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D/1

검색결과 14,779건 처리시간 0.042초

도파민 D$_1$과 D$_2$수용체 mRNAs의 발현에 미치는 카페인의 영향 (Influence of Caffeine on Dopamine D$_1$and D$_2$Receptor mRNAs Expression in Rat Brain)

  • 김근양;신지혜;김명옥
    • 생명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7
    • /
    • 2001
  • The caffeine intake cause a local or wide ranges of convulsion and it is associated with release of dopamine (DA) receptors into the brain striatum. However, the effect of caffeine addiction on expression of DA receptors gene in the rat caudate-putamen (CPu), nucleus accumbens (NAc), and olfactory tubercle (OTu) has not been elucidated.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influence of caffeine addiction on DA D $_1$and D$_2$receptor mRNAs after the treatment of caffeine for four weeks. Using the specific antisense ribo-probes for DA D$_1$and D$_2$receptor cDNAs, in situ hybridization was performed on the CPu, NAc, and OTu of the adult male Sprague Dawely rats. In caffeine-treated group, DA D$_1$and D$_2$receptor mRNAs were highly increased in CPu, NAc, and OTu. The expression density of DA D$_1$receptor mRNAs were 2.52${\pm}$1.40 (CPu), 2.78${\pm}$1.69 (NAc), and 3.91${\pm}$1.28 (OTu) in control group and 7.76${\pm}$2.09 (CPu), 4.2 ${\pm}$1.85 (NAc), and 8.21${\pm}$1.72 (OTu) in caffeine-treated group. The expression density of DA D$_2$receptor mRNA was 2.32${\pm}$1.52 (CPu), 2.63${\pm}$2.11 (NAc), and 3.61${\pm}$1.43 (OTu) in control group, and 6.41${\pm}$1.82 (CPu), 6.89${\pm}$1.32 (NAc), and 6.82${\pm}$1.18 (OTu) in caffeine-treated group. DA D$_1$receptor mRNA was higher expressed than DA D$_2$ receptor mRNA in CPu and NAc. These results suggest that caffeine reacts as a upregulator of the expression of DA D$_1$and D$_2$receptor mRNA among the neurotransmitters.

  • PDF

충북(忠北) 지역(地域) 시설재배(施設栽培) 토양(土壤)의 화학적(化學的) 특성(特性) (Chemical Characteristics of Plastic Film House Soils in Chungbuk Area)

  • 강보구;정인명;김재정;홍순달;민경범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65-271
    • /
    • 1997
  • 시설재배 토양의 염류집적 현황과 토양중 염류이동을 구명하기 위하여 충북지역의 청주 및 충주에서 토양의 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시설재배지의 토성(土性)은 사양토(砂壤土) 30%, 양토(壤土) 27%, 미사질양토(微砂質壤土) 43% 이었고, 표토의 염류농도 분포비율은 $2dS\;m^{-1}$ 이하가 23%, $2{\sim}4dS\;m^{-1}$ 30%, $4{\sim}6dS\;m^{-1}$ 25%, $6dS\;m^{-1}$ 이상이 22%로서 장해발생기준(障害發生基準) $4dS\;m^{-1}$를 초과하는 포장이 약 50% 이었으며, 심토(20~30cm)에서는 $2dS\;m^{-1}$ 이하인 토양이 68%이었다. 시설재배 토양의 EC는 경작년수에 따라 증가하여 5년 이상인 토양에서 $4.47dS\;m^{-1}$ 이상이었고 시설 밖의 노지포장보다 2.8~5.6배 높았다. 여름철 비닐을 제거한 토양의 EC는 $0.71{\sim}2.92dS\;m^{-1}$로서 제거하지 않은 토양의 $3.54{\sim}7.36dS\;m^{-1}$보다 현저히 감소되었다. 시설 재배 토양의 $NO_3-N$, $SO_4-S$ 그리고 Cl 함량은 노지토양에 비하여 각각 2.5. 7.0, 3.4배 높았다.

  • PDF

THE INVARIANCE PRINCIPLE FOR LINEARLY POSITIVE QUADRANT DEPENDENT RANDOM FIELDS

  • Kim, Tae-Sung;Seo, Hye-Young
    • 대한수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801-811
    • /
    • 1996
  • Let $Z^d$ denote the set of all d-tuples of integers$(d \geq 1, a positive integer)$. The points in $Z^d$ will be denoted by $\underline{m},\underline{n}$, etc., or sometime, when necessary, more explicitly by $(m_1, m_2, \cdots, m_d)$, $(n_1, n_2, \cdots, n_d)$ etc. $Z^d$ is partially ordered by stipulating $\underline{m} \underline{<}\underline{n} iff m_i \leq n_i$ for each i, $1 \leq i \leq d$.

  • PDF

토양 EC가 오이의 종자발아, 유묘의 생장, 자화착생 및 과실비대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il EC on Seed Germination, Seeding Growth, Initiation of Female Flower and Fruit Growth of Cucumber (Cucumis sativus L.) Plants)

  • 정희돈;장인석;최영준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9권4호
    • /
    • pp.495-500
    • /
    • 2001
  • 복합비료로 EC(1:5)를 $1.0-5.0dS{\cdot}m^{-1}$로 조절한 토양에서 오이종자의 발아, 유묘생장 및 이식후의 묘생장과 암꽃의 착생 및 과실비대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종자발아는 EC $3.0dS{\cdot}m^{-1}$ 이상에서는 발아속도가 매우 늦었고 EC $4.0dS{\cdot}m^{-1}$에서부터는 파종 8일까지 거의 발아하지 않았다. EC $2.5dS{\cdot}m^{-1}$ 이상이 되면 유묘의 생장이 억제되기 시작하였고 $3.5dS{\cdot}m^{-1}$ 이상에서는 고사하였다. EC $3.0dS{\cdot}m^{-1}$까지는 잎이 농록색이 되었다. EC가 $1.0dS{\cdot}m^{-1}$에서 $3.0dS{\cdot}m^{-1}$까지 높아질수록 제1번 자화 개화소요일수가 늘어났고 자화 착생절위도 높아졌다. EC $3.0dS{\cdot}m^{-1}$에서는 유묘의 잎의 황화현상과 순멎이가 발생하였으나 매우 불균일하였다.

  • PDF

양액 농도에 따른 방울토마토 2화방 개화묘의 소질 및 과실 생산성 (Quality and Fruit Productivity of the Second Truss Blooming Seedlings Depending on Concentration of Nutrient Solution in Cherry Tomato)

  • 이문행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30-236
    • /
    • 2022
  • 이번 연구는 효과적으로 2화방 개화묘를 생산하여 조기에 토마토를 수확하고 수확 기간을 연장하기 위하여 적절한 양액 농도 관리방법을 구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처리는 양액 농도로 1줄기 2화방 개화묘 연구에서는 양액 EC를 1.5, 2.0, 2.5dS·m-1, 동적 관리(3.0 → 3.5 → 4.5dS·m-1)로 공급하였다. 육묘기간은 65일로 관행묘에 비해 20-40일, 1화방 개화묘(큐브 육묘)보다는 10일 정도 길었다. 초장은 EC 2.5dS·m-1와 동적 관리는 각각 78, 77cm로 EC 1.5dS·m-1처리 88cm보다 짧았다. 정식 전 큐브 내 EC는 동적 관리가 EC 5.5dS·m-1로 가장 높았으며, EC 1.5dS·m-1로 공급한 큐브는 3.0dS/m으로 가장 낮았다. 2화방 개화묘에서 EC 처리 간 생산량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1화방 개화묘는 2화방 개화묘보다 생산성이 떨어졌다. 2화방 개화묘는 첫 수확일이 6월 4일로 정식 후 35일만에 수확하였으며 1화방 개화묘는 6월 11일로 42일만에 수확하였다. 절곡에 의한 초장 및 뿌리 생육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2줄기 2화방 개화묘 생산 연구에서는 공급 양액 EC를 2.0, 2.5, 3.0dS·m-1, 동적 관리(3.0 → 3.5 → 4.5dS·m-1)로 하여 공급하였다. 육묘 기간은 90일로 관행묘에 비해 40-50일, 1화방 2줄기 개화묘(큐브 육묘)보다는 10일 정도 길었다. 초장은 공급 양액 EC 2.0dS·m-1에서 80cm, 2.5dS·m-1에서는 81cm였으며 3.0dS·m-1 처리에서는 75cm, 동적 관리에서는 73cm로 가장 짧았다. 배지 내 EC는 모든 처리에서 육묘 기간이 길어질수록 높아졌으며 특히 공급 EC가 가장 높았던 동적관리 처리에서 EC 5.1dS·m-1로 가장 높았다. EC 처리 간 생산량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육묘 기간이 10일 정도 길었던 2화방 개화묘가 1화방 개화묘보다 15% 정도 생산량이 많았다. 2화방 개화묘의 초장을 짧게 만들기 위해서는 가식 후 공급 양액 농도를 높이는 방법이 가장 효율적인 방법으로 판단된다.

물 관리와 유기물 시용이 다른 논에서 벼 식물체를 통한 메탄 배출의 계절변화 (Seasonal Change of Rice-mediated Methane Emission from a Rice Paddy under Different Water Management and Organic Amendments)

  • 신용광;이양수;안종웅;고문환;엄기철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41-49
    • /
    • 2003
  • 물관리와 유기물 시용이 다른 논에서 메탄 배출을 측정하였다. 벼 식물체를 통해 배출되는 메탄을 측정하기 위하여 벼를 심은 chamber와 심지 않은 chamber를 반복으로 포장에 설치하였다. 기체시료는 벼 재배기간중 주 1회 채취하였다. 상시담수에서는 벼를 심은 NPK구, NPK(+P),는 $0.174g\;CH_4\;m^{-2}\;d^{-1}$의 배출을 보였으나 심지 않은 NPK구, NPK(-P),는 $0.046g\;CH_4\;m^{-2}\;d^{-1}$의 배출을 보였다. 벼를 심은 볏짚퇴비 시응구, RSC(+P), 는 $0.214g\;CH_4\;m^{-2}\;d^{-1}$의 배출을 보였으나 심지 않은 볏짚퇴비 시용구, RSC(-P),는 $0.076g\;CH_4\;m^{-2}\;d^{-1}$의 배출을 보였다. 볏짚을 2월에 시용하고 벼를 심은 시험구, RS2(+P), 는 $0.328g\;CH_4\;m^{-2}\;d^{-1}$의 배출을 보였으나 볏짚을 2월에 시용하고 벼를 심지 않은 시험구, RS2(-P),는 $0.1g\;CH_4\;m^{-2}\;d^{-1}$의 배출을보였다. 볏짚을 5월에 시용하고 벼를 심은 시험구, RS5(+P). 는 $0.414g\;CH_4\;m^{-2}\;d^{-1}$의 배출을 보였으나 볏짚을 2월에 시용하고 벼를 심지 않은 시험구, RS5(-P),는 $0.187g\;CH_4\;m^{-2}\;d^{-1}$의 배출을 보였다. 간단관개에서는 NPK(+P)는 $0.115g\;CH_4\;m^{-2}\;d^{-1}$의 배출을 보였으나 NPK(-P)는 $0.041g\;CH_4\;m^{-2}\;d^{-1}$의 배출을 보였다. RSC(+P)는 $0.137g\;CH_4\;m^{-2}\;d^{-1}$의 배출을 보였으나 RSC(-P)는 $0.06g\;CH_4\;m^{-2}\;d^{-1}$의 배출을 보였다. RS2(+P) 는 $0.204g\;CH_4\;m^{-2}\;d^{-1}$의 배출을 보였으나 RS2(-P)는 $0.09g\;CH_4\;m^{-2}\;d^{-1}$의 배출을 보였다. RS2(+P)는 $0.273g\;CH_4\;m^{-2}\;d^{-1}$의 배출을 보였으나 RS5(-P)는 $0.13g\;CH_4\;m^{-2}\;d^{-1}$의 배출을 보였다. 상시담수 처리에서 벼 식물체를 통한 메탄 수송은 NPK구, RSC구 (볏짚퇴비를 5월에 시용한 구), RS2구(볏짚을 2월에 시응한 구)와 RS5구 (볏짚을 5월에 시용한 구)에서 각기 73.6 %, 64.5%, 69.5%, 54.8%였었고 평균 65.6%였었다. 간단관개처리에서 벼 식물체를 통한 메탄 수송은 NPK구, RSC구, RS2구와 RS5구에서 각각 64.3, 59.2, 55.9, 52.4였다.

SYSTEMS OF DERIVATIONS ON BANACH ALGEBRAS

  • Lee, Eun-Hwi
    • 대한수학회논문집
    • /
    • 제12권2호
    • /
    • pp.251-256
    • /
    • 1997
  • We show that a strong system of derivations ${D_0, D_1,\cdots,D_m}$ on a commutative Banach algebra A is contained in the radical of A if it satisfies one of the following conditions for separating spaces; (1) $\partial(D_i) \subseteq rad(A) and \partial(D_i) \subseteq K D_i(rad(A))$ for all i, where $K D_i(rad(A)) = {x \in rad(A))$ : for each $m \geq 1, D^m_i(x) \in rad(A)}$. (2) $(D^m_i) \subseteq rad(A)$ for all i and m. (3) $\bar{x\partial(D_i)} = \partial(D_i)$ for all i and all nonzero x in rad(A).

  • PDF

APPROXIMATION OF THE QUEUE LENGTH DISTRIBUTION OF GENERAL QUEUES

  • Lee, Kyu-Seok;Park, Hong-Shik
    • ETRI Journal
    • /
    • 제15권3_4호
    • /
    • pp.35-45
    • /
    • 1994
  • In this paper we develop an approximation formalism on the queue length distribution for general queueing models. Our formalism is based on two steps of approximation; the first step is to find a lower bound on the exact formula, and subsequently the Chernoff upper bound technique is applied to this lower bound. We demonstrate that for the M/M/1 model our formula is equivalent to the exact solution. For the D/M/1 queue, we find an extremely tight lower bound below the exact formula. On the other hand, our approach shows a tight upper bound on the exact distribution for both the ND/D/1 and M/D/1 queues. We also consider the $M+{\Sigma}N_jD/D/1$ queue and compare our formula with other formalisms for the $M+{\Sigma}N_jD/D/1$ and M+D/D/1 queues.

  • PDF

Antioxidant and inhibitor of matrix metalloproteinase-l expression from leaves of Zostera marina L.

  • Kim, Jin-Hui;Cho, Young-Ho;Park, Sung-Min;Lee, Kyung-Eun;Lee, Bum-Chun;Pyo, Hyeong-Bae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Vol.2-2
    • /
    • pp.192.2-192.2
    • /
    • 2003
  • Apigenin-7-O-${\beta}$-D-glucoside, chrysoeriol, and luteolin were isolated from the aqueous ethanolic extract of Zostera marina L. leaves as the scavengers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with the SC$\_$50/ values of 0.18 mM, 0.68 mM, and 0.18 mM against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and 0.04 mM, 0.03 mM, and 0.01 mM against superoxide radicals in the xanthine/xanthine oxidase system, respectively. The luteolin suppressed the express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1 (MMP-1) up to 44% at 4.0 ${\mu}$M. (omitted)

  • PDF

다항식 $z^{d}+(z+1)^{d}$에 의해 발생된 이상적인 자기상관을 갖는 주기 $2^{m}-1$의 이진 의사불규칙 시퀀스 (Binary pseudorandom sequences of period $2^{m}-1$ with ideal autocorrelation generated by the polynomial $z^{d}+(z+1)^{d}$)

  • 노종선;정하봉;윤민선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3권5호
    • /
    • pp.1165-1172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다항식 $z^{d}+(z+1)^{d}$를 이용하여 이상적인 자기상관특성을 갖는 주기 $2^{m}-1$의 이진 의사불규칙시퀀스를 구성하는 것을 보였다. 다항식으로부터 얻어진 시퀀스는 어떤 d값에서는 m-시퀀스가된다. 또한 k가 양의 정수이고 m이 $3k{\pm}1$일 때 이상적인 자기상관특성을 갖는 새로운 이진 시퀀스를 산출하는 몇몇의 d값을 발견했다. 이들 새로운 시퀀스는 trace함수를 이용하여 표현하였으며 그 결과들을 표로 나타내었다.

  • PDF