidogyne hapla Using an Antagonistic Bacterium

  • Park, Jiyeong;Seo, Yunhee;Kim, Young Ho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0권3호
    • /
    • pp.288-298
    • /
    • 2014
  • We examined the efficacy of a bacterium for biocontrol of the root-knot nematode (RKN) Meloidogyne hapla in carrot (Daucus carota subsp. sativus) and tomato (Solanum lycopersicum). Among 542 bacterial isolates from various soils and plants, the highest nematode mortality was observed for treatments with isolate C1-7, which was identified as Bacillus cereus based on cultural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the Biolog program, and 16S rRNA sequencing analyses. The population density and the nematicidal activity of B. cereus C1-7 remained high until the end of culture in brain heart infusion broth, suggesting that it may have sustainable biocontrol potential. In pot experiments, the biocontrol efficacy of B. cereus C1-7 was high, showing complete inhibition of root gall or egg mass formation by RKN in carrot and tomato plants, and subsequently reducing RKN damage and suppressing nematode population growth, respectively. Light microscopy of RKN-infected carrot root tissues treated with C1-7 showed reduced formation of gall cells and fully developed giant cells, while extensive gall cells and fully mature giant cells with prominent cell wall ingrowths formed in the untreated control plants infected with RKNs. These hist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may be the result of residual or systemic biocontrol activity of the bacterium, which may coincide with the biocontrol efficacies of nematodes in po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B. cereus C1-7 can be used as a biocontrol agent for M. hapla.

살선충제 Imicyafos 입제의 2종 뿌리혹선충에 대한 방제 효과 (Control Effects of Imicyafos GR against Two Species of the Root-knot Nematodes (Meloidogyne incognita and Meloidogyne hapla))

  • 김형환;정영학;김동환;하태기;윤정범;박정규;추호렬
    • 농약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01-105
    • /
    • 2015
  • 살선충제인 imicyafos 입제 처리에 따른 방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고구마뿌리혹선충과 당근뿌리혹선충을 대상으로 포트시험과 포장시험을 수행하였다. 포트시험 결과 imicyafos 입제 처리 60일 후 생충수와 난낭수 조사에서 고구마뿌리혹선충은 91.5%, 94.2%, 당근뿌리혹선충은 90.6%, 95.1%로 각각 높은 방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시설재배 수박, 참외, 멜론, 오이, 토마토에서 imicyafos 입제를 처리하여 방제효과를 조사한 결과 고구마뿌리혹선충에 대하여 imicyafos 입제는 처리 후 30일째와 60일째 까지 90% 이상의 방제가를 나타내었으며, 약효의 지속성도 뛰어났다. 특히 imicyafos 입제를 처리가 fosthiazate 입제 처리 보다 난낭수 형성을 더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살선충제인 imicyafos 입제는 고구마뿌리혹선충이나 당근뿌리혹선충 방제에 실용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 Survey for Plant-Parasitic Nematodes Associated with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 Chung, Ki-Chae;Park, So-Deuk;Khan, Zakaullah;Kim, Bok-Jin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355-359
    • /
    • 2004
  • A survey was conducted during $April{\sim}May$ 2004 to determine the occurrence and population density of plant-parasitic nematodes in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growing fields, in major ginseng growing regions of Chungbuk, Chungnam, Gyeongbuk and Kyongki provinces. The survey revealed presence of eleven species of plant-parasitic nematodes namely, Criconemoides morgensis, Ditylenchus destructor, Helicotylenchus dihystera, Meloidogyne incognita, M. hapla, Paratylencgus lepidus, Pratylenchus penetrans, Psilenchus hilarulus, Trichodorus similis, Tylenchorhynchus claytoni and Xiphinema americanum. Frequency and density of each species were highly variable. M. incognita and M. hapla were the predominant species, their infestation observed in 46.3 and 39.4% fields with an average density of $78{\sim}254\;and\;76{\sim}211$ nematodes per $300\;cm^3$ soil, respectively. Whereas, T. similis and X. americanum were rarely observed; only in 2.3 and 1.8% of surveyed fields and their density was $10{\sim}17\;and\;7{\sim}10$ individuals per $300\;cm^3$ soil, respectively. They are recorded herewith for the first time from ginseng fields of Korea. In nematode-infestated fields, stunted plant growth with chlorotic leaves, and wilted plants were observed in patches.

주요 경제작물에 기생하는 뿌리혹 선충의 종과 Race 분포 (Distribution of Root-knot Nematodes, Meloidogyne spp. and Their Races in Economic Crops in Korea)

  • 조현제;김창효;박중수;정모근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159-163
    • /
    • 1987
  • 우리나라에 발생하고 있는 뿌리혹선충의 Race를 조사하고 기후에 따른 종의 분포 및 밀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3226포장에서 시효를 채취하여 Baermann's funnel법으로 선충을 추출하여 선충의 형태와 International Meloidogyne Project의 Differenctial Host Test Method로 조사하였다. 우리나라에 있어서 뿌리혹선충의 종류별 분포는 M. hapla가 중부지방에서, M. incognita가 남부지방에서 우점종을 이루었고, M. arenaria는 남부지방에서 검출율이 다소 높았으며 M. javanica는 제주와 남부해안지방을 중심으로 분포하고 있었다. 우리나라에 분포하고 있는 뿌리혹선충의 종별 Race는 M. arenaria에서 Race 1과 Race 2, 그리고 M. incognita에서 Race 1, Race 2 및 Race 3이 알려졌으며, 이 중에 M. arenaria Race 1과 M. incognita Race 3은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보고되었다.

  • PDF

중부지방 시설재배지의 뿌리혹선충 감염현황 및 종 동정 (Incidence and Identification of Root-Knot Nematode in Plastic-House Fields of Central Area of Korea)

  • 고형래;김은화;김세종;이재국
    • 식물병연구
    • /
    • 제23권4호
    • /
    • pp.348-354
    • /
    • 2017
  • 2013년부터 2015년까지 국내 중부지방 시설재배지를 대상으로 지역별, 주요 작물별 뿌리혹선충의 감염 현황을 조사하였다. 총 132개 시설재배지 중에서 65개 포장(49%)에 뿌리혹선충이 감염되어 있었으며, 평균밀도는 토양 $100cm^3$ 당 뿌리혹선충 2기 유충 178마리로 나타났다(최저 1-최고 3,947마리). 시군별 감염률은 춘천이 80%로 가장 높았으며, 천안, 논산, 부여와 예산은 각각 68%, 36%, 33%와 30% 순으로 나타났다. 주요 작물별 뿌리혹선충 감염률은 토마토가 83%로 가장 높았으며, 오이(61%), 딸기(41%), 고추(30%), 수박(26%) 순으로 나타났다. 중부지방 시설재배지에서 검출된 뿌리혹선충 대표집단 15개체군의 분자생물학적 종 동정 결과, 고구마뿌리혹선충, 땅콩뿌리혹선충과 당근뿌리혹선충 3종이 각각 47%, 20%와 33%의 비율로 나타났다. 작물별로는 토마토에서 고구마뿌리혹선충, 땅콩뿌리혹선충과 당근뿌리혹선충 총 3종, 오이와 수박은 고구마뿌리혹선충과 땅콩뿌리혹선충 총 2종, 딸기와 상추에서는 당근뿌리혹선충 총 1종이 각각 검출되었다. 따라서, 뿌리혹선충 피해 확산 방지를 위해서는 작물별로 검출된 종을 고려한 방제대책 수립이 필요하다.

논둑에서의 식물기생성선충 발생 실태 (Plant-parasitic Nematodes on the Ridge of Rice-field)

  • 박소희;제환석;박남숙;강헌일;최인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23-28
    • /
    • 2022
  • 정부의 논 타작물 재배사업으로 인하여 밭으로 전환되는 논 면적이 증가하고 있다. 논둑의 식물기생성선충들의 감염 실태를 조사한 결과, 논둑에서 재배되는 작물은 콩 66%, 팥 21%, 들깨 13%였다. 논둑에서 발견된 식물기생성선충은 Helicotylenchus sp., Heterodera glycines, Meloidogyne arenaria, M. javanica, M. hapla, Paratylenchus projectus, Pratylenchus coffeae, P. neglectus, Rotylenchus incultus, Trichodorus sp. Tylenchorhynchus crassicaudatus, T. claytoni 등 총 8속 10종, 미동정 2종으로 국내 주요 식물기생성선충의 속이 거의 모두 포함되어 있었다. 논둑 작물에서 가장 많이 발견된 식물기생성선충은 나선선충류인 Rotylenchus (42%)였다. 처음으로 시도된 논둑 식물기생성선충 조사에서 예상보다 높은 밀도의 주요 식물기생성선충 8속 10종이 발견되었으므로 논둑에서 식물기생성선충이 논이 전환된 밭으로 점염될 염려가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