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M-learning

검색결과 1,751건 처리시간 0.039초

The Textbook Analysis on Probability: The Case of Korea, Malaysia and U.S. Textbooks

  • Han, Sun-Young;Rosli, Roslinda;Capraro, Robert M.;Capraro, Mary M.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5권2호
    • /
    • pp.127-140
    • /
    • 2011
  • "Statistical literacy" is important to be an effective citizen ([Gal, I. (2005). Towards "probability literacy" for all citizens: Building blocks and instructional dilemmas. In: G. A. Jones (Ed.), Exploring probability in school: Challenges for teaching and learning (pp. 39-63). New York: Springer]). Probability and statistics has been connected with real context and can be used to stimulate students' creative abilities. This study aims at identifying the extent that textbooks in three countries include experimental probability concepts and non-routine, open-ended, application and contextual problems. How well textbooks reflect real application situations is important in the sense that students can employ probability concepts when solving real world problems. Results showed that three textbook series did not mention experimental probability. Furthermore, all of text-books had more routine, close-ended, knowing, and non-contextual problems.

군 교육의 학습 능력 향상을 위한 M-러닝 콘텐츠 개발 (A Development of M-Learning Contents for Improving the Learning Ability of Military Education)

  • 장정욱;인치호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25-32
    • /
    • 2012
  • 본 논문은 군 교육의 학습 능력 향상을 위하여 스마트폰을 이용한 학습 어플리케이션인 M-러닝 스마트교관 콘텐츠를 설계 및 구현하였다. 학습자 스스로 시간과 공간의 제약에서 벗어나 빠르고 정확하게 학습할 수 있다는 것을 목표로 하여, 각 과목 별 부분학습과, 반복학습, 전체학습을 쉽고 빠르게 선택하여 효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m-Bizmaker를 이용한 어플리케이션을 설계하였다. 실험은 군부대 2개 중대원을 대상으로 응급처치과목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여, 기존의 전통적 집체 교육 방법을 비교 집단으로, 제안한 콘텐츠를 적용한 교육 방법을 실험 집단으로 선정하여 실험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스마트교관 학습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학습효과의 검증을 위하여 비교대상, 실험대상 각 49명을 대상으로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 p<.005 수준에서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제안한 스마트교관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수업이 사후 성취도 향상에 기여함을 입증하였다.

Educational Paradigm Shift from E-Learning to Mobile Learning Toward Ubiquitous Learning

  • Gelogo, Yvette;Kim, Hye-jin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4권1호
    • /
    • pp.8-12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possible effect of the learning paradigm shift from traditional method to ubiquitous learning. What are the societal issues that need to be address in order to design a new pedagogical platform trending from e-learning to m-learning and now the u-learning? That without the proper study of how learning environment may affect the learn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ll lead to poor quality of education. This new era of learning environment offer a big opportunity for "anytime, anywhere" learning. Thus, Lifelong learning is at hand of everyone. Maximizing the benefit of new trend will be a great help and addressing the limitations will lead to quality education.

모바일 과학학습 성과에 대한 시간관리, 유용성, 흥미의 예측력 검증 (Predictability of M-Learning Outcomes by Time management, Usefulness, and Interest in Science Education)

  • 이정민;노지예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65-73
    • /
    • 2014
  • 본 연구는 시간관리, 유용성, 흥미가 모바일 과학학습 성과를 예측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A여자 고등학교 2학년 학생 144명을 대상으로 약 5주 동안 모바일 기기를 활용하여 과학수업을 진행하였다. 수업 후, 시간관리, 유용성, 흥미, 만족도, 성취도, 학습지속의향에 관한 설문 결과를 수집하여, 상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으로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시간관리, 유용성, 흥미가 학습성과 중 만족도, 학습지속의향을 예측하였고, 시간관리, 유용성은 인지된 성취도를 유의미하게 예측하였다. 이는 모바일 과학수업에서 학습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시간관리전략에 대한 교육프로그램 제공과, 모바일학습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함양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이 마련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 PDF

AEFIRIP 모델을 이용한 M-learning 튜터링 시스템 설계 (Design of M-learning Tutoring System Using AFFIRIP model)

  • 이남주;전우천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06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307-312
    • /
    • 2006
  • M-learning (Mobile learning)을 기반으로 한 코스웨어나 모듈 설계 시 학습자의 적극적 참여와 의미 있는 상호작용의 기회 제공과 실제적 환경에서의 교육활동을 지원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M-learning을 기반으로 실제적 상황에서의 학습을 위한 지능적 튜터링 모델인 AEFIRIP (Activation, Externalization, Focusing, Interpretations, Reflection, Information Processing)모델을 활용하여 독서교육 튜터링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AEFIRIP 모델은 모바일 학습에 초점을 맞추어 실제적 상황에서 다양한 모바일 장비를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CSCL(Computer Supported Collaborative Learning)학습의 일환으로 활용 가능하다. AEFIRIP 모델은 6단계의 구조화된 모바일 튜터링을 통하여 학습 활동을 위한 반자동화된 튜터링을 제공하며, 개별화 학습을 가능케 한다. 본 시스템은 M-learning에서 학습자의 독서 단계에 따라 개별화된 튜터링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자극 에이전트, 도움 에이전트, 요청 튜터링 에이전트, 튜터링 대화 에이전트, 개인 튜터링 에이전트, 튜터링 포인터 에이전트의 6단계의 튜터링 에이전트를 구안하였다. 본 시스템의 활용을 통하여 학습자는 실제적 환경에서 모바일 장비를 통하여 독서 활동과 관련한 튜터링을 제공받으며, 학습자와 교사 간 다양한 상호작용이 가능하다.

  • PDF

설명가능한 인공지능을 통한 마르텐사이트 변태 온도 예측 모델 및 거동 분석 연구 (Study on predictive model and mechanism analysis for martensite transformation temperatures through explainable artificial intelligence)

  • 전준협;손승배;정재길;이석재
    • 열처리공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103-113
    • /
    • 2024
  • Martensite volume fraction significantly affects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alloy steels. Martensite start temperature (Ms), transformation temperature for martensite 50 vol.% (M50), and transformation temperature for martensite 90 vol.% (M90) are important transformation temperatures to control the martensite phase fraction. Several researchers proposed empirical equations and machine learning models to predict the Ms temperature. These numerical approaches can easily predict the Ms temperature without additional experiment and cost. However, to control martensite phase fraction more precisely, we need to reduce prediction error of the Ms model and propose prediction models for other martensite transformation temperatures (M50, M90). In the present study, machine learning model was applied to suggest the predictive model for the Ms, M50, M90 temperatures. To explain prediction mechanisms and suggest feature importance on martensite transformation temperature of machine learning models, the explainable artificial intelligence (XAI) is employed. Random forest regression (RFR) showed the best performance for predicting the Ms, M50, M90 temperatures using different machine learning models. The feature importance was proposed and the prediction mechanisms were discussed by XAI.

고등학교 모바일러닝(Mobile Learning) 성과 예측요인 규명 (Factors Affecting Mobile Learning Outcomes within High School Classroom)

  • 노지예;이정민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115-123
    • /
    • 2013
  • 본 연구는 모바일러닝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고려해야 할 지침을 얻고자, 모바일러닝 환경에서 학습성과를 예측하는 요인으로 모바일러닝 효능감, 편재성, 유용성, 용이성을 선정하고 이들의 예측력을 규명하였다. 이를 위해 2012학년도 9월에서 10월초까지 경남 지역에 소재한 A여자 고등학교 2학년 학생 144명을 대상으로 약 5주동안 모바일기기를 활용하여 모바일러닝을 진행하였다. 수업 종료 후 학습자의 설문을 수거하여 상관분석 및 회귀분석으로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모바일러닝 효능감, 유용성은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유용성, 편재성은 인지된 성취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모바일러닝 활용 측면의 편재성, 용이성 등의 기기자체의 특성 보다는 모바일러닝에 대해 본인이 느끼는 긍정적 태도나, 유용하다고 느끼는 정도가 모바일러닝의 만족도를 예측하는 요인으로 규명된 것이다. 반면 편재성이 인지된 성취도를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모바일 특성상 시간과 장소에 관계없이 필요한 정보를 이용할 수 있고 자신에게 적합한 서비스나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므로, 학습자가 모바일학습 환경에서 더욱 효율적인 학습이 가능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유용성이 만족도와 인지된 성취도 모두를 유의하게 예측한 것은, 학습자에게 유용한 모바일러닝을 제공하고 또한 모바일러닝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함양할 수 있도록 하는 전략이 필요하다는 것을 함의한다.

  • PDF

가상강의에 대한 소비자만족모델: 기대불일치 패러다임을 중심으로 (Consumer Satisfaction Model for Cyber Learning: Focused on Expectation-disconfirmation Paradigm)

  • 유현정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95-310
    • /
    • 2010
  • This study measured college students' levels of satisfaction with their cyber learning through an online survey of students who had taken one or more cyber learning before. 500 returned and usable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and SPSS WIN 12.0 was used for the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factor analysis and analysis of covariance structur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ollege students were very interested in their cyber learning. Their decision to take the cyber learning was initiated more by emotional motives (m=3.13) than by rational motives (m=3.35). Second, the consumers' expectations for the cyber learning were divided into the 'Expectation for service quality' and the 'Expectation for economy,' and their 'Expectation for economy'(m=4.02) was higher than their 'Expectations for service quality'(m=3.60). Third, the consumers' expectations for the cyber learning and the results of the cyber learning were analyzed, and a discrepancy between these two were also analyzed. The analysis of discrepancy between the two showed that the average of the results was lower than that of the expectations, which means that the cyber learning did not meet the consumers' expectations in every aspect, However, the average satisfaction level was 3.20, which means consumers were satisfied with the cyber learning overall. Fourth, causes of dissatisfaction with the cyber learning were divided into internal factors due to personal matters and external factors due to classes and other factors. It was found that dissatisfaction due to internal factors was greater than that due to external factors. Lastly, the factors affecting satisfaction/dissatisfaction with the cyber learning and willingness to use it again were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otive for its use affected the formation of expectation but it did not affect the results. Satisfaction with the cyber learning affected the willingness to use it again positively. However, the effect of dissatisfaction on the willingness to use it again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통합적 정신모형 이론에 기반한 4M 순환학습 수업모형 개발: 이론적 배경과 개발과정을 중심으로 (The Development of 4M Learning Cycle Teaching Model Based on the Integrated Mental Model Theory: Focusing on the Theoretical Basis & Development Procedure)

  • 박지연;이경호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409-423
    • /
    • 2008
  • 최근 과학교육 분야의 연구들에 의하면 학생들은 과학수업 시 다양한 어려움을 지각하며 수업 후에도 이러한 어려움이 잘 해소되지 않는다는 연구 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학생들이 느끼는 과학학습의 어려움과 그 원인을 조사하여 이를 해소시키기 위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학생들의 과학학습 어려움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과 더불어 어려움을 해소하고 학습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수업모형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의 과학학습 과정에서 학생의 겪는 어려움과 기존 과학수업 모형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조사하여, 이 결과를 통합적 정신모형이론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과학학습 어려움 해소를 도울 수 있는 통합적 정신모형 이론에 기반한 4M 순환학습 수업모형을 개발하였다.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Repeatable and Short-spanned m-Learning Model for English Listening and Comprehension Mobile Digital Textbook Contents on Smartphone

  • Byun, Hye Won;Chin, SungHo;Chung, Kwang Sik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8권8호
    • /
    • pp.2814-2832
    • /
    • 2014
  • As information society matures to an even higher level and as information technology becomes a necessity to our everyday lives, the needs to develop, support and satisfy personal and social needs without the limitation of time, space, and location have become a vital point to everyday lives. Smartphone users are increasing at a staggering rate but the research on mobile-Learning model and the implementation of m-Learning scenario are still behind the needs of the users. Therefore, this paper focuses on the design of 'repeatable and short-spanned m-Learning model' to meet the needs of the learners who are on the go and on the move with their smartphones. Smartphone users frequently reach out for their phones but compare to the frequencies, the actual span of time they spend per use are relatively and surprisingly short. One way to understand this phenomenon is that the users tend to immediately replace their smartphones with laptops or desktops whenever they are available. A leaning model was needed to reflect this short and frequent use, a use that is solely based on the smartphone environment. This proposed learning model first defines this particular setting and implements the model to real smartphone users over an 8 week period. To understand whether different learning backgrounds can influence this model, different schools with online and offline learning channel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User survey was conducted after the experiment to get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smartphone users. Pretest and posttest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and the data were validated and analyzed using SPSS version 18.0 for PC. Preliminary descriptive statistics, multiple regression and cross validation was conducted for the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oposed English Listening and Comprehension Mobile Digital Textbook (ELCMD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learners in general and was more effective for learners who were already experienced with online lear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